MAP Protocol, 옴니체인 스왑 인프라로 전략적 전환 발표 작성일 07-11 2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BTC, 스테이블코인, 실물자산 토큰화 간 교환 지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xU6uPuShn"> <p contents-hash="f5578ff1da08c04190f0415b2d5d115959c5ae3682ab0f1c4e13fcbb3bee1f45" dmcf-pid="4MuP7Q7vCi"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블록체인 프로젝트 MAP Protocol(맵 프로토콜)가 지난 10일 비트코인(BTC), 스테이블코인, 실물자산 토큰화(RWA) 간 교환을 지원하는 탈중앙화 옴니체인 스왑 인프라로의 전략적 전환을 발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27a09ce440448dca357e40ffdf0b9e5f77bf7e9120d9d83e24e3d1c780bc52e" dmcf-pid="8R7QzxzTT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Edaily/20250711140406525mzai.jpg" data-org-width="670" dmcf-mid="VFxAMcMUW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Edaily/20250711140406525mzai.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8a20173b9d5d9b43ae4ddadeca80bca7ea787a316d3303b2b077d6f2fd09e4c4" dmcf-pid="6ezxqMqyyd" dmcf-ptype="general"> MAP Protocol은 기존 비트코인 기반 크로스체인 솔루션에서 한 단계 진화한 형태로, BTC 중심의 유동성 시장과 실물자산 토큰화 생태계에 최적화된 인프라로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div> <p contents-hash="be722bb40e09d6a8b09d8e54f688a1719adcff48e88d973ee0cfca845cf9fa03" dmcf-pid="PdqMBRBWle" dmcf-ptype="general">MAP Protocol 관계자는 “2024년 SEC의 BTC 현물 ETF 승인 이후, 유럽·홍콩 등 주요 국가에서도 유사 규제가 도입되며, 기관과 기업의 BTC 보유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며 “스테이블코인 시장도 급격히 성장 중인 만큼, BTC·스테이블코인·토큰화 자산 간 신뢰 가능한 교환 수요에 대응하고자 전략을 전환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ffe66f07bbea878ef79aa55f60c9a568ff2fc79c3ed64ef4ec5e9e2dd0a5e7d5" dmcf-pid="QnKd9J9HCR" dmcf-ptype="general">MAP Protocol의 새로운 옴니체인 아키텍처는 라이트 클라이언트 기반 검증 구조와 MPC기반 TSS(Threshold Signature Scheme) 기술을 적용해, BTC 메인넷을 비롯한 이더리움, BNB 체인, 폴리곤, 트론, 솔라나 등 다양한 메이저 체인 간 실시간 자산 스왑을 지원한다.</p> <p contents-hash="4871743cb274a36935cc7f6e0e9ade06d0419978640c5a2ea2574911ca5b36ed" dmcf-pid="xL9J2i2XTM" dmcf-ptype="general">사용자는 별도 브릿지나 제3자 개입 없이 비트코인을 직접 스테이블코인인 USDT로 교환할 수 있으며, 각 체인 간 자산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 특히 이 구조는 비트코인처럼 순수한 피어 투 피어(P2P) 방식으로 작동해 소스 체인 상 트랜잭션 발생 여부만을 기준으로 유효성을 검증하기 때문에 보안성과 투명성을 크게 높였다.</p> <p contents-hash="e5cb9e66b70579ea5c6667999b23e3b12124f2bd4e29564cd397865e85c188c9" dmcf-pid="y1sXOZOJTx" dmcf-ptype="general">MAP Protocol은 이 같은 구조를 통해 탈중앙화 보안성과 사용자 친화적 UX, 멀티체인 호환성을 기반으로 Web3 인프라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p> <p contents-hash="0fb9ac93be3ed5286c7be57b93716aacf7bf950f9ee3f1155640039101defdce" dmcf-pid="WtOZI5IilQ" dmcf-ptype="general">MAP Protocol은 자사의 스왑 인프라인 ‘버터스왑(Butter Swap)’을 통해 현재 매월 약 1억 7000만 달러(약 2336억 원) 규모의 스테이블코인의 스왑을 처리하고 있다. 향후 원화(KRW), 홍콩달러(HKD), 역외 위안화(CNH) 기반 스테이블코인 간 스왑도 지원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0fc568662ed5dd76fdadd356fc27d583a69efba018c408fe2451be2f30ebdddf" dmcf-pid="YFI5C1CnWP" dmcf-ptype="general">한편, MAP Protocol 관계자는 지난 8일 국회에서 열린 ‘아시아 디지털자산 협의체 준비위원회 출범 간담회’에서 “스테이블코인은 지불 수단으로서 오프라인과 온라인 사용처 확대가 필수”라며 “이를 위해선 스테이블코인 간의 스왑 인프라가 필수적이며, MAP Protocol이 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p> <p contents-hash="9907e6f15f0b2370b6430d9d6eb94607aa3703d0321fb105f5442e025c8dfc01" dmcf-pid="G3C1hthLW6" dmcf-ptype="general">이윤정 (yunj725@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외로움도 병 인양하여”…병 맞습니다! [사이언스 브런치] 07-11 다음 근대5종 성승민·서창완, 계주 세계선수권 혼성 경기 동메달 07-1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