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km 우주 상공에서 종이비행기 날렸더니… 작성일 07-11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日 도쿄대학 연구진 실험 공개…"3.5일 만에 120km까지 하강"</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9CANJwJqnN"> <p contents-hash="14dd4143eb85494b55471b0e1dd41ac91b186686fbbd069ea7b28a969e3e100c" dmcf-pid="2hcjiriBLa"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종이로 만든 종이비행기를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던지면 어떻게 될까?</p> <p contents-hash="62091128e9969a8a5f2e9871ef628713045fcea8c24caf8cf3169dfaff2268dd" dmcf-pid="VlkAnmnbig" dmcf-ptype="general">이 궁금증을 해결한 일본 도쿄대학 연구진의 논문이 공개돼 주목되고 있다고 IT매체 기가진, 사이언스얼랏 등 외신들이 1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p> <p contents-hash="263fe0679590255b9ceab5090aa0bcef688f98693096826a2d02c35061a4f1ae" dmcf-pid="fSEcLsLKMo" dmcf-ptype="general">해당 논문 제목은 '지구 대기권 재진입 시 종이 비행기의 역학'이다. 해당 연구는 우주개발 분야 국제 학술지 ‘악타 아스트로노티카(Acta Astronautica)’에 실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656835de59561bb2cc5f4407d25ca70cd8ea6a9816379a228b5bb408b0e60f1" dmcf-pid="4vDkoOo9i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종이비행기를 우주에서 날리면 어떻게 될 지를 연구한 논문이 발표됐다 (출처=픽사베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160226423ldfw.jpg" data-org-width="640" dmcf-mid="ZBlIEyEQL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160226423ldfw.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종이비행기를 우주에서 날리면 어떻게 될 지를 연구한 논문이 발표됐다 (출처=픽사베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e5477153e7eef95c9e157ae2bf488ead51d7a43c4e8316f6bfacc868287a505" dmcf-pid="8TwEgIg2Jn"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ISS에서 종이 비행기를 던졌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를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 A4 크기 알루미늄과 종이를 결합한 소재로 종이비행기를 만들었다. 이후 약 400km 상공에서 공전하는 ISS의 환경을 재연하기 위해 ISS와 비슷한 속도인 초속 7.8km로 종이비행기를 날리기로 결정했다.</p> <p contents-hash="6861189d65847d9dcf5810217fe67dfbc2e4eaf405f9d163a88a11a1c476adb5" dmcf-pid="6yrDaCaVdi"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이번 연구를 통해 종이 비행기의 궤도가 얼마나 빨리 감소하는지, 비행기의 자전 방향과 비행 방향의 차이가 얼마나 되는지, 비행기가 대기권을 통과할 때 얼마나 많은 열을 견뎌낼지를 살펴봤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000456ce9da93204639fb962c573916e6639b4bef65d321bdb1c4e21ecdbd22" dmcf-pid="PWmwNhNfL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궤도에서 던져진 종이 비행기를 보여주는 그림 (출처=NASA/ESA/M. Berthet & K Suzuki)"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160227696frnb.jpg" data-org-width="640" dmcf-mid="57RxVnVZR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ZDNetKorea/20250711160227696frn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궤도에서 던져진 종이 비행기를 보여주는 그림 (출처=NASA/ESA/M. Berthet & K Suzuki)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0c00949bec936461203b231f1e2747e688ad8c3abed3d75099f33d8ddfd244e" dmcf-pid="QsaoRkRuJd" dmcf-ptype="general">그 결과 종이비행기가 처음에는 놀라울 정도로 잘 날았다. 해당 속도로 종이 비행기를 날릴 경우 그대로 찢어질 것 같지만, 고도 400km에서는 대기가 두껍지 않아 큰 피해를 입지 않았다. 실제로 400~120km 고도까지는 공기가 부족해 비행기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된다.</p> <p contents-hash="cdd662d19ed970528a73e392ddab11d219bace4f73ea0fac7429a146fe6d9dc6" dmcf-pid="xONgeEe7Je" dmcf-ptype="general">하지만 공기 저항을 얼마나 잘 뚫고 나갈 수 있는 지를 나타내는 탄도 계수가 낮아 매우 느린 속도로 하강했다. 때문에 종이비행기는 약 3.5일 만에 지구 대기권인 120km까지 하강할 것으로 예상됐다.</p> <p contents-hash="88dcc500c6d43a6c1cd6a8c7c24e6c287d597cd9a2072d3abc699767dd27348e" dmcf-pid="y20FGzGkdR" dmcf-ptype="general">풍동 실험 결과, 종이 비행기는 대기권을 통과하는 동안 약간의 변형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열로 인한 손상은 막을 수 없었다.</p> <p contents-hash="7e501b2cbda7d3a401a887a8e6dc20edf71b42a8154741c2d0481da543eda2c2" dmcf-pid="WVp3HqHEeM"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초음속 풍동 시험 결과와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대기 진입 시 우주 평면에 작용하는 표면력은 심각한 변형을 일으키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하지만 종이 우주비행기는 몇 분 간 10W/cm² 정도의 심각한 공기역학적 가열을 경험한다. 따라서 대기 진입 시 연소 또는 열분해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db4f26081d2a19b5ae5b7124279c20d9512caed3278fea15844319ac766749f3" dmcf-pid="YfU0XBXDJx"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종이 우주 비행기는 공기가 희박한 대기에서 공기 저항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대기 밀도 측정을 위한 수동 탐사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종이 비행기의 비용이 매우 저렴하기 때문에 여러 대를 동시에 배치하고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해 동시 분산 측정을 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3c128079957ce820b6779f20e5d7ae4a5f2e9d4ed929c1312a2621f5b5a1baeb" dmcf-pid="G4upZbZwiQ" dmcf-ptype="general">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인도·베트남만 웃는다…'美 관세' 직격탄에 스마트폰 생산량↓ 07-11 다음 '통합우승 챔프' SK렌터카, 올 시즌 2연패 달성할까...시즌 출정식 성료 07-1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