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잘 보내려고 시골로 이사했더니... 예상치 못한 아들의 일탈 작성일 07-11 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독립예술영화 개봉신상 리뷰] 여름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sETkTkPIT"> <p contents-hash="9d9f585cc76b3a1436897f83df0f6b043f052a363cd4fe026643722f96ce8bd5" dmcf-pid="bODyEyEQDv" dmcf-ptype="general">[김상목 기자]</p>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610a2ce58105bb67c9fdd4a853613a3ca316d4404bbd0dfae3a8683950f5e01b" dmcf-pid="KIwWDWDxOS"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64503206jlwm.jpg" data-org-width="1000" dmcf-mid="utymnmnbw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64503206jlwm.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여름이 지나가면> 스틸</td> </tr> <tr> <td align="left">ⓒ ㈜엣나인필름</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293879c165fea20a1d88c09923d48a0764658a06533d792957fa1840e148e052" dmcf-pid="9CrYwYwMDl" dmcf-ptype="general"> 서울에 살던 초등학생 '기준'은 교육열이 뜨거운 어머니를 따라 신도시 건설이 한창인 지방 소도시로 전학을 오게 된다. 갑자기 생면부지 시골로 이사하는 게 통 마음에 내키지 않지만, 미성년자인 기준으로선 부모님의 결정을 막을 도리가 없다. 그저 내려오는 차 안에서 투덜대며 불평할 뿐이다. </div> <p contents-hash="1a179f803bddde99185bdfeabffdbc7daa7290a3a4faaa8c6a0f5880ac9a09bd" dmcf-pid="2hmGrGrRsh" dmcf-ptype="general">전학 수속을 밟으러 온 새 학교, 실내화로 갈아신고 교무실에서 담임 선생님과 면담을 마친 후 밖으로 나오니 애지중지하던 브랜드 축구화가 사라졌다. 그렇지 않아도 전학과 이사가 마음에 안 들던 기준의 심사가 뒤틀린다. 어머니에게 짜증을 부리며 신발을 사러 가지만, 작은 도시의 매장에선 그가 원하는 규격의 신발을 찾기도 쉽지 않다. 그렇게 불편한 기준의 시골 생활이 시작된다.</p> <p contents-hash="ac7df42f03dec24ae14d8112525961709a605188ccd74d89c36af4c0a27e4339" dmcf-pid="VlsHmHmesC" dmcf-ptype="general">어머니가 기준을 강권해 전학을 오게 된 건 대학입시에 유리하고자 농어촌 특별전형을 노려서이다. 특별전형 적용을 받으려면 중고등학교 6년을 꼬박 채워야 한다. 신도시 아파트 입주는 한참 멀기만 한 터라 한동안 휑한 임시 주거에서 지내야 한다. 플레이스테이션 게임기 없으면 어찌 견디나 싶다. 그래도 어쨌든 학교에 다니며 적응할 수밖엔 없다. 어머니는 친구 가려서 사귀어야 한다며 반장이자 우등생인 '석호' 같은 아이랑 친해지라 권유하지만, 기준은 어째 반에서 문제아 취급을 받는 '영준'에게 끌린다. 실은 동네 또래 가운데 위세를 떨치는 영준의 형 '영문'에게 관심이 간다.</p> <p contents-hash="5dbb9e1ec8d22ce7442f854ca1188e765097389b61c9e79abc241edfdcdde32b" dmcf-pid="fSOXsXsdrI" dmcf-ptype="general">어머니의 바람과 다른 방식으로 기준은 새 학교와 동네에 적응해 간다. 너무 잘 적응해서 그런지 기준은 서울에서와는 전혀 다른 기운을 풍기며 아슬아슬한 경계를 넘나든다. 그렇게 또래 아이들의 특별한 여름방학이 흘러간다. 과연 그해 여름은 기준과 친구들에게 어떻게 기억될까?</p> <div contents-hash="2417cb655880f7f531d9f4878e6a2045cc483bc11118aabcf30314c1740204f1" dmcf-pid="4DjhNhNfEO" dmcf-ptype="general"> <strong>멋대로 어른들이 규정하는 세계의 질서</strong>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eaaed8ba1bcc1ab24d1cb28810be819cf71efd6c86536ef2429b6d059a1ccb49" dmcf-pid="8wAljlj4Is"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64504496xtwq.jpg" data-org-width="1000" dmcf-mid="7Kq1C1Cnr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64504496xtwq.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여름이 지나가면> 스틸</td> </tr> <tr> <td align="left">ⓒ ㈜엣나인필름</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e2be3fc0d64eb4bbd8d1bf3b8f998a4828f73bbe7c5f4bbaf131ccc665758f4b" dmcf-pid="6rcSASA8Em" dmcf-ptype="general"> 기준이 처한 상황은 그가 선택한 게 아니다. 서울에서 무화 생활을 남부럽지 않게 누리던 6학년 학생은 하루아침에 태어나서 처음 겪는 유배지 생활에 봉착했다. 유배라는 말 외에 기준의 심경을 제대로 표현할 단어가 있을까? 짧은 인생이지만, 10여 년 동안 구축해 온 주변 관계건 추억이건 뭐건 무엇 하나 남은 게 없다. 오로지 좋아하는 축구와 게임만 곁에 있을 뿐이다. </div> <p contents-hash="a041adb33e788ed119544472dad6a59ccd343b44647bc4c7f723c4dcfa7f716c" dmcf-pid="Pmkvcvc6Dr" dmcf-ptype="general">그런 당황스러운 상황은 '모든 길은 대학 입시로 통한다!'는 기괴한 'K-현실' 탓이다. 조기교육에 힘써온 기준의 어머니는 자식의 명문대 진학을 위한 필살기로 농어촌 특별전형을 포착한다. 서울에서도 우등생이던 아들이 시골 학교에 가면 촌뜨기들 위에서 당연히 군림하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원래 농촌 지역 학생에게 동등한 기회를 보장하기 위해 고안된 제도마저 흡혈귀처럼 서울에서 강탈하려는 심보다. 기준의 어머니는 그런 약탈 행위에 대해 아무런 죄의식이 없다.</p> <p contents-hash="d818fd4059cce714c2b5183cf7c641d33177a686f99c51d61cfc2a3f91b575bc" dmcf-pid="QsETkTkPrw" dmcf-ptype="general">기준의 어머니는 전학 간 학교에서 자식이 속한 학급의 동료들을 아들의 친구로 여기지 않는다. 물론 겉으로 내색은 하지 않지만, 그나마 반장으로 위상을 인정받은 석호 정도만을 가까이 두라고 조언할 정도다. 물론 석호조차 기준의 하위 파트너로서만 받아들일 심산이다. 영준 같이 공부와는 담을 쌓은 채 가정 형편도 썩 좋지 않은 아이는 내 자식과 엮이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그녀의 의지는 확고하다.</p> <p contents-hash="682c2f08de4602f9b672686be280677a325da8edf3fb09a8079701d2a0fab8e3" dmcf-pid="xODyEyEQmD" dmcf-ptype="general">사회적 기준으로 중산층 이상에 속하는 기준의 부모는 아직 촌티를 벗지 못한 지방 소도시 동네에선 우월한 신분과 위상을 누린다. 담임 교사는 그들이 가진 사회적 연줄을 의식하고, 기준은 친구들과 똑같은 실책을 저질러도 모범생의 일탈 혹은 나쁜 유혹에 빠진 선량한 존재로 대우를 받는다. 물론 동일한 과오를 저지른 친구들은 전혀 기대할 수 없는 대접이다.</p> <p contents-hash="4be6a368e9bc1ff6dfcbcfee82a8c964554d3fe152abf832865245b02f4d8ddf" dmcf-pid="y2qxzxzTwE" dmcf-ptype="general">물론 기준의 어머니는 '맹모삼천지교' 21세기 버전이라 해도 될 만큼 자식의 장래를 위해 자기 인생을 포기할 결의에 차 있다. 속으론 아래로 내려보면서도 성공적인 지역 안착을 위해 기꺼이 '급'이 안 맞는 학부모들과 어울리고, 처우 보상을 요구하는 동네 주민들의 집단행동에도 동참해 인심을 산다. 이게 다 자식 잘 되라고 인내하며 희생하는 거라고 어머니는 의심치 않는다. 기준의 아버지도 아내의 극성이 과도하다 생각하지만, 자식에 거는 기대와 기본적인 시선은 별반 차이가 없다.</p> <p contents-hash="bad7a3b0c43e44e261e5ac737d46d6751f8a9cde9817d4e43e2daef6ea6d3b6f" dmcf-pid="WVBMqMqyIk" dmcf-ptype="general">어차피 세상은 신분과 계급으로 분리되어 있다고 그들은 확신한다. 이미 확정된 지위와 서열 구도 내에서 자신들의 슬기롭고 지혜로운 안목, 최선을 다한 노력은 마땅히 보답을 받아야 한다. 그들의 권리를 빼앗는다는 생각은 일도 없다. 원래 세상은 그런 것이니까.</p> <div contents-hash="03a235c69761ab052dfc0aad9b68530099f4fc694afa581cde55e2c99dd675a1" dmcf-pid="YfbRBRBWEc" dmcf-ptype="general"> <strong>어른들은 몰라요! 또래 집단 내부의 역학</strong>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a9a168a132519563f93a37674a07863db35a332e49829455664738112150b0fd" dmcf-pid="G5YuWuWAIA"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64505969bcli.jpg" data-org-width="1000" dmcf-mid="zKJ4040Cw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64505969bcli.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여름이 지나가면> 스틸</td> </tr> <tr> <td align="left">ⓒ ㈜엣나인필름</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78bbdb9d9147352ed188484922b9633ecbbdab1a5595fba8fadd3c6c6beb6918" dmcf-pid="H1G7Y7YcDj" dmcf-ptype="general"> 하지만 기준의 부모님 뜻대로 모든 게 굴러가진 않는다. 자식을 위한 본인들의 영리한 선택은 계획대로라면 만사형통이다. 의심받지 않고 동네 이웃들에게 신임을 얻은 데다, 우리 아들만큼 공부도 잘하고 만능인 아이가 보이지도 않는다. 이제 시간만 흐르면 목표는 달성될 것이다. 그러나 정작 주인공인 기준이 뜻대로 움직이지 않는다. 꿈에도 생각도 해보지 못한 돌발상황이다. </div> <p contents-hash="af5fa4762d733a42c2b72e103f13ad2385a8f458988b12369f26c2fe24c15c5f" dmcf-pid="XtHzGzGkIN" dmcf-ptype="general">기준은 자기 나름대로 현지화 전략을 수행한다. 자기 재주와 능력이면 능히 이 무지렁이들을 마음대로 다스릴 수 있을 것 같다. 다만 자신에게 부족한 게 조금 있긴 하다. 압도적 권능과 무력행사 여부다. 마침 최적의 조합을 찾아냈다. 몇 살 위인 영준의 형 영문이 바로 그 대상이다. 자신은 갖고 있지 못한 위험한 기운을 물씬 풍기는 영문에게 매혹되며 기준은 무의식 중에 영문처럼 되고자 한다. 과도한 욕심이다.</p> <p contents-hash="57933e2e5f2fd9c5820ba0cc62480893bfb67f30788b3188c6b47175dd1390ce" dmcf-pid="ZFXqHqHEwa" dmcf-ptype="general">영문과 영준 형제는 천애고아다. 부모 없이 사는 미성년자 형제는 원래라면 사회복지시설에 수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렇게 되면 서로 의지하며 헤쳐온 형제는 강제로 결별해야 한다. 영문은 동생을 책임지며 공공 지원의 경계 밖에서 자립해야 한다. 그가 행하는 선을 오락가락하는 일탈은 그런 절박함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기준에겐 그런 전후사정은 관심 바깥일 뿐이다. 오직 외형상 드러나는 부분만 취하고 싶다. 그런 욕망은 선을 넘지 않던 용문의 작은 영역을 위태롭게 하기에 충분했다.</p> <p contents-hash="7ad870a47365e405126033583e0fc8382c9a971a4aef8a090b4ecc396e23ab43" dmcf-pid="53ZBXBXDEg" dmcf-ptype="general">기준과 용문의 관계는 관객이 보는 시선, 그리고 각자가 겪은 경험에 따라 다양한 단면으로 인식될 법하다. 기준은 자신에게 금지된 것, 혹은 허용될 수 없는 것을 용문에게서 보았다. 자신의 부모님이 기대한 것과는 다른 방식,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같은 궤에서 기준 역시 어떤 착취를 죄의식 없이 행한다. 그러나 아직 세상의 때가 덜 묻은 유소년 연령대 아이들에게선 한 줄로 단언하기 힘든 모호한 속내가 조성된다.</p> <p contents-hash="b98d06f111285ac8f97b4e7a4dd5610416c8343859b649f1b10f1aa771915587" dmcf-pid="105bZbZwOo" dmcf-ptype="general">기준의 어머니에겐 청천벽력 같은 일들이 연거푸 발생하고, 본인 선에서 수습하고 해결하려던 노력은 허사로 끝난다. 아이들의 은밀한 세계는 그 바깥에서 들여다볼 수 없는 격렬함과 그들만의 비밀로 가득 차 있다. 그 낯선 세계 앞에서 어른들은 변죽을 울리거나 번지수 한참 엉뚱하게 오판할 따름이다. 어른들은 진실의 표면도 긁어보지 못한다.</p> <p contents-hash="00335e2190a44c7fbdbf88616ac17974bcd71c690373e5ac7047ced5a6ed7332" dmcf-pid="tp1K5K5rOL" dmcf-ptype="general">그런 어머니가 자식이 어떤 상황인 줄도 모르고 흔해빠진 레퍼토리, '우리 애는 착한데 친구를 잘못 만나서!' 타령을 늘어놓을 때 자식은 어떻게 반응할까? 영화 속 장면은 무척 흥미로운 동시에 어떤 저항 또는 전복적인 기운을 퍼뜨린다. 세상만사는 아무리 어른들이 완벽해 보이는 계획을 짜 놓더라도 그대로만 굴러가지 않는다. 그 단순한 진리를 무시한 대가는 고스란히 당사자에게 돌아오게 마련이다.</p> <div contents-hash="3f2eb6ecf31162cadb13dd6b95ea32848b62033d8b0f25d10c551cd4ea2e8b3b" dmcf-pid="FUt9191mmn" dmcf-ptype="general"> <strong>우리가 만든 세상을 천천히 돌아보게 하는 영화</strong>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3e81de84c14c247f8e9cc40a779f5746dce5faf2a2accce2ea9ac0410bbe53e2" dmcf-pid="3yh1C1CnIi"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64507243ecwb.jpg" data-org-width="1000" dmcf-mid="q5jhNhNfs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ohmynews/20250711164507243ecwb.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여름이 지나가면> 스틸</td> </tr> <tr> <td align="left">ⓒ ㈜엣나인필름</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47ad2713318e416d664260f2971e6846ea8e884a0c48586c9e0f53b04bedc715" dmcf-pid="0WlththLrJ" dmcf-ptype="general"> 영화는 완벽히 동떨어진 부모 세대와 자라나는 청소년 사이의 간극을 구획하고, 뒤를 이어 오직 또래 집단 내에서만 온전히 조망 가능한 복잡하고 불투명한 역학 관계를 정교하게 구현한다. 전형적이다 못해 복사해 붙인 듯 피상적인 설정에 지친 이들에게 <여름이 지나가면>이 선보이는 파격적 전복은 상당한 충격과 함께 뒤통수를 얻어맞은 것과 같은 후유증을 남길 만하다. </div> <p contents-hash="28897b1372394a4cdc430608ce4965cb9220980c7453affb26967d002e20cca2" dmcf-pid="pYSFlFloEd" dmcf-ptype="general">좀 방임해도 될 텐데, 자식의 세속적 성공, 곧 부모가 바라는 틀 안에 자식을 가두려는 욕망은 과잉을 초월하는 터라 자식의 올바른 성장을 오히려 저해한다. 정반대로 시골에 방치된 채 마치 '야생의 아이들'처럼 소외된 이들은 사회의 건전한 구성원으로 편입될 기회를 연거푸 놓친 채 유기된 상태다. 이 극적인 대비와 그들이 뜻하지 않게 부대끼는 상황 형성은 그들 서로에게 공히 파괴적 효과로 돌아온다. 물론 내 탓이오 하며 책임질 어른은 어디에도 없다.</p> <p contents-hash="a646d9c10bfadb3f57794e2c2608127467e843b7f6629fce199fe254a22aabcb" dmcf-pid="UGv3S3SgIe" dmcf-ptype="general">아시아나국제단편영화제 대상을 수상하며 감독의 이름을 세상에 알린 <맥북이면 다 되지요>의 성공 이후 장병기 감독은 코믹한 단면에 가려진 본인의 주제의식과 지향을 드러내고자 오랜 시간 분투해 왔다. <할머니의 외출>과 <미스터 장>, 본격 장편 <여름이 지나가면>에 이르기까지 이 변방의 감독은 유행에 영합할 생각 따위는 일도 없이, 오직 세상의 모순과 일그러진 광경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듯 화면에 구현하는 데 전력으로 임했다. <여름이 지나가면>은 그 노력의 1단계 완성태라 하겠다.</p> <p contents-hash="22d0b6f7086df742ff1d5c2b90c3ba69208e6f9cf636d8afc312daceb6e59efd" dmcf-pid="uHT0v0vaDR" dmcf-ptype="general">요즘 양산형으로 쏟아지는 일본 청춘물의 번안 형태 복제&현세에 강림한 지옥도 자체인 극단적 학원폭력의 선정적 전시 가운데 속하지 않고 오직 홀로 우뚝 선 이 영화는 기성세대가 만든 서늘한 사각지대를 실감 넘치게 구축하는 데 전력을 기울인다. 교육열은 순수한 학구열이 아닌 계급 재생산의 경로로만 의미를 지닌다. 영화 속 아이들의 만남과 이별은 그 거역할 수 없는 과정의 고착화를 상징한다. 그 결과물은 개운한 카타르시스 해소와는 정반대 방향으로 잊기 힘든 마무리 도로 씬처럼 하염없이 내달린다.</p> <p contents-hash="1d735fd3230f93ed18315d8e4f4f05a6f2b9e58979ec8642bc1c4cc7b8b12918" dmcf-pid="7XypTpTNsM" dmcf-ptype="general">근래 보기 드문 성취에 도달한 청소년 집단 묘사에 멈추지 않고, 지역 격차와 계급 갈등까지 나아가는 내공이 상당한 작업이다. 지독하게 현실에 천착하되 그저 소재를 나열하는 데 그치지 않고, 본인의 작가적 태도를 숨김 없이 정공법으로 드러낸 장병기 감독의 <여름이 지나가면>은 올해 가장 인상적인 기억으로 남을 장편 데뷔작 중 하나가 될 것이 틀림없다.</p> <p contents-hash="77e9fedc6f0dc641730d6bc00a352fe1b713ac43fe33e4776cb0b65b098218d7" dmcf-pid="zZWUyUyjsx" dmcf-ptype="general"><작품정보></p> <p contents-hash="1480788fb335e8f940b5529a64b123776d9704410c0cc1254653dd7ad48b7a60" dmcf-pid="q5YuWuWAIQ" dmcf-ptype="general">여름이 지나가면<br>When This Summer is Over<br>2024|한국|드라마<br>2025.07.09. 개봉|115분|15세 관람가<br>감독/각본 장병기<br>출연 이재준, 최현진, 최우록, 정준, 고서희, 강길우<br>제작 ㈜스튜디오하이파이브, 와일드마일즈<br>배급 ㈜엣나인필름</p> <p contents-hash="b2b4aa6d50e3db22c89d1098a9de2795b991209a3fed6ffd45ca99fdff2a86b2" dmcf-pid="B4KebebYOP" dmcf-ptype="general">2024 24회 전북독립영화제 옹골진상(대상)<br>2024 50회 서울독립영화제 넥스트링크상</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내부자들' 측 "송강호, 스케줄 때문에 부득이하게 하차" 07-11 다음 15주년 '런닝맨' 최다 방송 신기록…"예능계 '전원일기' 됐으면" 07-1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