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물do감] 개미들이 전쟁 없이 공존하는 방법 작성일 07-11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bc2vWDxlH">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a5a2948d916fbf10aa2e344dbe8c0b3487da3d192e52ee3cf3f3f697b2151a6" dmcf-pid="BKkVTYwMT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서로 다른 종의 개미들이 싸우는 모습. 사이언스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1/dongascience/20250711174737587nvhl.png" data-org-width="680" dmcf-mid="zXzCxebYh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1/dongascience/20250711174737587nvhl.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서로 다른 종의 개미들이 싸우는 모습. 사이언스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23e349c2034c9b12c18472b94755fba5854f3df7d59b49adae233e8efb40e1a" dmcf-pid="bpL7sCaVSY" dmcf-ptype="general">독립된 공간이 개미들의 평화를 유지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된 공간이 사라지자 평화가 사라지고 순식간에 개미들은 서로를 공격했다. 개미의 평화는 집을 마련해 준 나무와도 상호이익 공생관계를 형성했다. </p> <p contents-hash="07a64912b5999097d9a123acf96ee7c11f63164283f86fe4441f0608b220a42c" dmcf-pid="KUozOhNflW" dmcf-ptype="general">영국 더럼대 연구진을 포함한 국제 공동연구팀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2014~2024년까지 10년 동안 피지 열대우림의 열대식물 스콰멜라리아(Squamellaria) 속에 사는 개미들을 조사한 결과를 담은 논문을 10일(현지 시간) 국제학술지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했다.</p> <p contents-hash="33b4714bdfa693a31406f2598c7dcbc0cd78f17ce38f343ac471ad9e26642c8e" dmcf-pid="9ugqIlj4yy"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스콰멜라리아 여러 나무 꼭대기를 잘라 내부 구조와 내부 서식하는 개미의 종류, 행동 등을 면밀히 관찰한 끝에 자연의 평화 공식을 발견했다. 다른 종류의 개미들 간 공존 시스템과 개미와 식물의 공생 관계도 파악했다.</p> <p contents-hash="a1911b69fbc201031a536c9fd883e35a43b19cd96296e07d88b3fa11bbbc66fd" dmcf-pid="27aBCSA8yT" dmcf-ptype="general">개미는 서로 다른 집단 간에 유난히 공격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팀은 우선 나무 꼭대기를 잘랐을 때 다른 개미 종이 공존하는 점을 보고 의아해하며 그 원인을 추적하기 시작했다.</p> <p contents-hash="e391e271dc891feb501345fec864930a453ff115f7d25122ff76cd69a94437c9" dmcf-pid="VzNbhvc6vv" dmcf-ptype="general">연구팀의 분석 결과 일부 스콰멜라리아가 마치 세심한 집주인처럼 행동하며, 서로 다른 개미 군락 최대 5종을 위한 주거 공간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스콰멜라리아의 이런 '건축 능력' 덕분에 서로 다른 종의 개미들이 한 나무에서 평화롭게 공존할 수 있었다. 덕분에 하나의 나무는 여러 개미 종과 군락을 수용하는 풍요로운 공동체로 기능했다.</p> <p contents-hash="a28615e704aa0f2920ca71284b7b833cac4d3e730ecebdaae46f8e21f054cac7" dmcf-pid="fqjKlTkPlS"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여러 아파트에 별도의 출입구가 있는 구조와 마찬가지"라며 "나무가 자라면서 구획을 늘려가는 식으로 특정 종의 개미들이 살 수 있는 공간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49bcb16b903459aa477fb9ae357c860a4c11ab874f52fc1e60ea8039b8a37c70" dmcf-pid="4BA9SyEQyl"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이런 구획화(compartmentalization)만으로 적대적인 개미 종들 간의 평화가 유지될 수 있는지 별도 실험을 진행했다. 칼로 두 개미 종 사이의 벽을 잘라냈더니 수천 마리의 일개미들이 즉시 격렬한 전투에 돌입했고 30분도 안 돼 거의 전부가 죽었다.</p> <p contents-hash="7aedb78b6bd81e47a796720b07e040fb85bef759962a610a81b56bd29913ff66" dmcf-pid="8bc2vWDxlh"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구획화를 파괴하면 안정성이 사라진다"며 "서로의 방이 구분돼 있고 경계가 있어야 그들은 같이 공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7194fd400e4ade1f9cd58471e99bb9503804a67ccfc045610177eea3dce626d" dmcf-pid="6KkVTYwMWC" dmcf-ptype="general">나무 입장에서는 개미가 많을수록 비료(배설물)를 더 많이 얻을 수 있어 다종의 개미 군락이 서식하는 것이 이득이다. 만약 여왕개미나 군락 하나가 죽더라도 나무는 여전히 다른 군락들을 보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p> <p contents-hash="fa15935c2d98794148ed75deeb1ec28d94c2ee5cc31c6994a0a838098d318cb9" dmcf-pid="P9EfyGrRvI" dmcf-ptype="general">마조리 웨버 미시간대 박사는 이번 연구를 두고 "역사적으로 종 간의 상호작용 연구는 경쟁, 포식, 기생 등 갈등에 초점을 두어왔다"며 "이번 연구는 여러 종이 안정적으로 협력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점에서 특별하다"고 했다. 또 "움직일 수 없는 식물이 개미에게 집을 지어주고, 그 대가로 보호와 영양을 받는 건 정말 멋진 진화적 혁신"이라고도 덧붙였다. <br> </p> <p contents-hash="0458bb0893726e9970b1a515b50105c94a1dbd0576cdae7afd1ac2a914213f3c" dmcf-pid="Q2D4WHmevO" dmcf-ptype="general">[정지영 기자 jjy2011@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저스틴 비버, 7번째 정규 앨범 [SWAG] 전격 발매…가장 개인적인 사운드로 돌아오다글로벌 팝 아이콘 저스틴 비버(Justin Bi 07-11 다음 생쥐 전체 신경 지도 완성…초고속 3D이미징으로 구현 07-1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