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위드인] "게임을 죽이지 마라"…EU 130만명 서명한 이유는 작성일 07-12 3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RET9kRuF1">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104e5be5501cdfcdece7cbb917bfe676b779725c80bb730b8086e8ca770edfd" dmcf-pid="K12JS91mu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임스컴 2024 현장에 몰린 인파 (쾰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23일(현지시간) 독일 쾰른에서 열린 게임쇼 게임스컴 2024 현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전시관 사이를 돌아다니고 있다. 2024.8.23 jujuk@yna.co.kr"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2/yonhap/20250712110127819ilnh.jpg" data-org-width="1200" dmcf-mid="zsXqgHmez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2/yonhap/20250712110127819iln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임스컴 2024 현장에 몰린 인파 (쾰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23일(현지시간) 독일 쾰른에서 열린 게임쇼 게임스컴 2024 현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전시관 사이를 돌아다니고 있다. 2024.8.23 jujuk@yna.co.kr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8389c5d34b454625e7a6a7ae255e4657763f0981a031cd1b94449be1acd0637" dmcf-pid="9tViv2tszZ"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게임을 죽이지 말라!(Stop Killing Games)'</p> <p contents-hash="f79e6f944a50e03d2fa0b98395a0b46db090d368c09cfb4db02fae8164359894" dmcf-pid="2FfnTVFO3X" dmcf-ptype="general">지난해부터 유럽연합(EU) 게이머를 상대로 시작된 이러한 이름의 소비자 운동은 최근 전 세계 게임업계의 논쟁거리로 떠오르고 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58e21f8062e884a1606897b068185bde4be5222d534aa39f26374580fb70d08" dmcf-pid="V34Lyf3IU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임을 죽이지 말라' 홈페이지 [www.stopkillinggames.com 캡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2/yonhap/20250712110128023ghcd.jpg" data-org-width="500" dmcf-mid="qR4Lyf3Iu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2/yonhap/20250712110128023ghc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임을 죽이지 말라' 홈페이지 [www.stopkillinggames.com 캡처]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f9dd38f9220c029b14154e85e2bb4b91aa2d7a3703a8ce1d7411dd441df9613" dmcf-pid="f08oW40CUG" dmcf-ptype="general"><strong> 10년 된 게임 서비스 종료가 디지털 콘텐츠 소유권 논쟁 촉발</strong></p> <p contents-hash="c27bce55ba1a11d863ce7afe7faf2f0f9a2d8425470646270b2078ef9fdf4f09" dmcf-pid="4p6gY8phUY" dmcf-ptype="general">로스 스콧이라는 한 유튜버가 시작한 'Stop Killing Games' 운동의 발단은 작년 4월, 프랑스에 본사를 둔 유럽 최대 게임사 유비소프트가 레이싱 게임 '더 크루' 서비스를 종료하면서다.</p> <p contents-hash="3e61c52fe53a290e45abdcc4f8c57987ef2df5cc5e248d3064f4e96504f1a31b" dmcf-pid="8UPaG6UlUW" dmcf-ptype="general">2014년 출시된 '더 크루'는 발매 당시 블록버스터급 작품에 준하는 가격대에 판매됐는데, 게임을 즐기기 위해서는 상시 온라인 연결이 필수였다.</p> <p contents-hash="40b80f6d746ebda722498e0dcd9af5e39721c0803948a7c4495b6c8574e5b786" dmcf-pid="6uQNHPuSUy" dmcf-ptype="general">유비소프트가 '더 크루' 서버 운영을 완전히 종료하면서 게이머들은 졸지에 제값을 주고 구매한 게임을 아예 즐길 수 없게 됐다. </p> <p contents-hash="796a6062cb27ca5226d7d61d7c231ef18a03e3f4245c2976cc95a09b07d1fe78" dmcf-pid="PsZBaXsdUT" dmcf-ptype="general">일부 팬들은 게임을 싱글플레이라도 즐길 수 있게 열어 달라고 요청했지만, 유비소프트는 전혀 응하지 않았다.</p> <p contents-hash="7fa054b3076bb394369636a55884dd27591f5cb6ba10d3656908b58bde54f027" dmcf-pid="QO5bNZOJUv" dmcf-ptype="general">로스 스콧을 비롯한 게임 팬들은 이에 반발하며 프랑스, 독일, 호주 등 각국 소비자 기관에 게임업체들이 서비스 종료를 명목으로 게임을 '죽이는' 일을 막아 달라는 청원에 나섰다.</p> <p contents-hash="2a9b46ede953040f1ca3d7029533dc6d1dc3d049e01cccae61fef037f585301c" dmcf-pid="xI1Kj5Ii0S" dmcf-ptype="general">EU 공개 청원 사이트 '유럽 시민 이니셔티브(ECI)'에는 12일 기준 130만개 이상의 서명이 모이여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의 심사 착수 요건(100만명 이상 서명)을 훌쩍 넘겼다.</p> <p contents-hash="3a291fe4ddd5b83e4ddac7af51574f35dacc4be63b87f1442058ce51cd1f2dd5" dmcf-pid="yVLmpnVZzl" dmcf-ptype="general">청원 홈페이지 운영진은 "점점 더 많은 비디오 게임이 명시된 유효 기간 없이 상품으로 판매되고 있지만, 지원이 종료되면 전혀 플레이할 수 없게끔 설계돼있다"며 "이런 관행은 '계획된 노후화'의 한 형태로, 고객에게 해로울 뿐 아니라 보존도 불가능하게 만든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f2695e497da3f1d0cd1b653d65d1072b76ffee283d504d8a882841f179a81cb2" dmcf-pid="WfosULf5ph" dmcf-ptype="general">반면 유럽의 게임 개발자 단체 '비디오 게임 유럽'은 이같은 소비자들의 서명 운동에 반대 취지의 성명을 냈다.</p> <p contents-hash="fce390ce517b981ec9cc07b3d29721c8eb1c19a1e77c758f9090e6e769d3772d" dmcf-pid="Y4gOuo410C" dmcf-ptype="general">이 단체는 "온라인 서비스 중단은 다각적인 요인을 고려한 것"이라며 "많은 게임은 온라인 전용으로 설계됐고, 싱글플레이나 사설 서버를 허용하라는 요구는 개발자의 선택권을 제한해 개발 비용을 크게 높일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f7df3968e54d4e7e54e1f7e11b881083205d99803175bdabd0f84a05b589ed2" dmcf-pid="G8aI7g8t0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이머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2/yonhap/20250712110128221bwrf.jpg" data-org-width="1200" dmcf-mid="BakvKcMUU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2/yonhap/20250712110128221bwr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이머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bad9d5ab580866bc721f805f1d95364ca93138bc9f54972dc074d1620b5301e" dmcf-pid="H6NCza6F3O" dmcf-ptype="general"><strong> '구매했지만 내 것은 아닌' 게임, 앞으로 더 많아질듯</strong></p> <p contents-hash="88b6f22d2b6fb33b8cd5b32a9f74bc92c793a9860d92b05bf786793122a76ea4" dmcf-pid="XPjhqNP3Us" dmcf-ptype="general">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콘텐츠 판매와 구독형 서비스가 일반화된 오늘날, 게임을 '구매'하는 것은 더는 '소유'를 의미하지 않게 됐다.</p> <p contents-hash="800f26c1ca926d229c7c9ef3ad08265dcc9e0a225109361546e4943919a504db" dmcf-pid="Z2nr0i2Xpm" dmcf-ptype="general">몇몇 과격한 소비자들은 '구매하는 것이 소유하는 게 아니라면, 불법 복제도 도둑질이 아니다'라는 구호를 외치고 있다.</p> <p contents-hash="42746424a17463dab4c94f19b52fa7b5c8be251ec43c784f75b0245eaff04b78" dmcf-pid="5VLmpnVZpr" dmcf-ptype="general">하지만 소비자들의 볼멘소리에도 이런 업계의 흐름은 쉽게 거스르기 어려울 전망이다. </p> <p contents-hash="dba9320738c098c52e2a2b816e9020d2eac0f7413421d6cfd027bc5c417238c8" dmcf-pid="1fosULf5pw" dmcf-ptype="general">당장 전 세계 점유율 1등 PC 게임 플랫폼 스팀(Steam)만 봐도 '구매'한 게임은 엄밀히 말하면 게임의 '이용권'을 구매한 것이지 게임 그 자체를 구매한 것이 아니다.</p> <p contents-hash="9aefe0c7fc44f6e9b0f66210984b07724e7d3f000f51ac56eca633edef712dbe" dmcf-pid="t4gOuo41FD" dmcf-ptype="general">이를 뒷받침하듯, 스팀 약관에는 한 번 구매한 게임을 다른 이용자에게 양도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명시돼있다.</p> <p contents-hash="890f77f5777c2fbe2c4013ec0c2a540398743482fef04d45f5cd7d557dac0d9d" dmcf-pid="F8aI7g8tpE" dmcf-ptype="general">이런 사실은 한 이용자가 '내가 죽으면 유언장에 따라 내가 구매한 게임을 상속할 수 있느냐'고 스팀 고객센터에 문의했다가 '약관상 불가능하다'는 답변을 받은 사실이 알려지며 논란이 일기도 했다.</p> <p contents-hash="83b390bf5ad97e14396c2e2bc797db3cf37188c799a501d3eef76c14eea6e5a0" dmcf-pid="36NCza6F0k" dmcf-ptype="general">'더 크루' 사례처럼 유료 패키지 게임이라도 보안 문제나 소액 결제 아이템 판매 등을 이유로 서버 연결을 강제하는 게임도 늘어나고 있다.</p> <p contents-hash="85df5d50e6de0b1232137c19f82f456e880c8c6bc9212c4e1668463b762f91af" dmcf-pid="0PjhqNP3pc" dmcf-ptype="general">라이브 서비스가 대세가 될수록, 경쟁에서 도태돼 서비스가 종료되면 그 누구도 플레이할 수 없이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게임들도 많아진다.</p> <p contents-hash="7febf0cbcceaa1ddb98cc80aad0f078c78762179aa0bb46754b66fd806d50480" dmcf-pid="pQAlBjQ0FA" dmcf-ptype="general">'Stop Killing Games' 측은 게임사들이 게임 서비스를 종료할 경우 오프라인 플레이 기능을 추가하거나 사설 서버를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p> <p contents-hash="bee066c06572b56af02f36255e1130e8cb7a6f8a6e022d0dc97421a623d06883" dmcf-pid="UxcSbAxp3j" dmcf-ptype="general">하지만 모든 게임업체가 비용과 보안·라이선스 문제를 해결하며 이런 '보존 의무'를 이행하도록 법적으로 강제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울 전망이다.</p> <p contents-hash="8576791fe17e818a6cfcd48a9f44b5602027e1f947fa484522d9b625359b4284" dmcf-pid="uxcSbAxppN" dmcf-ptype="general">한 가지 확실한 것은 있다.</p> <p contents-hash="9da8891d523be6b444850cd4aa847efac856cd6b18d778dba4c570b72e9a4612" dmcf-pid="7MkvKcMUpa" dmcf-ptype="general">'게임을 죽이지 말라'는 게이머들의 문제의식이 커질수록, 게임을 수익성 떨어지면 셔터 내리는 돈벌이 수단이 아니라 공동체의 디지털 유산으로서 보존하려는 게임사도 늘어날 것이라는 점이다.</p> <p contents-hash="145343b9e1505cfdfd58b3d78ea5fa43a2706b919e60a597d8b9041b41f50fd9" dmcf-pid="zRET9kRuUg" dmcf-ptype="general">jujuk@yna.co.kr</p> <p contents-hash="d48997423f1366a1df07b61557ec6f8bab95a6e2a4ecb672c608ee184662928b" dmcf-pid="BdwWVDdz0L"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뉴욕댁' 손태영, 이탈리아 여름휴가…권상우와 달달 투샷 [MD★스타] 07-12 다음 '중력을 거스르는 자' 우상혁, 국제대회 7연속 우승 07-1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