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S, 양자칩 실험 성공…정보 읽어도 큐비트 상태 그대로 작성일 07-15 1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마요라나1' 신뢰성 입증 위한 새 실험 결과 공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tXTzGwJqJn"> <p contents-hash="6ecd3e162551c57ee8c2f1043182eab00fcfd145338f5417bbd9707a1c1a598d" dmcf-pid="FZyqHriBMi"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남혁우 기자)마이크로소프트가 큐비트 관련 이전 연구에 제기된 비판에 정면으로 대응하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p> <p contents-hash="6f893e124d1ecc18a7c132948abc758f54c56766413b862aa66d0359d2b4ae3d" dmcf-pid="35WBXmnbRJ" dmcf-ptype="general">15일 마이크로소프트 연구진은 '마요라나 테트론 장치에서 Z 루프와 X 루프 측정의 상이한 지속 시간'이라는 제목의 논문을 아카이브(arXiv)를 통해 공개했다.</p> <p contents-hash="459f7764ddde223feb3149d191c262cf8effb4a6e66287f71f601f775ca73eba" dmcf-pid="01YbZsLKJd" dmcf-ptype="general">이번 논문은 올해 초 마이크로소프트가 발표한 양자 프로세서 '마요라나1(Majorana 1)'의 기술적 신뢰성을 보강하기 위한 후속 연구의 일환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2fdc2db4a0c7cb7554ffac4d36129b7895f84cd07894b56e40721eac19a9cd0" dmcf-pid="ptGK5Oo9d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마이크로소프트의 마요라나1 프로세서(이미지=마이크로소프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ZDNetKorea/20250715151227287fygh.jpg" data-org-width="638" dmcf-mid="1Nemn2tsM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ZDNetKorea/20250715151227287fyg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마이크로소프트의 마요라나1 프로세서(이미지=마이크로소프트)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c785692a5eac148d97acb570b6b581ff3febcd1042e074daf682043d11708e1" dmcf-pid="UFH91Ig2JR" dmcf-ptype="general">마요라나1은 위상학(topology) 개념을 기반으로 외부 자극에 약한 큐비트를 보호하고 계산 오류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설계된 양자 프로세서다.</p> <p contents-hash="426cf1283253db17ebc9bba54cfbea85c91655ef744d0cdb1c26f26b6ed023f7" dmcf-pid="u3X2tCaVdM" dmcf-ptype="general">마이크로소프트 측에 따르면 단일 프로세서에 100만 개 이상의 큐비트를 집적할 수 있는 확장성을 갖추고 있어 양자컴퓨터 상용화의 새로운 이정표로 평가받고 있다.</p> <p contents-hash="0bb85e0aca7cb7b31b09cf5611bf07c1b7036ffe7c940970ca3ee93f96e9dab0" dmcf-pid="70ZVFhNfMx" dmcf-ptype="general">하지만 마요라나1이 실제로 구현됐는지를 입증할 결정적인 실험적 증거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학계 일각에서는 여전히 회의적인 시선이 존재했다.</p> <p contents-hash="efca79ff85771954521555963de13bebd202db2294fe2dadc0853535b4916439" dmcf-pid="zp5f3lj4JQ" dmcf-ptype="general">마이크로소프트 연구진은 이번 실험을 통해 이러한 비판에 실질적인 답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팀은 '테트론(Tetron)'이라 불리는 프로토타입 양자 장치를 통해 서로 다른 두 가지 양자 상태 측정값(Z와 X)을 안정적으로 구분했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4ba76194e9db5dc12da2ef83a13eb592c3b9c69cd1ae49c6fd8ed9be4b8cc573" dmcf-pid="qYlUykRueP" dmcf-ptype="general">여기서 말하는 Z와 X는 양자 정보를 표현하는 두 가지 기준 축인 파울리 Z와 파울리 X를 뜻한다. 이를 통해 마이크로소프트는 동일한 마요라나 기반 큐비트에서 서로 영향을 주지 않는 두 측정 방식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줬다.</p> <p contents-hash="0ab1310dd8af4bc08870689627a269504246d23f8a8b48c0b02864d1ac3dd856" dmcf-pid="BGSuWEe7n6" dmcf-ptype="general">이를 통해 이번 연구의 핵심인 '퍼리티(parity)' 측정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퍼리티는 전자 개수가 홀수인지 짝수인지를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성질이다. 양자 상태를 붕괴시키지 않고도 신호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유용한 측정 방식이다.</p> <p contents-hash="2986868abe45c2d47fb2f784317ff54486af9f608381c366cafc513950f695b4" dmcf-pid="bHv7YDdzd8" dmcf-ptype="general">실험 결과 Z 루프 측정값의 퍼리티 수명은 평균 12.4밀리초(ms)로 나타났다. 반면 X 루프 측정에서는 평균 14.5마이크로초(μs)로 Z보다 약 1천 배 짧은 수명을 기록했다.</p> <p contents-hash="f6ff94c3496b659147fd1b35eebd70e1f9539d4b6b117c542e082b9d04416774" dmcf-pid="KXTzGwJqe4" dmcf-ptype="general">이러한 수명 차이는 두 측정 방식의 물리적 특성 차이에서 비롯된 것으로 해석된다. Z 루프는 상대적으로 환경으로부터 격리돼 있어 안정성이 높고 X 루프는 열적 들뜸이나 에너지 교란에 민감해 더 빠르게 상태가 바뀌는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p> <p contents-hash="9aab35b6b8c513390ae8f6f0b7417c83196b90ef3a7a1bbec68a770bb52c3f9c" dmcf-pid="9ZyqHriBef" dmcf-ptype="general">마이크로소프트는 서로 다른 두 루프에서 측정한 퍼리티 수명이 명확히 다르게 유지된다는 점은 장치 내부에서 두 개의 독립된 퍼리티 상태가 동시에 존재하고 구분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dd6ae3c859be9dc374bcc9295cfd78142e6861a9a3cb7ea424c11aab50c06ad1" dmcf-pid="25WBXmnbLV" dmcf-ptype="general">이는 토폴로지 큐비트의 핵심 전제이자 실현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물리적 증거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p> <p contents-hash="8f2f3e6f3201a32126fe22c8dbe7b1eb74e43b3428d2206127da1313e60598bd" dmcf-pid="V1YbZsLKR2" dmcf-ptype="general">마이크로소프트는 이번 연구가 위상학적 보호를 받는 큐비트의 초기화와 측정이 가능함을 보여줬으며 토폴로지 큐비트의 실용화에 한 걸음 더 다가선 결과라고 자평하고 있다.</p> <p contents-hash="82fa34c9659cade8a4f6cccace842dbb94396dc8991e1fe54ddb9542287834d9" dmcf-pid="ftGK5Oo9R9" dmcf-ptype="general">마이크로소프트에서 양자컴퓨팅 개발을 이끌고 있는 체탄 나약 부사장은 "이 연구는 마요라나 기반 시스템에서 페르미온 퍼리티에 대한 두 가지 서로 다른 사영 측정을 최초로 입증한 것"이라며 "위상 큐비트에서 수행될 때 이러한 측정은 직교 기저에서의 파울리 연산에 해당하며 이는 양자 계산의 기본 요건"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3ccbd220cbbd1cbc264446f173dc719827ffce016ea0aa37c10468eb5ed1dcd6" dmcf-pid="4FH91Ig2nK" dmcf-ptype="general">그는 "테트론 장치에서 이러한 연산을 시연한 것은 위상 큐비트 기반 확장 가능한 양자 컴퓨팅을 향한 우리의 로드맵에서 또 다른 중요한 이정표"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8d692661f21d692bd144b9357af26c04bc77aebfe6e71935813e0d880590d31f" dmcf-pid="83X2tCaVnb" dmcf-ptype="general">다만 이번 실험은 큐비트를 초기화하고 상태를 구분하는 단계까지만 구현한 것이며 양자 연산(gate operation)과 반복 측정에 기반한 에러 수정(logical error correction)은 아직 과제로 남아 있다.</p> <p contents-hash="3ff5e1819f970ad545b850fcd242bfd267bd15928836c431a85f3de58bf9ef8a" dmcf-pid="60ZVFhNfiB" dmcf-ptype="general">과학계에서는 이 연구가 '유의미한 진전'이라는 의견과 함께 장치의 반복 실험 결과와 다른 연구팀의 독립 검증이 뒤따라야 한다는 신중한 반응도 나오고 있다.</p> <p contents-hash="ab02c49eeea1ebfd74a2e69fc75f370e2f8a971168aa86bd3f2294eb322e2c21" dmcf-pid="Pp5f3lj4Rq" dmcf-ptype="general">남혁우 기자(firstblood@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백현, 첫 유럽 투어 포문…"오세아니아·亞, 열기 잇는다" 07-15 다음 SAP "BDC 경쟁력, 데이터·AI·앱 선순환에 있다" 07-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