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추론 AI 통합” LG, 국내 첫 하이브리드 AI ‘엑사원 4.0’ 공개 작성일 07-15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AtNTcMUmf">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61baeac5b622e170796fc897c29ced15949c2051a7e158c15c54f9e5a115556" dmcf-pid="1cFjykRuI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엑사원 로고. LG AI연구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khan/20250715153342381fikd.png" data-org-width="1100" dmcf-mid="ZiDKLVFOI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khan/20250715153342381fikd.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엑사원 로고. LG AI연구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c11f2b0a34746d55737ba10e41ac6a801fe3a439701e08f39d15675fed6add7" dmcf-pid="tk3AWEe7O2" dmcf-ptype="general">LG AI연구원이 일반 모델과 추론 모델을 통합한 국내 첫 하이브리드 인공지능(AI) 모델 ‘엑사원(EXAONE) 4.0’을 15일 공개했다.</p> <p contents-hash="0dff5a76704e59455c215cb06e2cbf5cf46522291d623073774a3580913de1b2" dmcf-pid="FE0cYDdzr9" dmcf-ptype="general">엑사원 4.0은 자연어 이해와 생성, 지식 기반의 빠른 답변에 강점이 있는 대규모 언어모델(LLM)과 스스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추론 AI 모델을 하나로 결합한 모델이다.</p> <p contents-hash="2287149f0b3797e76bc20698b8095ab6d36f61eb55383ec4f15f4031de9707a4" dmcf-pid="3DpkGwJqmK" dmcf-ptype="general">LG AI연구원은 엑사원 4.0을 연구·학술·교육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글로벌 오픈소스 AI 플랫폼 허깅 페이스에 ‘오픈 웨이트’ 모델로 공개했다. 오픈 웨이트 모델은 AI 모델의 설계도나 학습 데이터는 공개하진 않는다. 다만 AI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알 수 있는 가중치를 공개해 수정이나 재배포가 가능하다.</p> <p contents-hash="571d0d7d23721abc485d20882a7997463fb8059c8f6fd0e9f7304fe7f95a2b44" dmcf-pid="0wUEHriBrb" dmcf-ptype="general">LG AI연구원에 따르면 엑사원 4.0은 AI 모델 성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 비교에서 미국과 중국, 프랑스의 대표 오픈 웨이트 모델을 제치고 세계 최고 수준임을 입증했다. 전문가 모델인 엑사원 4.0 32B(매개변수 320억개)는 AI의 지식수준과 문제 해결, 코딩, 과학·수학 문제 해결 능력 평가 지표에서 알리바바의 큐원3, 미스트랄AI의 미스트랄 스몰, 마이크로소프트의 파이4 등을 앞섰다. 이 모델은 의사, 치과의사, 한약사, 관세사, 감정평가사, 손해사정사 등 6가지 국가 공인 전문 자격필기시험도 통과했다.</p> <p contents-hash="9ffd119929eaaad5f7b45dc4159dec8e55a72df81829385794071c4c70f30142" dmcf-pid="pruDXmnbDB" dmcf-ptype="general">가전 제품과 스마트폰, 자동차 전장 시스템, 로봇 등 기기 자체에서 AI를 구동하기 위한 온디바이스 모델도 개발했다. 온디바이스 모델인 1.2B(매개변수 12억개) 모델은 지난해 12월 공개한 엑사원 3.5 2.4B 모델 대비 크기가 절반으로 줄어 경제적이다. 수학, 코딩, 과학 분야 평가지표에선 오픈AI의 GPT-4o 미니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고 LG는 전했다.</p> <p contents-hash="003b901401e60089254aed1c7cb0e92cc6d5974ade4fd2c86c521544c4ad752f" dmcf-pid="UXxGKZOJwq" dmcf-ptype="general">LG AI연구원은 지난 3월 국내 첫 추론 AI 모델인 ‘엑사원 딥’을 내놓은 지 4개월여 만에 첫 하이브리드 AI 모델까지 내놨다. 현재까지 하이브리드 AI를 공개한 곳은 클로드 개발사인 미국 앤스로픽, 큐원 개발사인 중국 알리바바 정도다. 오픈AI도 차세대 모델인 GPT-5를 하이브리드 AI로 개발 중이다.</p> <p contents-hash="3c55d0272ba238b525c846906dc54099071b133deaa841145d7797406204f121" dmcf-pid="uZMH95IiDz" dmcf-ptype="general">LG AI 연구원은 허깅 페이스의 공식 AI 모델 배포 파트너사인 프렌들리AI와 엑사원 4.0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서비스도 시작했다.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없이 합리적인 비용으로 엑사원 4.0을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p> <p contents-hash="76529d0bc931b635dcf8fed306c40663d3db61b1b83250c799a53daee0ecd986" dmcf-pid="75RX21Cnm7" dmcf-ptype="general">오는 22일에는 ‘LG AI 토크 콘서트 2025’를 열고 AI 기술 연구 개발 성과와 향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진식 LG AI연구원 엑사원랩장은 “엑사원이 한국을 대표하는 프론티어 모델이 될 수 있도록 연구개발을 지속해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을 입증할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8f3e0399c9ea9f67fd7f1bf66b6f11d98e6e460a638f65d8fd35fd610fccc9df" dmcf-pid="z1eZVthLEu" dmcf-ptype="general">노도현 기자 hyunee@kyunghyang.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멸망 예언 속 정신을 조종하는 해적의 등장…'파운데이션3' 07-15 다음 늘이엔티 백준현 대표 “K-콘텐츠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 07-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