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이 미래다] 〈167〉1992년 대덕연구단지 준공…韓 과기 메카로 작성일 07-15 2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QH5E6kP5b"> <p contents-hash="81635927ef9eebbbf9f27d51f4d82b9fed39324988c1a39bcbae83c7199682e5" dmcf-pid="GKhvLBnbZB" dmcf-ptype="general"><strong>연구·교육·주거 공존…국내 최초·최대 과학기술도시 탄생<br></strong><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2c68ab44d8034b6e57309bf166f70ab8acb57e150c13293b6408634d785d228" dmcf-pid="H9lTobLKZ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대덕연구단지 조성 준공식이 1992년 11월 27일 오전 11시 노태우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렸다. 〈국가기록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5/etimesi/20250715160254481xpdv.jpg" data-org-width="575" dmcf-mid="WCPM3sFO1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5/etimesi/20250715160254481xpd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대덕연구단지 조성 준공식이 1992년 11월 27일 오전 11시 노태우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국립중앙과학관에서 열렸다. 〈국가기록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e579a569d2f13fb46e257a32da85cb49f4aec1e7c64414c54341c862cff65c9" dmcf-pid="X2SygKo9Zz" dmcf-ptype="general">“두두두두….”</p> <p contents-hash="b00a4330a26663fe85db96bf661f002bb90cb8216c617a8e0c969c9b5a5a5c4c" dmcf-pid="ZVvWa9g257" dmcf-ptype="general">구름 한 점 없는 파란 하늘에 굉음을 내며 3대의 헬리콥터가 충남 대덕연구단지 국립중앙과학관 상공에 나타났다. 잠시 후 헬기는 세찬 바람을 일으키며 국립중앙과학관 광장에 착륙했다.</p> <p contents-hash="07b3b24a6ead7abd05fb121d6ee035ef66e4f0a12afd4178d28b5b75a51b2fb6" dmcf-pid="5fTYN2aVZu" dmcf-ptype="general">청와대 경호실 요원들이 사방을 경호하는 가운데 헬기에서 노태우 대통령이 내렸다. 그 뒤를 김진현 과학기술처 장관과 정해창 대통령 비서실장 등이 따랐다.</p> <p contents-hash="023503ffae6e5dc80d959c5618015eddb2e8fe075aafd256933040394892e8de" dmcf-pid="14yGjVNfZU" dmcf-ptype="general">1992년 11월 27일. 노태우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 국립중앙과학관 대강당에서 열린 한국 최초의 과학기술도시인 대덕연구단지 조성 준공식에 참석했다.</p> <p contents-hash="8f52b83a0285438620497c6335ff2bf4edcced4ffc9dcce696c3add469b6e386" dmcf-pid="t8WHAfj4tp" dmcf-ptype="general">김진현 전 장관의 회고.</p> <p contents-hash="dc36612f8c7e35b98c4b9e001b91d60e896918dfc66097e0b1d196a4ac6887a4" dmcf-pid="F6YXc4A8H0" dmcf-ptype="general">“청와대 비서실에서 이날 아침 청와대로 와서 대통령과 같이 대덕 현지로 가자는 연락이 왔다. 서울과 대덕을 대통령 전용 헬기로 왕복했다. 노 대통령 퇴임을 3개월 앞둔 시점이어서 감회가 겹쳐 있었다. 나도 대통령과 단둘이 이야기할 수 있었던 처음이자 마지막 기회였다. 특히 따님(노소영 아트센터 관장) 자랑과 사위(최태원 SK그룹 회장) 이야기, 대덕연구단지의 장래 이야기, 6공 장관들 이야기 등을 나누었다. 인간 체취가 물씬 풍기는 시간이었다.” (대한민국 성찰의 기록)</p> <p contents-hash="98837e15e72affdcd61659fbdd8c27a68a055db05f264a749a1be7b7e9a95db2" dmcf-pid="3PGZk8c6X3" dmcf-ptype="general">청와대 전 경호실 관계자의 말.</p> <p contents-hash="02ddfcb6450974e015889ea95ee28a7b39b617e517f47124ee06fe79656776ed" dmcf-pid="0QH5E6kPHF" dmcf-ptype="general">“대통령이 헬기를 이용할 경우 헬기 3대가 함께 움직입니다. 대통령이 어느 헬기에 탑승했는지 알 수 없도록 중간에 위치를 바꾸며 이동합니다. ”</p> <p contents-hash="b5375ce5b8359558cbf98ca3820d235dc761c95ef12300d57f24dad28cb9cc41" dmcf-pid="pxX1DPEQXt" dmcf-ptype="general">오전 11시.</p> <p contents-hash="57f39ef69feb881c9dc5bda43b764e28910bc8cd3edcbf4b918e160e4f721caf" dmcf-pid="UpDmx3Q0H1" dmcf-ptype="general">“지금부터 대덕연구단지 조성 준공식을 거행하겠습니다.”</p> <p contents-hash="9826fcb243e04e807efe6caabaa298978c12269e221c442e0504ef3f3f4e0226" dmcf-pid="uUwsM0xpG5" dmcf-ptype="general">준공식에는 최각규 경제부총리를 비롯해 관계부처 장관과 과학기술단체장, 정부출연연구기관장, 민간연구기관장, 입주기관장, 연구원, 지역인사 등 800여명이 참석했다.</p> <p contents-hash="4815606ee4b5ca374f64bb8e7bffe48315660e503c63c8102336755b79058259" dmcf-pid="7urORpMUtZ" dmcf-ptype="general">준공식은 김진현 과학기술처 장관의 경과보고와 단지 조성 및 연구개발 유공자에 대한 포상, 대통령 치사 순으로 진행했다.</p> <p contents-hash="cf7ab2bf8d70d09064f58645b3b711e676506c174cc41935eaaad668d8748bca" dmcf-pid="z7mIeURuYX" dmcf-ptype="general">노태우 대통령은 이날 치사를 통해 “우리는 2001년까지 과학기술 7대 선진국에 반드시 진입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해 온 국민과 사회 각계가 뜻과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25e07c11c0a2ecc589adf0488a5777045f0f11c49543bcbb1cfab1663d2ac725" dmcf-pid="qzsCdue7tH" dmcf-ptype="general">노 대통령은 “우리가 세계 흐름에 맞춰 선진국 진입이라는 국민 염원을 이루기 위해서는 '과학기술입국'과 '과학기술 자립'을 실현하는 길 외에는 다른 방도가 없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09158821d28075049f58ec39a619e7c15c0b997bcbec73afa23ddc8743e54f5f" dmcf-pid="BqOhJ7dz1G" dmcf-ptype="general">노 대통령은 “오늘날 세계 과학기술의 교류와 협력에 높은 장벽이 놓여 있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라면서 “과학기술을 우리가 이전해 주느냐, 남의 기술을 이전 받느냐에 따라 선진국과 후진국으로 갈리게 되는 만큼 대덕연구단지 준공을 과학기술 입국과 자립을 앞당기는 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 역설했다.</p> <p contents-hash="3bfc9055086fdf95b7f3d788327d78a27b59e904c9858aecdbac8fb2ec29f2b0" dmcf-pid="bBIlizJqtY" dmcf-ptype="general">김진현 장관은 경과보고에서 “1973년 박정희 대통령의 지시로 '대덕연구단지 건설기본계획'이 확정된 지 20년 만에 준공식을 갖게 된 대덕연구단지는 연구·교육·주거가 공존하는 국내 최초이며 최대인 과학기술전원도시”라면서 “ 정부는 연구단지 건설의 기본방향을 21세기를 향한 창조적 과학기술입국 기반 형성,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대학 민간연구소의 적절한 배치를 통한 산·학·연의 긴밀한 연계 도모, 공해 없고 문화휴식 공간을 고루 갖춘 쾌적한 전원형 과학공원도시 건설로 잡고 조성 사업을 추진했다”고 보고했다.</p> <p contents-hash="615f23519a1e3e7dfc2a831497f4419e404d458aae891a6964126275d365f58d" dmcf-pid="KbCSnqiBXW" dmcf-ptype="general">김 장관은 “서울에서 남쪽으로 160㎞, 대전직할시 중심에서 약 8㎞ 지점에 있는 대덕연구단지 총면적은 843만평이다. 이 가운데 연구시설지가 51%인 422만평, 주거지가 69만평, 나머지는 녹지로 꾸며져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a7dd628d7908dc0decf13407f5a09fb58267f2075153765d04e36e7ffb16bb81" dmcf-pid="9KhvLBnbZy" dmcf-ptype="general">김 장관은 “현재 이곳에는 한국표준과학연구원·한국원자력연구소·한국화학연구소 등 15개 정부출연연구기관과 럭키중앙연구소·쌍용중앙연구소 등 8개 민간연구기관, 국가기관 3개, 투자기관 4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비롯한 교육기관 3개 등 총 33개 기관이 입주해 있다”면서 “1995년까지 민간연구기관 23개, 정부투자기관 6개 등 32개 기관이 입주하면 모두 65개 기관 2만여명의 연구원과 직원을 비롯해 상주인구는 7만여명에 달한다”고 보고했다.</p> <p contents-hash="3db3187cf68afed19e15b9595d3e58abefc0fc007ac911340b793fac351942ce" dmcf-pid="29lTobLKHT" dmcf-ptype="general">노 대통령은 이날 준공식에서 조성헌 한국토지개발공사 처장 등 단지 조성과 연구개발 성과에 기여한 18명의 유공자에게 훈장과 포장, 대통령 표창장을 수여하고 이들의 노고를 치하했다.</p> <p contents-hash="d200c2c158c11c31aa839ffdc5295c2419fb1c44ecd385f0a0455dcd22b4a6e7" dmcf-pid="V2SygKo91v" dmcf-ptype="general">수상자는 다음과 같다.</p> <p contents-hash="22c419595d0adfcef227071a6d4924e60ad7c00b8e126c5f43ce30bc6e0c1b0b" dmcf-pid="fIPM3sFOXS" dmcf-ptype="general">△국민훈장 동백장= 조성헌 (한국토지개발공사처장) △국민훈장 목련장=심상률(한국표준과학연구원행정관리부장), 남수우(한국과학기술원 교수) △국민포장= 안환길(한국토지개발공사 대덕국가공단 사업단장), 오군섭(한국기계연구원 책임연구원), 박만식 (충남대 교수) △대통령표창= 강정극(한국해양연구소 책임연구원), 오성해(과학기술처 건축기좌), 용영용(대전지방국토관리청 행정사무관), 심재동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육석중(한국원자력연구소 책임연구원), 김효정 (한국원자력안전 기술원 책임연구원)</p> <p contents-hash="0150f53fa86bdd3c4a03baa8cbe5969d5bd16f393852a1c10d26b1a7fc976ff0" dmcf-pid="4CQR0O3I1l" dmcf-ptype="general">노 대통령은 이어 국립중앙과학관 특별전시장에 마련한 '연구개발 성공사례 전시장'을 둘러보며 전시품을 관람했다. 노 대통령은 전시장에서 우리별 1호 모형을 보며 천성순 한국과학기술원장(KAIST)의 설명을 듣기도 했다.</p> <p contents-hash="af252508b30e32dbb848ed8dd1b8a86ed85594d2b73e7e9f4805e6ec8e53a98e" dmcf-pid="8hxepI0Cth" dmcf-ptype="general">노 대통령은 이날 단지 조성 준공을 기념하는 상징 조형물인 '뫼비우스의 띠'와 대덕연구단지 준공기념 표지석 제막도 했다.</p> <p contents-hash="002f8a640f9d50f3842e4aff7c45f62a5e340f1ad07017f0a5ab4d7cecf9455b" dmcf-pid="6lMdUCphZC" dmcf-ptype="general">김석권 당시 대덕연구단지 관리소장의 증언.</p> <p contents-hash="f3ed09ad3133ada6a59737f3cf5b6bccfb9c840228e89c53ebfe5e6b13ec9c69" dmcf-pid="PSRJuhUlGI" dmcf-ptype="general">“대덕연구단지 준공식을 앞두고 연구단지를 상징하는 조형물을 건립하기 위해 전문가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조형물 설계를 공모했다. 10여 점의 상징물을 접수해 몇 차례 논의를 거쳐 '뫼비우스의 띠'로 결정했다. 대덕연구단지 표지석은 서울 서초구 방배동 석재동산에서 옮겨와 대통령 휘호를 받아 국립중앙과학관 광장에 건립했다.” (과학기술 선진국을 이룬 숨겨진 이야기들)</p> <p contents-hash="d696507df8db325c730e8484fc899388aceef18d4d48a4e1a8ac8f26fe1024ab" dmcf-pid="Qvei7luSXO" dmcf-ptype="general">노태우 대통령은 이날 오후 대전엑스포 건설 현장을 방문해 엑스포 홍보관에서 오명 조직위원회 위원장과 관계부처 장관, 지역인사, 참가업체 대표와 관계자 등 8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엑스포 준비 상황 점검회의를 주재했다.</p> <p contents-hash="c6c46e019b0bcc73fa86c68b0587db4ec9e1e36a20f63f5a22b9e956fda19005" dmcf-pid="xTdnzS7v5s" dmcf-ptype="general">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88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러낸 것과 마찬가지로 엑스포도 개발도상국 가운데에는 최초로 개최하는 박람회인 만큼 준비에 만전을 기해 달라”면서 “엑스포를 통해 국민 의식을 새롭게 하고 과학기술과 경제·문화 역량을 높이는 결정적 계기를 마련해 달라”고 당부했다.</p> <p contents-hash="8861fdbb7de1717da909405b9da5d7b88cbd7261b02e8dfa3d4234c124896e09" dmcf-pid="yQH5E6kPYm" dmcf-ptype="general">정해창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의 증언.</p> <p contents-hash="54bfd8254a6f84c4992102eb563ded8280bd7f40a4cbfc03cc84de53df749dcb" dmcf-pid="WxX1DPEQXr" dmcf-ptype="general">“노 대통령은 준공식에서 과학기술 입국과 과학기술자립을 실현하는 길이 곧 선진국 진입의 국민 영원을 달성하는 길이라는 확신 아래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여러 가지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말씀하셨다. 과학기술에 대한 대통령의 관심과 열의는 과학기자클럽이 지어 준 '과학 대통령'이란 별명에 걸맞은 것이라고 생각했다.”(대통령 비서실장 791일)</p> <p contents-hash="16919bb9fef4a9001e1b9a19d735eac15116ac572691f0d300acd74ed9a073ca" dmcf-pid="YMZtwQDxGw" dmcf-ptype="general">대덕연구단지는 27일부터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발달사와 기술 수준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특별전시회를 93년 2월 말까지 대덕 국립중앙과학관 특별전시실에서 열었다.</p> <p contents-hash="7f4fa41679399b8e865379d8b8fdc351ea297663c494fb9ea16df48734eea3a6" dmcf-pid="GR5FrxwM5D"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처가 건설을 시작한 지 20년 만인 대덕연구단지 준공을 기념해서 마련한 '연구개발 성공사례 전시회'였다.</p> <p contents-hash="2490d8f6e13786a9caef2388b36ff173d087996a508e0a9fb697655e995bd6db" dmcf-pid="Hrf65DZw5E" dmcf-ptype="general">지난 20년 동안의 연구개발 성과를 총정리하고 점검해 보는 전시회에는 모두 102점의 성공 사례가 선보였다. 이들 전시 품목을 시대별로 보면 1970년대 5점, 1980년 전반 29점, 1980년대 후반∼1990년대 68점 등이다.</p> <p contents-hash="68fec4c7ae79d32907b3f674722dfdb74e6e9634a93130a2460364368654075a" dmcf-pid="Xm4P1w5r1k" dmcf-ptype="general">연구 주체별로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 85점으로 가장 많고 연구단지에 입주한 민간 공공연구기관 8점, 연구원 창업기업개발사례 4점, 대학우수연구센터 3점, 한국·러시아 공동연구개발 2점 등 순이었다.</p> <p contents-hash="9f8aac03708317cefb25d115d790259c89cfe7b7ff0c1a2411c140d64fc8bcfb" dmcf-pid="Zs8Qtr1mYc" dmcf-ptype="general">기술 분야는 컴퓨터의 경우 1970년대 중반에 개발하여 생산량의 대부분을 수출한 국산 탁상용 전자계산기 민트론을 비롯해 8비트 교육용 소형컴퓨터, 행정전산망용 주전산기, 88올림픽 경기 정보시스템, 등을 전시했다</p> <p contents-hash="d7687ec0e85cef4b73464c5814983b6e4f7af9ba202f80a10d011e389f4ae739" dmcf-pid="5O6xFmts1A" dmcf-ptype="general">정보산업 분야에서는 초고집적 반도체 16M D램과 종합정보통신망의 기반이 된 TDX-10 전전자교환기, 원격 컬러사진 전송시스템, 행정전산망용 주전산기 등이 특히 주목받았다.</p> <p contents-hash="651d3699b20a716e4474ba68bca3f53a354dbf62f52371fab40e7bc4219f9764" dmcf-pid="1IPM3sFOGj" dmcf-ptype="general">대덕연구단지는 이후 명실상부한 한국 과학기술 메카로 자리 잡았다.</p> <p contents-hash="e309a372058bb439d8d5a066329b7788cdaec6b8396cd9f0028d71f533cb03ea" dmcf-pid="tCQR0O3IHN" dmcf-ptype="general">이현덕 대기자 hdlee@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중부지방에 '되돌아온 장마'…20일 이후 다시 폭염 07-15 다음 [전문가 기고] 정보보호 핵심은 '기술'이 아닌 '거버넌스' 07-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