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재주부린 곰' 위기…인재이탈·MS갈등·재정악화 삼중고 작성일 07-16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무라티·반살 등 창립·핵심 잇단 이탈…'올트먼 리더십 한계'<br>MS와 PBC전환·IP전략·지분율 갈등심화에 '6년 동맹' 위기</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wCaXcGkt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aeac176f4fddb0bfc72d375e6c0a29c617db995dae729e1620b352c987490ba" dmcf-pid="3rhNZkHEt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샘 올트먼 오픈AI CEO ⓒ AFP=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WS1/20250716070125162uvcn.jpg" data-org-width="1400" dmcf-mid="5wEeSnhLt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WS1/20250716070125162uvc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샘 올트먼 오픈AI CEO ⓒ AFP=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278ef9b498a91818cd74812f03ff42f654296480464131cdc75eeb83e5f3408" dmcf-pid="0mlj5EXDH0"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챗GPT로 인공지능(AI) 업계 선두자리를 지켜온 오픈AI가 핵심 인재 이탈에 이은 주요 투자자 마이크로소프트(MS)와 갈등 심화, 재정 악화·경쟁 심화 등 복합적 위기에 빠졌다.</p> <p contents-hash="da73041f610d59b763060f9669a005f19f4df0e988a06e48ab0b38bf757ed6ba" dmcf-pid="psSA1DZw53" dmcf-ptype="general">16일 IT 업계에 따르면 '챗GPT 어머니'로 불린 미라 무라티 전 최고기술책임자(CTO)가 지난해 9월 퇴사한 이후 핵심 경영진 10여 명이 잇따라 회사를 떠났다.</p> <p contents-hash="256b7179f2c96d7fb3a1eb5fa9ae4f4c7646dd4486de1a0e9f203c350566b23d" dmcf-pid="UOvctw5r5F" dmcf-ptype="general">무라티는 챗GPT·DALL-E·소라(Sora) 등 핵심 프로젝트를 총괄해왔지만, 샘 올트먼 CEO 리더십 및 오픈AI의 영리기업 전환 방침에 이견으로 퇴사했다. </p> <p contents-hash="5ab743caf71ff1cbc8bebb19ab6257dfd5cf45036d6c91516b0997026c71c23d" dmcf-pid="uITkFr1m5t" dmcf-ptype="general">올트먼 해임 사태 당시 무라티 등 이사회 멤버들은 올트먼의 리더십을 '심리적 학대'라고 표현한 것으로 알려졌다.</p> <p contents-hash="dc31971b95bebcd7c21129d313957392b4ae5fa85b7a5474507417bc24c69b99" dmcf-pid="7DIgHAYc51" dmcf-ptype="general">오픈AI 공동 설립자이자 수석과학자였던 일리야 수츠케버(현 세이프슈퍼인텔리전스 CEO)도 앞서 올트먼과 AI 개발 속도·안전성 문제 등으로 이견을 빚다 회사를 떠났다.</p> <p contents-hash="6bb2d07386e20e8542b429d2a2a23005db4fc1931c6fc7017f70967d453e5b56" dmcf-pid="zwCaXcGk15" dmcf-ptype="general">현재 오픈AI에는 창립 멤버 11명 중 올트먼과 보이체흐 자렘바 언어·코드 생성 팀 리더만 남았다.</p> <p contents-hash="e40548c84a43f3a8ea91af936a0c110ee9a07540e10439445ae1089f8671578c" dmcf-pid="qrhNZkHEGZ" dmcf-ptype="general">올트먼이 이후 영입한 핵심 연구원들도 최근 '인재 블랙홀'이 된 메타로 줄줄이 이탈하고 있다. 첫 번째 AI 추론 모델 'o1' 개발 핵심 연구원 트래핏 반살을 포함해 메타로 이직한 핵심 연구원은 12명에 달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cf0f10e2f43eb087c2e3718c6bbc12bf7972a7891d6cfad33aa848f771857cb" dmcf-pid="Bmlj5EXD5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티야 나델라 MS CEO(왼쪽)과 샘 올트먼 오픈AI CEO(샘 올트먼 CEO X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WS1/20250716070127450muyp.jpg" data-org-width="340" dmcf-mid="1iWD0sFOZ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NEWS1/20250716070127450muy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티야 나델라 MS CEO(왼쪽)과 샘 올트먼 오픈AI CEO(샘 올트먼 CEO X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65d0d8125c8ad8ee76d185e57ce64de7811662d9aba05c69cb20e8e9e4516b4" dmcf-pid="bsSA1DZwYH" dmcf-ptype="general">MS와 관계도 공익기업(Public Benefit Corporation·PBC) 전환을 둘러싼 갈등을 시작으로 악화일로다.</p> <p contents-hash="49c5ac6fe335878a89ecd0614b781423fb09d731441ca1cdc9efb7fadf8d01b5" dmcf-pid="KOvctw5rYG" dmcf-ptype="general">오픈AI의 AI 에이전트 기업 윈드서프(Windsurf) 인수 시도(30억 달러 규모)는 MS와 지식재산권(IP) 갈등으로 무산됐고, 이후 바룬 모한 윈드서프 CEO와 핵심 연구진은 구글 딥마인드로 이직했다.</p> <p contents-hash="b6a91d3e04062e2a4a52b66aa719ec81076db94990d9695b9dd583dbf1baeef9" dmcf-pid="9ITkFr1mXY" dmcf-ptype="general">오픈AI의 PBC 전환에는 MS의 승인이 필수적인데 PBC 지분율 갈등으로 협상은 8개월째 교착상태에 빠졌다. 일각에선 오픈AI가 MS 상대 반독점 소송을 검토하고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p> <p contents-hash="d97d3e13324bdbb75995cfb7c5d87bfc214ffd99bc7868cfd40551f49bbbecef" dmcf-pid="2CyE3mtstW" dmcf-ptype="general">AI 기술 경쟁 환경도 급변하고 있다. 중국의 AI 스타트업 문샷AI가 이달 11일 공개한 오픈소스 모델 '키미 K2'(Kimi K2)는 'SWE-벤치 베리파이드'에서 65.8%의 정확도를 기록해 GPT-4.1의 54.6%를 넘어섰다.</p> <p contents-hash="54e66e89bd073769008ef9efc0d8eec624ce44cb22d586297f182ec927843a30" dmcf-pid="VhWD0sFOYy" dmcf-ptype="general">딥시크 'R1-0528', 알리바바 'Qwen 2.5' 바이두 'Ernie 4.5' 등의 오픈소스 모델도 경쟁 압박으로 작용하고 있다.</p> <p contents-hash="4ef7bb9ed6a86dbbcdacc4cf94ee12df6ff32bf89bf8b9fb8e3a89c768c849f2" dmcf-pid="fSGrUI0C1T" dmcf-ptype="general">이런 상황에서 오픈AI는 다음 주 공개 예정이었던 오픈소스 모델 출시를 또 연기했다. 차세대 통합모델 GPT-5 출시 시점도 지연되고 있다.</p> <p contents-hash="601dac6b523d794b35bd3f9450d9ca2d1f75954a284c40e8e90b1a72de13dc36" dmcf-pid="4vHmuCph5v" dmcf-ptype="general">업계 관계자는 "핵심 인재들의 잇단 유출로 챗GPT 신규 모델이 이전과 같은 획기적인 개선을 보여주지 못하면서 기술 추격 압박이 거세지고 있다"며 "오픈AI가 내년 약 140억 달러의 손실을 볼 것이란 전망 등 재정적 상황도 악화하면서 재주는 오픈AI가 부리고 돈은 구글 등이 벌 것이란 예상까지 나오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8b6af6fb06667083f697fa44a2727e7449ba8b4711da84ad5239578e48a3f7ec" dmcf-pid="8TXs7hUl5S" dmcf-ptype="general">ideaed@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단독] "뭐가 싸?" 약정 vs 지원금 고민 끝…단통법 폐지 후 바뀌는 것 07-16 다음 네오플 노사 갈등에 결국···'던파' 20주년 축제 취소 07-1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