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 주범은 운동 부족 아닌 과잉 섭취 작성일 07-16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미 듀크대, 인구 집단 간 에너지 소모량 비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kLKP2aVAJ">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c28fd2ff950241cb1b5e2a4ff3b0891ac2656534ebf7badea58a0003f2a12d3" dmcf-pid="PwaVM4A8g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REUTERS"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6/chosunbiz/20250716113406262gpyq.jpg" data-org-width="3500" dmcf-mid="89HECw5rj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6/chosunbiz/20250716113406262gpy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REUTERS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716d4dc374dd2230e372c242506d62cd7a10299ccaf5fa40484a5c4b3b3f5f6" dmcf-pid="QrNfR8c6ke" dmcf-ptype="general">세계적으로 10억명 이상이 겪고 있는 비만의 원인이 운동 부족보다 많이 먹기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는 비만이 운동 부족 때문이라는 통념에 제동을 걸고 칼로리(열량) 과잉을 줄이기 위한 정책 개입의 필요성을 시사한다.</p> <p contents-hash="3630af357d91bc220a9ff9541c95fbad415613984c31129c095b2aa02d223ad3" dmcf-pid="xmj4e6kPcR" dmcf-ptype="general">허먼 폰처(Herman Pontzer) 미국 듀크대 교수 연구진은 여섯 개 대륙에 사는 다양한 경제 수준과 생활 방식을 가진 수천명의 에너지 소비량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지난 14일(현지 시각)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는에 발표했다.</p> <p contents-hash="4f20e6700d91cd2842f808ac91c91eb3a19adee472c458715677bbbf74f6ae17" dmcf-pid="yKphGS7vgM" dmcf-ptype="general">연구진은 참가자들의 칼로리 소비량을 분석했다. 물을 마신 뒤 이후 체내 대사를 통해 소변으로 배출된 산소와 수소 동위원소 비율을 분석해 칼로리 소비량을 정밀하게 측정하는 방식이다. 이와 함께 호흡, 체온 조절 같은 기초 대사와 소화 과정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외하고 실제 신체 활동으로 소모된 칼로리를 계산했다.</p> <p contents-hash="e5e3b5c878b5319e861657c0f9bcc320461a4f34061beb9544a7dac1e0b3cf66" dmcf-pid="W9UlHvzTkx" dmcf-ptype="general">분석 결과, 경제적으로 더 발전된 사회에 속한 그룹은 체격을 고려해도 평균적으로 에너지 소비량이 약간 낮은 편이었다. 하지만 이 차이가 비만율의 뚜렷한 차이를 설명할 정도로 크지 않았다. 에너지 소비는 몸을 얼마나 썼는지 알려준다.</p> <p contents-hash="8f05a5ad07198bd314e0d1ff70ea849f30203071be0ffe8b0549155e455bc647" dmcf-pid="Y2uSXTqycQ"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에너지 소비 차이가 경제 발전 수준과 비만 지표 간의 연관성을 설명하는 데 기여하는 비중은 10%에 불과하며 나머지 90%는 결국 과잉 섭취가 원인이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3d2a56ec24303856080bf53880e9816848b8a0e575220912d438f935ce7164c1" dmcf-pid="GV7vZyBWjP" dmcf-ptype="general">논문 공동 저자인 어맨다 맥그로스키(Amanda McGrosky) 미국 일론대 교수는 “집단 간 에너지 소비량 차이는 적고, 지역 간 편차도 컸다”라며 “그 차이 대부분은 신체 활동보다는 기초 대사량의 차이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b061c4bd6ebbb8d406fc2a8f2892f28f891e896c441f97bd5302ccdbede63529" dmcf-pid="HfzT5WbYA6" dmcf-ptype="general">다만, 학계에선 이번 연구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도 잇따라 나왔다. 연구에 참여하지 않은 일리노이대의 역학자 바네사 오도(Vanessa Oddo) 박사는 “이번 결과는 에너지 섭취 증가가 비만의 주요 원인이라는 현재의 학계 중론과 일치한다”면서도 “이번 연구는 간접 측정과 모델링에 기반했기 때문에, 인과관계를 단정 짓기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517852833b6559961ce999571e99577f729a372de9206c3105de232030c05d7f" dmcf-pid="X4qy1YKGc8" dmcf-ptype="general">생물통계학자 제프 골드스미스(Jeff Goldsmith) 컬럼비아대 교수도 “객관적인 에너지 소비량과 체지방률 측정을 활용한 점은 높이 평가한다”면서도 “수렵 채집 사회나 원예 농업 사회에 해당하는 데이터는 수십 명에 불과해 표본의 불균형이 우려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58d19113b3885831b32719181f0b720fb103780e19dbe5a1b486d50cf0d1f365" dmcf-pid="Z8BWtG9Ha4" dmcf-ptype="general">실제 연구팀은 참가자 개인의 식단을 직접 조사한 것은 아니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발전된 사회의 식습관이 정확히 어떻게 비만을 유발하는지 구체적으로 파악하진 못했다. 다만 평균적으로 고열량·초가공 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집단에서 체지방률이 더 높았다는 경향이 관찰됐다.</p> <p contents-hash="3c0b40090d6caddb7f9a56bd0bb78a7fa88fead8953a8c0bb469d053459a7af4" dmcf-pid="56bYFH2Xaf" dmcf-ptype="general">맥그로스키 교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이번 결과가 운동의 중요성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그는 “신체 활동은 전반적인 건강에 매우 중요하다”면서 “다만 운동이 전체 에너지 소비에 미치는 효과가 과거에 생각했던 것만큼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라고 덧붙였다.</p> <p contents-hash="06aed753b8191bd97263962173164859d39e47d76f7725f3b74cf0a91ec3bbe6" dmcf-pid="1PKG3XVZjV" dmcf-ptype="general">참고 자료</p> <p contents-hash="36a5899bb4206c34e1fc720a3c75efafea6bcf561965202fb4f749e2a4631277" dmcf-pid="tQ9H0Zf5k2" dmcf-ptype="general">PNAS(2025) DOI<span>: https://www.pnas.org/doi/full/10.1073/pnas.2420902122</span></p> <p contents-hash="2bd40b294badf9e2da4e3b3c9784204797b3e535f7d2cb059edfea68c9105cd2" dmcf-pid="FDg2xfj4o9"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예지원, 영화 ‘여름이 지나가면’ 응원… “올여름 가장 깊은 여운을 남길 작품” 07-16 다음 [ZD e게임] 라인게임즈 '엠버 앤 블레이드', 뱀서+소울 전투 감성 '제대로' 07-16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