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진부터 좌석·화장실까지, 우리 거쳐야 항공기 된다“…佛 최대 휴대폰 제조사의 변신 작성일 07-18 1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유럽 우주항공 수도, 프랑스]⑤ 사프란 E&D 연구소<br>ICT 기업과 엔진 기업 합병해 탄생<br>항공우주·방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br>차세대 성장동력으로 AI·우주에 투자</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vbT0mtsoB">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5ecf87cee1ac345b3d36edf9a80066f66b83f6ff929515a4ec004573644edcc" dmcf-pid="3TKypsFOA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프랑스 마씨에 있는 사프란 E&D(Safran Electronics & Defense) 연구소. 사프란은 전자·통신 기업인 사젬과 항공 엔진 전문 기업인 스네크마가 합병해 탄생했다./사프란 그룹"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8/chosunbiz/20250718060225562qwea.jpg" data-org-width="1800" dmcf-mid="ZUDosxwMa2"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8/chosunbiz/20250718060225562qwea.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프랑스 마씨에 있는 사프란 E&D(Safran Electronics & Defense) 연구소. 사프란은 전자·통신 기업인 사젬과 항공 엔진 전문 기업인 스네크마가 합병해 탄생했다./사프란 그룹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e4da279ab31b57173c34a99b3ac6f30d5a23aedd25809f4f3e555fa08816d19" dmcf-pid="0y9WUO3Ic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8/chosunbiz/20250718060225863asas.png" data-org-width="1800" dmcf-mid="53f7P541g9"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8/chosunbiz/20250718060225863asas.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2ae7fc76c31d13e956f6c33d37d836d650c2af1144a85746fbc480c81f7cd88b" dmcf-pid="pW2YuI0Ca7" dmcf-ptype="general">프랑스 파리에서 차로 30~40분 남쪽으로 내려가면 마씨(massy)라는 작은 도시가 나온다. 프랑스 전역을 연결하는 오를리 공항과 고속철도 떼제베(TGV) 역이 있는 교통의 요충지다. 한국으로 치면 광명이나 김포 정도 되는 곳이다. 최근 프랑스의 혁신 기업들이 하나둘 이곳에 자리를 잡고 있다. 프랑스를 대표하는 항공우주·방산 기업인 사프란도 그중 하나다.</p> <p contents-hash="6d3f171159a28901c6b232d937d9b00f98cec2843c45af854234e07edcb88a52" dmcf-pid="UYVG7Cphku" dmcf-ptype="general">지난 1일 마씨에 있는 사프란 E&D(Safran Electronics & Defense) 연구소를 찾았다. 사프란 E&D는 사프란 그룹에서 전자·방산 분야를 담당하는 회사다. 프랑스 전역에 연구, 생산시설이 있는데, 그중 마씨의 연구소가 핵심이다. 뤼시 바통(Lucie Bâton) 사프란그룹 홍보담당관을 따라 쇼룸에 가니 사프란그룹이 생산하는 항공우주·방산 분야의 주요 제품들이 전시돼 있었다.</p> <p contents-hash="9dcc15ad790d0550853222eb0652a7aa1c2495db3bf25634b5bea54d55348c52" dmcf-pid="uGfHzhUlkU" dmcf-ptype="general">사프란그룹은 완성품을 직접 만들기 보다는 다양한 부품과 구성품을 만들어 완성품 제조사에 납품하는 일을 주력으로 한다. 에어버스가 만드는 항공기의 많은 부품들이 사프란의 손을 거친다. 국내에서 제작되는 전투기와 구축함, 인공위성에도 사프란의 핵심 부품이 들어간다.</p> <p contents-hash="95d3ea556d270e9c742a28539bdfcd303994c77a3b814636a5962991060a6e7f" dmcf-pid="7Qmxj9g2ap" dmcf-ptype="general">취재에 동행한 백윤형 사프란코리아 부사장은 “민항기에서는 조종실의 핵심 전자 부품부터 탑승객이 앉는 시트, 화장실과 주방까지 모두 사프란이 만들고 있다”며 “한국에서도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같은 정부 기관뿐 아니라 한국항공우주산업(KAI), 한화오션, 현대위아, 대한항공, HD현대중공업 같은 기업들도 사프란의 고객”이라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ee063c4b90620110b95a90c4f6fd45801f1ce24fa1d68ca8db714704dab0981" dmcf-pid="zxsMA2aVg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지난 6월 16일, 프랑스 파리 외곽 르부르제에 위치한 파리-르부르제 공항에서 열린 제55회 국제 파리 에어쇼에서 사프란 AASM 해머 250 XLR 미사일이 전시돼 있다./AFP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8/chosunbiz/20250718060227228ccao.jpg" data-org-width="5000" dmcf-mid="13gMA2aVc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8/chosunbiz/20250718060227228cca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지난 6월 16일, 프랑스 파리 외곽 르부르제에 위치한 파리-르부르제 공항에서 열린 제55회 국제 파리 에어쇼에서 사프란 AASM 해머 250 XLR 미사일이 전시돼 있다./AFP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98f408002452a212c4db0f26bc2f04e9e4ba9941446e0646685ec62ede91acf" dmcf-pid="qMORcVNfo3" dmcf-ptype="general">항공·우주·방산 전 분야에 걸쳐 다양한 제품을 만들다 보니 사프란 쇼룸을 보는데만 1시간이 걸렸다. 여러 항공기에 사용되는 액추에이터(구동기), 사프란이 만든 미래병사체계인 펠랑(Felin), 비관통형 잠수함 잠망경 같은 첨단 방산 제품들을 한 자리에서 볼 수 있었다.</p> <p contents-hash="153980b5a2c6edd35db654453201920358adaf6d684f644c6017d229f8323143" dmcf-pid="BRIekfj4jF" dmcf-ptype="general">사프란의 전자 분야 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을 담당하고 있는 브루노 막셰디에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새로운 무기와 기술에 대한 수요가 늘었다”며 “최근에는 GPS(위성항법시스템)와 달리 재밍에서 자유로운 관성항법장치가 각광받고 있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2164048847ae6421fb21b4851d20b9bb3eb50ed98f198084c88c79aae0e83710" dmcf-pid="beCdE4A8at" dmcf-ptype="general">사프란그룹은 지난해 273억유로(약 44조335억원) 매출을 올렸다. 전 세계 30개국에서 10만명의 인력을 고용하고 있고, 한 해 연구개발(R&D) 비용만 19억8000만유로(약 3조2024억원)에 달한다.</p> <p contents-hash="cf799ee8447198d4a53af52a28fa2d3a04b9e06d21013576f72dbb418c19f15d" dmcf-pid="KdhJD8c6a1" dmcf-ptype="general">지금은 세계적인 방산 업체로 거듭났지만, 불과 20년 전만 해도 사프란그룹은 존재하지 않았다. 사프란 E&D의 전신은 프랑스의 대표적인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인 사젬(SAGEM)이었다. 사프란 그룹은 사젬과 항공 엔진 전문 기업인 스네크마(SNECMA)가 2005년 합병하면서 탄생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bd774aa502b4209c0f4380d6001ef5b3d0f7b724ac484739f3254444b401192" dmcf-pid="9Jliw6kPk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25년 6월 17일, 프랑스 파리 외곽 르부르제 공항에서 열린 제55회 국제 파리 에어쇼에서 오마에 케이지 ANA항공 글로벌 마케팅 부사장이 사프란 부스에서 'THE Room FX' 비즈니스 클래스 좌석을 소개하고 있다./REUTERS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8/chosunbiz/20250718060228719itce.jpg" data-org-width="5000" dmcf-mid="tUUIZcGka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8/chosunbiz/20250718060228719itc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25년 6월 17일, 프랑스 파리 외곽 르부르제 공항에서 열린 제55회 국제 파리 에어쇼에서 오마에 케이지 ANA항공 글로벌 마케팅 부사장이 사프란 부스에서 'THE Room FX' 비즈니스 클래스 좌석을 소개하고 있다./REUTERS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efe506819937941b15dbc238698ae01d635eb5ab0778ed1e980a46f5c08bf65" dmcf-pid="2iSnrPEQcZ" dmcf-ptype="general">사젬은 1925년 설립된 기업으로 처음에는 공작기계를 만들었다. 2차 대전 이후 텔레프린터와 관성항법장치를 만들면서 본격적으로 성장했고, 1990년대에는 방산뿐 아니라 휴대폰 제조까지 진출했다. 2003년까지만 해도 회사 매출의 3분의 2가 통신 분야에서 나와 모토로라와 어깨를 나란히 했다.</p> <p contents-hash="7cdb2273b4dfb140e79af662c87ca152f749594a0c1909d4cbf1c27f88924e9a" dmcf-pid="VnvLmQDxgX" dmcf-ptype="general">회사는 창업주 일가가 경영에서 물러나면서 변화를 겪었다. 프랑스 정부는 2004년 말에 공기업이던 스네크마와 사젬의 합병을 발표했다. 통신·전자 분야에 강점이 있던 사젬과 항공 엔진 분야에 강점이 있던 스네크마를 합쳐 글로벌 방산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계획이었다.</p> <p contents-hash="48baf18528f81e106f51b929f27594ac89be705d44158c5498541cf12d9bda81" dmcf-pid="fLTosxwMkH" dmcf-ptype="general">사젬은 2005년 5월 간판을 내리고 사프란이라는 새 이름을 쓰기 시작했다. 뤼시 바통 담당관은 “스마트폰으로 시장이 재편되면서 사젬도 사업에 변화를 줄 필요가 있었다”며 “(합병 이후) 항공과 방산 중심으로 사업 구조를 재편하고 효율을 높였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48b3db1bd5ee4cf65e3ad7410b1dd80ee497b0161ea7acf0db2967779491653b" dmcf-pid="4oygOMrRNG" dmcf-ptype="general">사프란 그룹의 출범은 성공적이었다. 해외 고객사 비중이 59%로 높아지면서 다국적 방산 기업으로 발돋움했고, 고객사 가운데 군과 민간의 비율이 65%, 35%로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했다.</p> <p contents-hash="7728c36394606db0e34e5813b1f51e00923a268aa473e690750a2c0d071d360d" dmcf-pid="8Qmxj9g2aY" dmcf-ptype="general">최근에는 우주와 인공지능(AI) 분야에 투자를 늘리고 있다. 작년에는 AI 기술을 방산 분야에 접목한 기술을 선보인 스타트업 프렐리젠(Preligens)을 2억2000만유로에 인수했다. 사프란 관계자는 “사프란은 AI를 활용해 실시간 타깃 감지와 분류, 다중 센서 데이터 통합, 지리정보 처리 등을 제공하고 있다”며 “이를 통해 전투력과 정보 분석의 정확도, 속도를 크게 높였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68c6d5ed713a4e43ccaeed10f2bae19005ce2c05a4264a05baa05213fb168063" dmcf-pid="6xsMA2aVkW"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비즈톡톡] 장관·수석 배출한 네이버, 명실상부한 ‘일류기업’… 어깨 무거워진 이해진 07-18 다음 대한MMA총협회, 2025년 정기 총회 개최해 하반기 주요 안건 논의 07-1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