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하반기 국정원 감청협조 9% 증가…과기정통부 통계 작성일 07-18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통신제한조치 2741건, 통신정보 요청은 감소<br>과기정통부 ‘2024년 하반기 통신자료 제공 현황’ 발표<br>고강도 감청은 증가세</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Ck7zw5rmq"> <p contents-hash="9bda8507e6bf0651c4d85204f0ed53b5f7de10effc49d4b94dfd527a3e1f172b" dmcf-pid="KhEzqr1mwz"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2024년 하반기 통신제한조치(감청)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가정보원의 감청 요청 건수는 204건 늘어나며 전체 증가세를 이끌었다.</p> <p contents-hash="14cd50882d72cf251f8c658c66d528a569a7e56bbb8e2f26686b6b927637db13" dmcf-pid="9lDqBmtsO7"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배경훈)는 18일, 104개 전기통신사업자로부터 제출받은 ‘2024년 하반기 통신자료 제공 및 통신제한조치 협조 현황’을 집계한 결과, 고강도 감청에 해당하는 통신제한조치는 전년 동기(2517건) 대비 224건 증가한 2741건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p> <p contents-hash="4797f564b833206e9511a9e2e8255ec6bec509182f21e592b6c22b3beae74cf3" dmcf-pid="2SwBbsFOwu" dmcf-ptype="general">반면 통신이용자정보 및 통신사실확인자료는 모두 감소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773f874d5f0dc06b76ca0ccbaadcffbffd5172d07ff1b8426e5007b87b3f1ba" dmcf-pid="VefCh6kPE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출처=진보네트워크센터 홈페이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8/Edaily/20250718111806786vjck.jpg" data-org-width="334" dmcf-mid="BeUAczJqm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8/Edaily/20250718111806786vjc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출처=진보네트워크센터 홈페이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d1051f18cae5b464444e45ed25d518427808ce9022440c75addeab2405be59bb" dmcf-pid="fd4hlPEQrp" dmcf-ptype="general"> <strong>통신제한조치(감청) 증가… 국정원 단독 2720건</strong> </div> <p contents-hash="dc858141c9b59a3ea91ac25f3b0e27d05c12658df27392a01379b96b52352c74" dmcf-pid="4J8lSQDxr0" dmcf-ptype="general">통신내용(통화내용, 이메일 등)까지 열람 가능한 통신제한조치는 법원의 허가를 통해 제한적으로 시행된다.</p> <p contents-hash="5483bec970880401279abf64a79b321335a413f85672f9cf7abcad49c6037522" dmcf-pid="8i6SvxwMI3" dmcf-ptype="general">2024년 하반기 통신제한조치 총 건수는 2741건(전년 동기 대비 +8.9%), 국정원 2720건(↑204건), 경찰 20건(신규 발생)으로 확인됐다.</p> <p contents-hash="26c3715543014a7675f3c741ec8e95088b29a7668daa24e676f9955c4e125687" dmcf-pid="6nPvTMrRrF" dmcf-ptype="general">문서 기준으로는 총 31건이었으며, 문서당 평균 88.4개의 전화번호가 포함됐다.</p> <p contents-hash="907f06e9e9884582e7491dc906c46174f4e4fd76204fd261fe7e30728e43646a" dmcf-pid="PLQTyRmemt" dmcf-ptype="general"><strong>통신이용자정보 요청은 41% 감소</strong></p> <p contents-hash="048e43b2837f5aa84a4434e4016f2f2e8142def71c5447fad189ba20bb550a79" dmcf-pid="QoxyWesdE1" dmcf-ptype="general">이용자의 성명, 주소, 전화번호, 가입일 등 인적정보를 의미하는 통신이용자정보 요청은 크게 줄었다.</p> <p contents-hash="0ba20dc2047b58570f41065a9d085f22fa7c5b5ed54298a8715356d69792ac42" dmcf-pid="xgMWYdOJD5" dmcf-ptype="general">2024년 하반기 기준 제공된 전화번호 수는 130만 612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1.0% 감소(221만→130만)한 수치다.</p> <p contents-hash="badbc49ce55f228bbef57904b1e0c6426e0a143e6cf52e3c33118b143f7a6930" dmcf-pid="yFWMRH2XDZ" dmcf-ptype="general">문서 수 기준으로도 47만 9332건으로 12.7% 감소했다.</p> <p contents-hash="99a685ac0dda46b877365f4f247340fe9dc8fb7f49ffc01fee072048cd0fba26" dmcf-pid="W3YReXVZwX" dmcf-ptype="general">기관별로는 △검찰 47만 건(73만 9802→26만 6904건), 경찰 43만 건(140만→97만 건) 감소한 반면, 국정원은 3588건(1만753→1만4341건)으로 33% 증가했다.</p> <p contents-hash="7966b71d32bc773ec950e59ff38116abe69d0b98fd3b9eeb18dfac66ea86acc6" dmcf-pid="Y0GedZf5wH" dmcf-ptype="general">공수처도 1931건(797→2728건)으로 급증했다.</p> <p contents-hash="12dd869d4072e2599b00a09392ace31fd38a518ac0d658393285b4b731097545" dmcf-pid="GsjpUkHErG" dmcf-ptype="general"><strong>통신사실확인자료도 소폭 감소</strong></p> <p contents-hash="7a2b735728fb6c04b6a8ef1b88c40ccac9995c1d1c4969204dae835590e81322" dmcf-pid="HOAUuEXDmY" dmcf-ptype="general">통화 일시, 통화시간, IP, 발신기지국 정보 등으로 구성된 통신사실확인자료는 총 25만 8622건 제공돼 전년 동기 대비 1.7% 감소(△4448건)했다.</p> <p contents-hash="ce9cc692983f507231e8cd1c2617acffc88b754667f188275b85e709f25ca3be" dmcf-pid="XIcu7DZwDW" dmcf-ptype="general">기관별로는 경찰 19만4033건(+7649), 국정원 2225건(+1461), 공수처 343건(+43)로 증가했으며, 검찰은 5만7418건으로 1만4566건 감소했다.</p> <p contents-hash="6948e57287821b7af80060b5995eddc99d1bce4114645429f8ea964d87eac938" dmcf-pid="ZCk7zw5rIy" dmcf-ptype="general">이번 통계에서 눈에 띄는 점은 국정원의 통신제한조치 및 정보요청 증가다.</p> <p contents-hash="5808e4d0c8716e8de533219fc9c07087c5f6c5d7816105328f13a6809faedd8d" dmcf-pid="5hEzqr1mrT" dmcf-ptype="general">국정원은 통신이용자정보 요청, 통신사실확인자료, 통신제한조치 모든 항목에서 전년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p> <p contents-hash="8f565b01a9cdeffcd8a48744f51889b3275b21dfcccb05d9ccdaef97268be0f3" dmcf-pid="1lDqBmtswv" dmcf-ptype="general">업계 관계자는 “감청 범위와 수단은 엄격히 제한되어야 하며, 이를 감시할 수 있는 독립적 통제 장치와 사후 공개 제도가 함께 작동해야 한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f2b008d0088e4babcd0d09afcbad6052516d46b05f33d28550c9e1822066d534" dmcf-pid="tSwBbsFODS"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LA 뜬 블랙핑크 지수, 핑크 리본 드레스 입은 디올 공주님 07-18 다음 “뚱뚱한 아저씨폰 옛말”···폴더블 신화 열 '갤럭시 폴드7' [잇써보니] 07-1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