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핵 폐수로 서해 오염 의혹’ 조사 결과 발표…“이상 없다” 작성일 07-18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63x7EBnbC2">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77cbd0d26ef6b5c395d72a963865ccb8b026e5187217953b2bb2506882e1f17" dmcf-pid="P0MzDbLKy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8/kbs/20250718114749200ezlb.jpg" data-org-width="640" dmcf-mid="3yfFapMUS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8/kbs/20250718114749200ezlb.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8f4952d6d3d502749d3e1758754fa04ee758af1f20e1921fe7e1349af2ebd3c1" dmcf-pid="QpRqwKo9vK" dmcf-ptype="general"> 최근 북한 평산 소재 우라늄 정련공장의 폐수로 서해가 오염되고 있다는 우려에 대해 정부가 “이상없다”고 밝혔습니다.</p> <p contents-hash="598165e5b30c52c05388ac103267eceb2dd5b017f72cfa3784aea5c71521e400" dmcf-pid="xUeBr9g2Wb" dmcf-ptype="general">다만 이번 결과가 서해의 오염 여부를 조사한 것일 뿐, 평산 우라늄 시설의 폐수 방류 여부를 확인한 것은 아니라고 덧붙였습니다. </p> <p contents-hash="0bcb18e347a4171e2ed47b804a73857c4c5a69f5a95eb5330626cafb577dac82" dmcf-pid="yAGwbsFOvB" dmcf-ptype="general">원자력안전위원회와 해양수산부 등은 지난 4일 평산 우라늄 정련공장 인근의 예성강 하구에서 가장 가까운 강화도와 한강하구 등 총 10개 정점에서 시료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를 오늘(18일) 발표했습니다.</p> <p contents-hash="a45fce4248bb53ec2957c8d2f3d5138e3d85873261be68718e4af869f35d130b" dmcf-pid="WcHrKO3Iyq" dmcf-ptype="general">분석 결과에 따르면 강화, 김포 지역 6개 정점에서 채취한 해수의 우라늄 농도(0.135∼1.993ppb)는 2019년과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p> <p contents-hash="bbfd91c750a20470027a80cf2d5c7d85792251e084f847621844c08aec04bc0f" dmcf-pid="YkXm9I0Clz" dmcf-ptype="general">2019년에도 비슷한 우려로 조사가 실시됐는데, 당시 이들 6개 지점의 우라늄 농도는 비교정점의 농도(한강 0.31ppb, 서해 5개 2.87∼2.99)와 비교해 특이사항이 없다는 결론이 나온 바 있습니다.</p> <p contents-hash="6e39e456d1651d6166dda38d3855348a7ed1214bd85afc37c491ff582996e8e5" dmcf-pid="GEZs2CphS7" dmcf-ptype="general">이번에 추가된 한강·임진강 하구 2개 정점(0.087∼0.122ppb)과 인천 연안 2개 정점(2.541∼3.211ppb)의 우라늄 농도도 2019년 비교정점 농도와 비교할 때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게 정부 설명입니다. </p> <p contents-hash="b3cd41b0744401b26a5eb1c02ab2c5771799b76e123ecf70d560ca5225674ca7" dmcf-pid="HD5OVhUlhu" dmcf-ptype="general">다만, 김포 북단의 2개 정점과 인천 연안 1개 정점의 농도가 6년 전 측정값 또는 서해 5개 비교정점에 비해 0.22∼0.46ppb가량 높았다고 정부는 설명했습니다. </p> <p contents-hash="74b69c11452a8447b2c6f73d7049209100f14ec3cc795b151d09815955cd1208" dmcf-pid="XRsn1gvaSU" dmcf-ptype="general">원안위 관계자는 “우라늄의 먹는 물 기준이 30ppb임을 고려하면 그 정도 차이는 유의미한 수준이 아니다”라며 “북태평양의 우라늄 농도가 평균 3.31ppb인 것과 비교하더라도 인천 연안의 우라늄 농도는 자연상태 수준”이라고 설명했습니다.</p> <p contents-hash="8e558ee7837cc03cbf217977e45e5e9ab5c413aabdbb177e000a8ba32532ac4f" dmcf-pid="ZeOLtaTNvp" dmcf-ptype="general">방사성 세슘은 10개 모든 정점에서 분석 장비의 최소검출가능농도(MDA) 미만이거나 최근 5년간 서해에서 측정한 수준 미만으로 조사됐습니다.</p> <p contents-hash="c53dea149e3d5e4e6b17bb3fdb286b26fd090a81b137fd6b595cdde82ef08b57" dmcf-pid="5dIoFNyjv0" dmcf-ptype="general">중금속은 모든 정점에서 ‘환경정책기본법’에 따른 환경기준과 ‘해양환경 보전 및 활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해양환경기준에 적합하거나 검출한계 미만으로 확인됐습니다.</p> <p contents-hash="14fdc511b9685ce60b1350d16f2db0c3ae44256661e1c12e1f29b38f98be1612" dmcf-pid="1JCg3jWAC3" dmcf-ptype="general">정부는 “이번 실태조사 10개 정점 중 7개 정점에 대해 월례 정기 감시 시스템을 유지하고 관계부처 협의체를 계속 운영함으로써 국민적 우려 사안에 범부처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습니다.</p> <p contents-hash="64ad17c4b7bff9d44fc4d20c0ba68071cc3a43d22908a8937cc71b65b7e0bc39" dmcf-pid="tiha0AYcWF" dmcf-ptype="general">앞서 한 북한 전문매체에서 평산의 우라늄 공장에서 방사능에 오염된 폐수가 예성강을 따라 서해에 유입됐다는 주장을 보도하며, 서해 오염 의혹이 일었습니다.</p> <div contents-hash="b1f62661b2294ae862d9d7fd8e0fd72037cc76cf33e618a2f3fe3ecdb7d5320b" dmcf-pid="FnlNpcGkTt" dmcf-ptype="general"> [사진 출처 : 연합뉴스 / 원자력안전위원회 제공] <br> <div> <br>■ 제보하기 <br>▷ 전화 : 02-781-1234, 4444 <br>▷ 이메일 : kbs1234@kbs.co.kr <br>▷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br>▷ 카카오 '마이뷰', 유튜브에서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div> </div> <p contents-hash="cf4b091885e5751e83ea62cc544692453083df6c9bc83c1f5743389c64ab99e7" dmcf-pid="3LSjUkHEW1" dmcf-ptype="general">황정호 기자 (yellowcard@kbs.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K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 학습 포함)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원칙 중심의 디지털 보안 체제, 멀고도 험난한 길 [태평양의 미래금융] 07-18 다음 암호화폐 앱으로 위장해 자산 탈취… 악성코드 ‘스파크키티’ 주의보 07-1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