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젝토, 블록체인 기반 담보형 스테이블코인 운영·관리 기술 특허 출원 작성일 07-18 1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디지털 달러에 대응하는 한국형 설계도<br>Web3 글로벌 결제 시장 본격 공략</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Q4kRXVZmt"> <p contents-hash="a4b6ee04972d85a642d37d7e00fbb19718572042348c0484792eeb807f80eb56" dmcf-pid="qx8EeZf5s1"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블록체인 벤처 기업 ㈜젝토는 ‘블록체인 기반 담보형 스테이블코인의 운영 및 관리 기술에 대한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f92d162554097a92f8154298ac39e4524fb2f9e2cf08c3e7b16b17a6afd75bf" dmcf-pid="BM6Dd541w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8/Edaily/20250718170506103ksbj.jpg" data-org-width="670" dmcf-mid="77Fxzr1mw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8/Edaily/20250718170506103ksbj.jpg" width="658"></p> </figure> <div contents-hash="40561e10088e8817b239a7dec53e3b3cd54bd056c9f6f6dfc1745e4f3c9b6006" dmcf-pid="bRPwJ18twZ" dmcf-ptype="general"> 해당 특허 기술은 KONET 메인넷은 물론, 이더리움(Ethereum), 독립형 메인넷, 퍼블릭·프라이빗 블록체인 등 다양한 환경에서 구현 가능한 범용 아키텍처로 설계되었으며, 스테이블코인의 발행부터 유통, 정산, 소각, 가치 안정화까지 전 주기를 포괄하는 운영·관리 기술이 포함됐다. </div> <p contents-hash="5a7c4728e324866e15d5bf29305d36627cc9a5f7afee714e6d5232f57cf9d81f" dmcf-pid="K1Hf3AYcIX" dmcf-ptype="general">㈜젝토는 앞서 등록된 블록체인 결제 중개 특허를 기반으로, 이번 기술 출원을 통해 스테이블코인 시스템의 기술적 고도화를 이뤘다. KONET 메인넷의 EVM(Ethereum Virtual Machine) 호환성에 기반해 다양한 블록체인 환경에서의 확장성과 상호운용성을 확보함으로써, 국내외 금융기관과 글로벌 가맹점, 온라인 결제 및 송금 네트워크 등 실제 적용 가능성을 크게 높였다는 평가다. </p> <p contents-hash="657c0328c1442678615c34ea9b2b4c9726266a9f2f982b879d1df67e62c31832" dmcf-pid="9tX40cGksH" dmcf-ptype="general">해당 기술은 자산 담보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발행 구조를 바탕으로 한다. 일정 요건을 충족한 개인 및 기업, 금융기관이 법정화폐 또는 암호화폐 형태의 자산을 담보로 예치할 때만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되며, 담보 비율은 실시간으로 자동 산정·검증된다. 이를 통해 발행 및 소각 전 과정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기술적으로 확보했다. </p> <p contents-hash="55b5994ce0752edca1e103485e094c13ccfac59a8331a30eb85c3b8064b7fa78" dmcf-pid="2FZ8pkHEsG" dmcf-ptype="general">또한 시장 가격이 페깅(Pegging) 기준에서 일정 수준 이상 이탈할 경우, 시스템 내 유동성을 자동으로 조절해 스테이블코인의 가치를 안정화하는 알고리즘을 탑재했다. 정책 결정 및 시스템 거버넌스를 위한 별도의 토큰 구조도 포함돼 있어, 담보 부족 시 토큰 추가 발행 또는 수익 기반 소각도 가능하도록 설계됐다. </p> <p contents-hash="981921cbfc567ebda11f44821e63fbc0cbe99bd04368de13c46ecec20ac416ac" dmcf-pid="V356UEXDsY" dmcf-ptype="general">젝토는 이번 특허 기술에 AML/KYC 인증, 이상 거래 탐지, 자동 거래 제한 등 각국의 금융 규제에 대응 가능한 보안성과 컴플라이언스 기능도 통합해, 스테이블코인의 제도권 활용 가능성을 고려한 설계를 마쳤다. 특히 크로스체인 브릿지 기술과 SWIFT 연계 구조를 통해, 이더리움 등 타 블록체인은 물론 글로벌 금융 네트워크와의 연결성을 확보했다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p> <p contents-hash="2acfbe0c809111842c4e75633801079421516afa31d34b2672c513af3e89d24f" dmcf-pid="f01PuDZwDW" dmcf-ptype="general">KONET은 국내 기술로 젝토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고성능 퍼블릭 메인넷으로, 콘텐츠 투자, 디지털 결제, 온체인 금융을 포함한 Web3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인프라 플랫폼이다. KONET의 다중체인 구조와 글로벌 확장성을 고려한 설계는, 한국을 기술 중심의 디지털 금융 허브로 도약시키기 위한 기반으로 활용되고 있다. </p> <p contents-hash="9e4ebbb1423941efb12bb94a3a88ce622cc8cb36138d871d1b29fcff7c815f3e" dmcf-pid="4ptQ7w5rOy" dmcf-ptype="general">젝토 관계자는 “이번 특허는 단순 기술을 넘어, Web3 기반의 디지털 통화 시스템이 실제 결제 및 송금 인프라로 작동하기 위한 핵심 조건들을 담은 설계”라며 “B2B 결제, 온·오프라인 상거래, 글로벌 송금 등 실물경제에 바로 연결 가능한 스테이블코인 기술로, 국내외 다양한 협력 파트너와의 확장을 준비 중”이라고 전했다.</p> <p contents-hash="9907e6f15f0b2370b6430d9d6eb94607aa3703d0321fb105f5442e025c8dfc01" dmcf-pid="8UFxzr1mmT" dmcf-ptype="general">이윤정 (yunj725@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게임 업계 전략 '다각화' 추세…고가치 유저 확보 주목 07-18 다음 안세영, 천위페이에 2-0 완승…서승재-김원호와 함께 준결승행 07-1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