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가 변했다! '상어 주의보' 작성일 07-19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qDVwMLlodH">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57326f8bdbbb02ec3ecad31cf7a5d1626b08e6d138730e176128cb83876570a" dmcf-pid="BwfrRoSgMG"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청상아리. 위키미디어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9/dongascience/20250719080216159lnbm.jpg" data-org-width="680" dmcf-mid="p34nb8c6Lt"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9/dongascience/20250719080216159lnb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청상아리. 위키미디어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41b696b219d6990d383619051acc9b983a439e2360ed4bacee798f60c3f1bcc5" dmcf-pid="br4megvaeY" dmcf-ptype="general"><span>○ </span></p> <p contents-hash="d841b9328ee25e665da0358f8fe457a76554bad83bb1df0a96e1514652d5904c" dmcf-pid="Km8sdaTNJW" dmcf-ptype="general"><span>상어, 동해에 등장하다</span></p> <p contents-hash="30ce02b499cb1116d39989e295933c9adbc046eeddddbdca44be1d30db323e1b" dmcf-pid="9s6OJNyjiy" dmcf-ptype="general"><strong>● 자주 나타나고 크기도 커졌다</strong></p> <p contents-hash="14c59a227c0e9d03c31574fdcebdbb18d8b26146eda785a916c569b2b652920a" dmcf-pid="2OPIijWART" dmcf-ptype="general">지난 4월 8일 경북 울진 후포항 근처의 바다에 쳐 놓은 그물에 몸길이 3m, 몸무게 229kg의 청상아리가 잡혔습니다. 원래 먼 바다에 사는 상어인데 육지에서 불과 5.5km 떨어진 곳에 나타난 거예요.</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f75bd42d9e05bd2ec577c9a64d4562b87debdcb547228b9ebded7ebd9b2e36c" dmcf-pid="VSevaDZwi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잡힌 상어의 몸둘레를 재는 해양경찰관들. 속초해양경찰서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9/dongascience/20250719080217524lngi.jpg" data-org-width="680" dmcf-mid="UE2nb8c6d1"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9/dongascience/20250719080217524lng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잡힌 상어의 몸둘레를 재는 해양경찰관들. 속초해양경찰서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0c96d703d3a2ef246badae9ef241ca814444b6b75ebb9dc7138c8beea4127b2" dmcf-pid="fvdTNw5rMS" dmcf-ptype="general">우리나라 바다에는 약 49종의 상어가 삽니다. 2000년대에는 서해나 남해에서 발견됐고 동해엔 자주 나타나지 않았어요. 서해와 남해는 수온이 15℃ 이상으로 높고 수심이 얕아서 상어가 머물기 적합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2023년부터 동해에서 혼획되는 상어가 크게 늘었어요. 혼획은 어업 활동 중에 우연히 잡힌 것을 뜻합니다.</p> <p contents-hash="f375c87bc71b4b8f47a3f1866de640a7711863fbb0cbd44bb280fcaea4ae60a8" dmcf-pid="4TJyjr1mil" dmcf-ptype="general">2022년 1건이었던 동해의 상어 혼획 건수는 2023년엔 15건, 2024년엔 44건으로 늘어났어요. 올해도 6월 24일까지 12마리의 상어가 혼획됐습니다.</p> <p contents-hash="40db35c554d4eccb7bbc117a08141daa2e446984c1e0a0ca60ea560f864b9bcd" dmcf-pid="8yiWAmtsnh" dmcf-ptype="general"> 특히 동해에서는 청상아리, 백상아리 등 공격성이 강한 상어 종이 자주 나타나고 있어요. 같은 종이라도 예전보다 더 큰 상어가 발견되는 것도 특징입니다.</p> <p contents-hash="6edaae3835adc0563ff7fc174ace3ae32afe9a6f4d18ac5b31fb9ffe51ed517c" dmcf-pid="6WnYcsFORC" dmcf-ptype="general">최윤 군산대 해양생물자원학과 명예 교수는 "2014년만 해도 동해에서 3m짜리 이상 청상아리를 보기 힘들었는데 2020년대 들어 3m보다 큰 개체가 자주 보인다"고 말했습니다.</p> <p contents-hash="5e0f478595363ef7179a7c8b990664e8fd5aa6922c54e9e4bc01797e9d387136" dmcf-pid="PYLGkO3IJI" dmcf-ptype="general"> 동해 근처 어민들은 상어가 물고기를 잡아먹어 어획량이 줄어드는 걸 우려합니다. 강원도 해수욕장에는 상어를 막는 그물망이 설치됐어요. 최윤 명예 교수는 "2023년 이전엔 그물망을 칠 정도로 위험한 상황이 아니었지만 이제는 우리나라도 상어를 주의할 때가 됐다"고 강조했습니다.</p> <p contents-hash="dee48c14947eeff10422e8a882f09b6ed2af23b36db9dacf744785dd68fe67d0" dmcf-pid="QGoHEI0CiO" dmcf-ptype="general"><span>○ </span></p> <p contents-hash="ea8c5dff55636569d718c4cee750ab6d298c651408ea1e8768183c41428e6a6a" dmcf-pid="xHgXDCphLs" dmcf-ptype="general"><span>상어에게 동해는 물고기 맛집?</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412e373f1c8eeee673156d9913897ae1c28df763d43be66224a105f7bbd9774" dmcf-pid="ydFJqfj4J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동해안에 있는 어선에서 가득 잡아 올린 다랑어의 모습. 국립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9/dongascience/20250719080218792qkgh.jpg" data-org-width="680" dmcf-mid="uDcTNw5re5"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9/dongascience/20250719080218792qkg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동해안에 있는 어선에서 가득 잡아 올린 다랑어의 모습. 국립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5471cd6cb9d92d90ee191d974a85a844d6d1a06956732b51ec86668deb8aefc" dmcf-pid="WJ3iB4A8Jr" dmcf-ptype="general"><strong>● 따뜻한 바닷물이 상어 먹이 불렀다</strong></p> <p contents-hash="628e9e13137d7f937fd02b6a950a42c2e6d0f65078cfe0808612f1872c8125a8" dmcf-pid="Yi0nb8c6Jw" dmcf-ptype="general"> 어떤 지역에 잘 보이지 않던 생물이 나타나는 것은 온도나 먹이 분포 등 환경에 변화가 생겼다는 신호입니다. 1968년부터 57년 동안 우리나라 바다의 해수면부터 수심 10m까지 표층 수온은 평균 1.58℃ 올랐고 특히 동해는 2.04℃ 상승했어요. </p> <p contents-hash="cd131127a9dcc09d427de2b9460f286b4617eca75820368ea5566c02b52a582c" dmcf-pid="GnpLK6kPLD" dmcf-ptype="general"> 2024년 동해의 표층 수온은 역대 최고인 18.84℃를 기록했어요. 바닷물은 0.5℃만 올라가도 양식 어류가 떼죽음을 당할 만큼 작은 온도 변화에도 민감합니다.</p> <p contents-hash="178f8b8bbb7ce3ed6950d1d02b508ad0b37297f5e4b0e319aa5ff172ba19f92e" dmcf-pid="HJ3iB4A8dE" dmcf-ptype="general"> 바닷물 온도는 바닷물의 흐름인 해류, 바람, 수심, 계절 등 다양한 요소의 영향을 받아요. 국립수산과학원은 동해의 표층 수온이 상승한 주된 이유로 해류를 꼽았습니다. 동해에는 쿠로시오 해류에서 갈라진 대마난류가 흐르면서 적도 앞바다의 열을 동해로 실어 나릅니다. </p> <p contents-hash="9a51bbdea0b366b0b4d3aef9dde913312849206e42ba3d40accf9e089f5dbfd3" dmcf-pid="Xi0nb8c6Mk" dmcf-ptype="general">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적도 앞바다가 더워지자 전 세계 바다의 수온도 함께 올랐고 대마난류는 동해에 더욱 많은 열을 전달하게 됐어요. 한창훈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연구사는 "동해 오른쪽엔 일본이 있어 바다 지형이 막혀 있기 때문에 한 번 흘러든 열이 잘 빠지지 않고 더 빨리 온도가 오른다"고 설명했습니다.</p> <p contents-hash="622f01a30f796ece1e3ef8bc9e802ef14a0380f9d4c1d93e0f7b26337bb53231" dmcf-pid="ZnpLK6kPdc" dmcf-ptype="general"> 국립수산과학원의 분석 결과 2020년 이후 동해에서 잡힌 물고기 중 따뜻한 물에 사는 난류성 어종이 크게 늘었어요. 이 중 방어, 삼치, 다랑어는 상어의 먹잇감입니다. </p> <p contents-hash="db2075b4073ddcab9b7708b6a164208cf6b291d46bd11d03ac14f2bf4ab8947a" dmcf-pid="5LUo9PEQLA" dmcf-ptype="general"> 국립수산과학원은 2024년 동해에서 잡힌 상어 28마리를 해부해 위 속에서 난류성 어종들을 확인했어요. 최윤 명예교수는 "같은 상어 종에서도 큰 개체가 동해에 나타난 건 큰 먹잇감인 다랑어 등을 쫓아왔기 때문"이라고 말했습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1edbc55f3714d553983ce61c3115717dbd2c4f27918aeae6fe97d6e10efca51" dmcf-pid="1oug2QDxn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바다의 표층 수온의 변화와 동해의 방어 어획량 변화.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9/dongascience/20250719080220046tofn.jpg" data-org-width="680" dmcf-mid="776NfMrRL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9/dongascience/20250719080220046tof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바다의 표층 수온의 변화와 동해의 방어 어획량 변화. 국립수산과학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8a701d709d82c27ef3ae3316863a1b99e941a91a6a80c73e25e5e311266e929" dmcf-pid="tg7aVxwMLN" dmcf-ptype="general"><strong>● 동해에 사는 어종 어떻게 변했을까.</strong></p> <p contents-hash="10c27200db7126982496c9bc8885fd73ab5cb68bc0913695acdf2cb932302b79" dmcf-pid="FazNfMrRia" dmcf-ptype="general">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적도 근처의 열을 동해로 실어 나르는 따뜻한 대마난류의 세기가 강해졌습니다. 그 결과 동해의 수온은 크게 올랐고 따뜻한 물에 사는 물고기들은 남해에서 서해, 동해로 영역을 확장했어요. </p> <p contents-hash="e2c39d919c468966b9c34d3da2bb93242f5d9fd516016517af92abb640c98c5d" dmcf-pid="3Nqj4RmeRg" dmcf-ptype="general"> 상어의 먹잇감인 방어의 경우 알을 낳을 땐 따뜻한 제주도 근처로 돌아갔지만 이제는 동해 근처에 머무르며 알을 낳습니다.</p> <p contents-hash="72968aa0c57e585656b3400ef399faa7d778e7feb1b89da9d14d51ec0b6a350f" dmcf-pid="0jBA8esdio" dmcf-ptype="general"><span>○ </span></p> <p contents-hash="d3027c224a9af80987ebf789f5bb7462626a441319d56af4f8db53d017bc53c3" dmcf-pid="pAbc6dOJeL" dmcf-ptype="general"><span>상어 연구, 동해에서 시작한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e252a7205fa7a5eba6ef80b24cdaf13e09a3d71014572a9d69f329ade43f575" dmcf-pid="UcKkPJIin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동해안에서 잡힌 상어의 이빨. 왼쪽부터 백상아리, 청상아리, 악상어, 청새리상어의 이빨이다.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9/dongascience/20250719080221315mpee.jpg" data-org-width="680" dmcf-mid="z7hKGFP3e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9/dongascience/20250719080221315mpe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동해안에서 잡힌 상어의 이빨. 왼쪽부터 백상아리, 청상아리, 악상어, 청새리상어의 이빨이다.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e9fe164fbc2b22cee5a6a8c1c01876d5d138afa1adef60044d43563a10e3a8b" dmcf-pid="uk9EQiCnni" dmcf-ptype="general"><strong>● 통계 내고 상어 출현 예측까지</strong></p> <p contents-hash="48107e4344cc64799cf1e3677feef015d36319f932974101b7785d32e3bfa0b0" dmcf-pid="7E2DxnhLdJ" dmcf-ptype="general"> "지난 봄에 잡힌 상어의 척추입니다."</p> <p contents-hash="453f648604d6cca692275e11ed86d61e38577ca83014f454c971015a364c2307" dmcf-pid="zs6OJNyjid" dmcf-ptype="general"> 국립수산과학원 동해수산연구소 김맹진 연구사가 상어의 등뼈 조각이 담긴 병을 들어 보였습니다. 상어의 등뼈엔 나이에 따라 동그란 무늬가 생겨요. 국립수산과학원은 동해에서 잡힌 상어의 무늬와 이빨을 분석해 나이, 특성 등 통계를 내고 있습니다.</p> <p contents-hash="933f5627dc49362d127267938d580a10e8325a74d2287662bb3a8361f1c15f98" dmcf-pid="qOPIijWAde" dmcf-ptype="general"> 2022년 이전 우리나라에선 상어의 분포나 이동 경로 등을 국가적으로 연구하지 않았어요. 상어가 널리 먹는 수산물도 아니고 자주 나오지도 않았기 때문입니다. 이제 상어가 많이 나오는 동해안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상어 연구가 시작됐어요. </p> <p contents-hash="bf84d3b011a877257b8f00c60c7afc8ffe41d0326103902943ef3d50303c1fcf" dmcf-pid="BIQCnAYcnR" dmcf-ptype="general"> 상어는 생태계 꼭대기에서 다랑어나 중간 크기의 물고기를 먹습니다. 이를 통해 다른 어종의 개체 수를 적절하게 조절하기 때문에 해양 생태계의 균형을 유지하는 핵심종으로 불립니다. 동해의 생태계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도 상어 연구가 꼭 필요합니다. </p> <p contents-hash="c610a1697383a2ed62a65a3c89e74871df18035b9291d6fa571cce78c54010e7" dmcf-pid="bCxhLcGkMM" dmcf-ptype="general"> 김상화 강원대 수의학과 교수 연구팀은 ‘환경 DNA(eDNA)' 기법을 이용해 우리나라의 상어 분포 지도를 그립니다. eDNA 기법은 바다 곳곳에서 떠온 바닷물 속 생물의 점액이나 피부조직 등에서 유전 물질을 추출하는 연구 방법입니다. </p> <p contents-hash="452c960fb387aed2cba5fbc199a78f61aba67fd9850afcbe4e0565bf3900e600" dmcf-pid="KhMlokHERx" dmcf-ptype="general"> 이를 통해 어떤 상어 종이 어디에 다녀갔는지 알 수 있어요. 김상화 교수는 "상어 분포 지도를 활용해 동해의 생태계 변화를 관리하고 어업 지역이 상어 활동지와 겹치지 않게 조정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p> <p contents-hash="75db5581a5be50ee66c12b2f1478c54da8264c60d36942793a53799616f20e70" dmcf-pid="9lRSgEXDdQ" dmcf-ptype="general">※<strong>관련기사</strong><br> 어린이과학동아 7월 15일, <strong>동해가 변했다! 상어 주의보</strong></p> <p contents-hash="0120f6de0e92ad389da64fc9878b09ad9035c27c7b90d386b34d5f7e1c59ca7c" dmcf-pid="2SevaDZwLP" dmcf-ptype="general">[박수진 기자 sooz@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다시 ‘공짜폰’ 나올까?…‘단통법’ 역사 속으로 07-19 다음 '여우주연상' 아이유 울컥했다 "'폭싹'은 내 인생의 자랑"[청룡시리즈어워즈] 07-1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