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 만큼 코딩 잘하네”…AI ‘키미’ 내놓고 혜성처럼 등장한 中스타트업 ‘문샷AI’ 작성일 07-19 4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설립 3년차 중국 AI 스타트업 혜성<br>1조개 파라미터 모델 ‘키미 K2’ 개발해<br>상업 이용까지 가능하도록 모델 개방<br>주요 코딩 벤치마크서 딥시크 뛰어넘어</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5aIKNyjT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ec66b79429410a67c7d97a2c97f15d36bc2ff8743417f8abe44b38983e1dcb6" dmcf-pid="G1NC9jWAW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문샷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키미(KIMI)’ 이미지 [출처 = 문샷AI 웹사이트 캡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9/mk/20250719220602163fkhs.png" data-org-width="700" dmcf-mid="QLlEUJIiy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9/mk/20250719220602163fkhs.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문샷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키미(KIMI)’ 이미지 [출처 = 문샷AI 웹사이트 캡처]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63e4e8927c7e80cf9e1e059aa17d353f13144d6805e5c964c02e4897ac4f61d5" dmcf-pid="Htjh2AYcl0" dmcf-ptype="general"> 지난 11일 등장한 중국의 거대언어모델(LLM) ‘키미(KIMI) K2’가 뛰어난 코딩 실력으로 AI 업계에서 혜성처럼 화제를 모으고 있다. </div> <p contents-hash="a314c7eebf199817eef9241c32a5943fca01df21e62760fa73667444882cc71f" dmcf-pid="XFAlVcGky3" dmcf-ptype="general">일각에서는 올해 초 파장을 일으켰던 딥시크처럼 중국 AI 스타트업이 또 한 번의 ‘딥시크 모먼트’를 가져왔다는 평가까지 나왔다.</p> <p contents-hash="afa14c3e6fb02dae42029e54ce6f45a1c406e428054f60c09ae204809b609eb1" dmcf-pid="Z3cSfkHEhF" dmcf-ptype="general">중국 스타트업 문샷AI가 선보인 모델 ‘키미 K2’는 약 1조개의 파라미터로 구성된 대형 모델이다.</p> <p contents-hash="7566ad668c7a410920fad3b8186edf9d659b1f83a2516e4c794f1660dc820add" dmcf-pid="50kv4EXDyt" dmcf-ptype="general">파라미터 수는 인간 두뇌의 시냅스에 해당하는 AI 모델의 논리 단위를 말한다. 숫자가 클수록 연산 능력이 강력한 것으로 풀이된다. 미국의 메타의 최신 AI 모델인 ‘라마4’ 중 가장 큰 모델이 4000억개, 딥시크의 R1 모델이 6710억개의 파라미터로 구성되어 있다.</p> <p contents-hash="301ac04e8c507844a09dc1afbd8bfb5e145d305545d2e88089e1cae36694985e" dmcf-pid="1bIZeCphy1" dmcf-ptype="general">키미 K2는 딥시크 등 주요 AI 모델들이 활용하고 있는 ‘전문가 혼합(Mixture of Experts·MoE)’ 방식을 활용함으로써 답변을 처리할 때 모든 파라미터를 사용하지 않고 해당 작업에 필요한 일부 파라미터만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비용 측면에서 더 효율적이다.</p> <p contents-hash="55e79822afcfaa51187ff49bca50c5bf0a4de179eec331f319bf3e9853c684d4" dmcf-pid="tKC5dhUly5" dmcf-ptype="general">키미 K2의 경우 1조개의 파라미터 중 320억개의 파라미터만 활성화해 추론 작업을 수행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d9890b4122f058b61b5ac0a6b17c8d0cfc39786b0c23b16c042356f39c8ed81" dmcf-pid="F9h1JluSyZ"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문샷AI가 공개한 ‘키미 K2’의 주요 벤치마크 테스트 비교 표 [출처 = 문샷AI 웹사이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9/mk/20250719220603441neem.png" data-org-width="700" dmcf-mid="yTET8DZwl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9/mk/20250719220603441neem.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문샷AI가 공개한 ‘키미 K2’의 주요 벤치마크 테스트 비교 표 [출처 = 문샷AI 웹사이트]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c1abebd5da4e209dfe21c7644f0111514b46d1b02e73cd8dde931562d0a15e12" dmcf-pid="32ltiS7vSX" dmcf-ptype="general"> 키미 K2가 주목을 받은 것은 뛰어난 코딩 역량 때문이다. 문샷AI는 “수학과 코딩 등의 분야에서 최고 수준의 성능을 달성했다”며 자사 모델과 오픈AI, 앤스로픽 등 빅테크 모델의 코딩 벤치마크를 비교한 결과를 제시했다. </div> <p contents-hash="2a4d7c241df6bf62ef825d81b149195984d434c96fb6f18584094d05523dd4cb" dmcf-pid="0VSFnvzTSH" dmcf-ptype="general">문샷AI에 따르면 프로그래밍에 중점을 둔 벤치마크 SWE-벤치 베리파이드에서 키미 K2는 65.8%의 정확도를 기록하며 앤스로픽의 ‘클로트 4 오푸스(72.5%)’ 다음으로 2위를 기록했다.</p> <p contents-hash="53e8c6a37e3e4b776236ecc9902647654e462ac993879b72ce3e568c52aeafa9" dmcf-pid="pfv3LTqyTG" dmcf-ptype="general">또 다른 코딩 성능 평가 벤치마크인 라이브코드벤치(LiveCodeBench)에서는 53.7% 정확도로 앤스로픽(47.4%), 오픈AI(44.7%)를 모두 제치고 1위를 기록했다.</p> <p contents-hash="91bbf2fd3dce8dc1baca2a243c03775ac1edd0b6eecc8b607998329c9b4b2a8b" dmcf-pid="U4T0oyBWlY" dmcf-ptype="general">또한 키미 K2는 상업적인 이용도 가능하게끔 모델이 공개되었다. 일부 코드와 가중치를 공개한 오픈웨이트 모델로, 허깅페이스 등을 통해 다른 기업이나 개인들도 내려받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a85f37727b094c66c9db0aa5a914cf5cb0a2b4953bda7cbb80d5e316d9d03bfa" dmcf-pid="u8ypgWbYSW" dmcf-ptype="general">네이선 램버트 앨런 AI 연구소 연구원은 자신의 뉴스레터에서 키미 K2에 대해 “또 다른 딥시크 모먼트가 될 것”이라며 “서구권의 개방형 모델과 중국의 개방형 모델간 격차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 미국 오픈소스 대표는 라마4(메타)지만 중국 기업들은 딥시크, 문샷AI, 큐원 등 훨씬 유용한 모델들을 선보였다”라고 분석했다.</p> <div contents-hash="7f9b0db8fb32f901d253b29ddf535455dca18fbc5248f8e4c9ea351abd9126b9" dmcf-pid="76WUaYKGSy" dmcf-ptype="general"> <div> <strong>칭화대 출신 92년생 양즈린이 창업</strong> </div>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4e644a8587c295d741eff3e1e4ff170ae99d09a79e5ee2e3189cec99a83fb2a" dmcf-pid="zPYuNG9Hl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문샷AI의 채용 웹사이트. 중국 사명은 ‘월지암면’으로, 달의 어두운 면을 뜻하는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 이름에서 영감을 받았다. [출처 = 문샷AI 웹사이트 캡처]"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19/mk/20250719220604694lclh.png" data-org-width="700" dmcf-mid="Wk7PhzJqy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19/mk/20250719220604694lclh.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문샷AI의 채용 웹사이트. 중국 사명은 ‘월지암면’으로, 달의 어두운 면을 뜻하는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 이름에서 영감을 받았다. [출처 = 문샷AI 웹사이트 캡처]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b76c9e97836660bca02e780328563f91b80195dcaecde84fa7e3453c70b91dea" dmcf-pid="qRZBk541Cv" dmcf-ptype="general"> AI 모델 키미 K2를 개발한 문샷AI는 지난 2023년 3월 설립된 2년 남짓한 신생 스타트업이다. </div> <p contents-hash="69685750a9e06d82065c99e19b676a6c6b8d77f958682921694768971be3681f" dmcf-pid="Be5bE18tyS" dmcf-ptype="general">설립 초기부터 뛰어난 기술력으로 주목받으며 창업 11개월 만인 2024년 2월 기업가치 25억 달러를 인정받으며 유니콘 기업으로 등극했다. 현재는 지푸AI, 바이촨, 미니맥스와 함께 중국 AI 분야의 ‘4대 호랑이’로 꼽히는 핵심 플레이어다.</p> <p contents-hash="81aa30bf2d235fa6d10192726cfd7a8208743ff3f8719b0e03fecf906477a0e8" dmcf-pid="bd1KDt6Fhl" dmcf-ptype="general">지난해 2월에는 알리바바 주도로 무려 10억달러(약 1조3900억원)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했다. 이는 중국 AI 스타트업 역사상 단일 투자 유치 최대 규모로, 중국 시장에서 문샷AI에 대한 기대를 한 번에 증명했다.</p> <p contents-hash="636e1fdc3c351fde49411087f60fc87167653f9e88acfa1d55149a3ef51ae3e0" dmcf-pid="KJt9wFP3Wh" dmcf-ptype="general">이후 6개월 뒤에는 텐센트 또한 문샷AI에 투자를 단행했으며, 당시 문샷AI의 기업가치는 약 33억달러(약 4조5900억원)까지 상승했다.</p> <p contents-hash="ddfeb9c2226a023deda41b7607507b9407635a2cbb4b6e6f12cc2a87f1208b0c" dmcf-pid="9iF2r3Q0SC" dmcf-ptype="general">문샷AI의 초고속 성장을 이끄는 인물은 1992년생의 천재 개발자 양지린 대표다.</p> <p contents-hash="c8bb6860cf39b8ccb440ba080d1d4189bc766c1ca0049441ef7c33796a093894" dmcf-pid="2n3Vm0xpSI" dmcf-ptype="general">양 대표는 중국 최고 명문대 칭화대를 거쳐 미국 카네기멜론대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박사 과정 중 구글 브레인과 메타 연구원으로도 활동했다.</p> <p contents-hash="d0f15be808671c5018064c6dc1a3df5aad7c2ba14e77b46dcc66b402b3f36d51" dmcf-pid="VL0fspMUTO" dmcf-ptype="general">특히 양 대표는 현재 대부분의 LLM이 사용하는 트랜스포머(Transformer) 아키텍처가 고정된 길이의 텍스트만 처리할 수 있었던 한계를 극복해 AI가 한 번에 더 긴 맥락(컨텍스트)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논문을 발표하며 주목을 받았다. 해당 기술은 문샷AI의 핵심 기반 기술로, 키미는 한번에 한자 기준 200만자를 처리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0b86934eb054f40f7292d8e4fe5de5620af8c4372044c4d7a675f97b89430ed1" dmcf-pid="fop4OURuls" dmcf-ptype="general">범용인공지능(AGI) 도달을 목표로 하고 있는 양 대표는 한 현지 인터뷰에서 “컨텍스트 길이가 10억 개라면 오늘날의 문제 중 어떤 것도 문제로 남지 않을 것”이라며 AGI에 대한 자신감을 보인 바 있다.</p> <p contents-hash="d619acec8c8d344d3f0b2abe9c15d7f6423201058763dc5a97248b5b7c19564b" dmcf-pid="4gU8Iue7vm" dmcf-ptype="general">한편 문샷AI의 중국 기업명은 달의 어두운 면을 뜻하는 ‘월지암면’으로, 양 대표가 좋아하는 밴드 핑크 플로이드의 앨범 이름에서 따왔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8학군 장항준 감독, 역대급 부잣집썰…‘운전기사 항시 대기?’ 07-19 다음 '역시 안세영은 다르다' 일본오픈 결승 진출…올해 6번째 우승 도전 07-1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