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 타이틀 경쟁…대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다 뛰어들었다(종합) 작성일 07-21 1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네이버·카카오·엔씨·SKT·KT·LG AI연구원 등 15개 주관사 신청<br>업스테이지, 코난, 루닛 등 스타트업도 대거 합류…카이스트·서울대 학계도<br>올해만 1936억원 예산 투입…최대 5개 정예팀 선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TM9HoSgtz">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7669767fc317789b0b91631c178e121b684383480e56f2cf1d66a69a6fa96e3" dmcf-pid="WyR2XgvaX7"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그래픽=뉴시스] 재판매 및 DB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is/20250721172744325bxsv.jpg" data-org-width="700" dmcf-mid="PSDLKhUl1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is/20250721172744325bxs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그래픽=뉴시스] 재판매 및 DB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a844316a8ac12ee4070b0a70da21fdf6da73133fb916b68f101c4222f9b7228" dmcf-pid="YWeVZaTNZu" dmcf-ptype="general">[서울=뉴시스] 오동현 윤현성 기자 = <strong>우리나라만의 독자 인공지능(AI)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하는 정부 사업 입찰에 SK텔레콤, KT, LG, 네이버 등 국내 주요 대기업부터 스타트업들까지 "AI 좀 한다"하는 곳들은 대부분 출사표를 던졌다. </strong></p> <p contents-hash="924e636a390aeebfb4565f3d45c31d5c61efe8394368304426f28a092480e304" dmcf-pid="GYdf5NyjYU" dmcf-ptype="general">정부가 독자 AI 개발 기업에 GPU(그래픽처리장치)를 비롯한 자원과 예산, 인력을 집중 지원하고 최종 선정 시 'K-AI 기업'와 같은 명칭도 쓸 수 있는 만큼 총력전에 나서고 있다.</p> <p contents-hash="132cf1a68c465a278cb0f5268d6812e7cabee7c2b8e691832416b6b2766be0d6" dmcf-pid="HGJ41jWAXp" dmcf-ptype="general">2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이날 오후 신청을 마감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공모에는 15개 기업과 컨소시엄이 신청서를 접수했다.</p> <p contents-hash="09ce48559c582eee2ee5f7a1fe542d673e91dfb992676338c04100f5a67b1312" dmcf-pid="XHi8tAYc10" dmcf-ptype="general">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은 우리나라만의 독자 AI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글로벌 AI모델에 의존할 경우 기술·문화·국가적 종속 문제가 나타날 수 있는 만큼 이를 방지할 수 있는 핵심 전략자산으로 우리만의 독자 AI 모델을 구축한다는 전략이다. 한국이 'AI 3대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핵심 전략으로, 국내 AI 생태계 전반의 경쟁력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p> <p contents-hash="b1bd0286d65a63621b1890057b485530b0ace0c195df3c5202b1830db98b0b72" dmcf-pid="ZXn6FcGk13" dmcf-ptype="general">주관기관으로 ▲네이버클라우드▲루닛 ▲모티프테크놀로지스 ▲바이오넥서스 ▲사이오닉에이아이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AI연구원 ▲정션메드 ▲카카오 ▲KT ▲코난테크놀로지 ▲파이온코퍼레이션 ▲한국과학기술원(KAIST) 등이 신청했다.</p> <p contents-hash="9d7472feaf9af2ef378bab50119d8447a2cbf0e4888edaf3c321d97c81476fba" dmcf-pid="5ZLP3kHEZF" dmcf-ptype="general">각 컨소시엄에는 크래프톤, 이스트소프트, 롯데이노베이트, 트웰브랩스, 플리토, 솔트룩스 등이 이름을 올렸다.</p> <p contents-hash="3547f77a2adb035b1f1f1d37a03d988cac11d5e10296205aff99d861692c2648" dmcf-pid="15oQ0EXDXt" dmcf-ptype="general">학계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 뿐만 아니라, 서울대학교·KAIST·포항공과대학교(POSTECH)·고려대학교·연세대학교 등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ef45f4a83f171c8c442b0bd73c8c0346a451769be1b51205dfe4dcd6312f8fe" dmcf-pid="tLFyjqiB51"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의사를 밝힌 주관기관 15곳 명단.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is/20250721172744481ulsb.jpg" data-org-width="719" dmcf-mid="QPsNfTqyH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is/20250721172744481uls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참여의사를 밝힌 주관기관 15곳 명단. (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81fb0345b43f685cf3e98ab1a46034b96b84e3f7a3966dc353598982b329b59" dmcf-pid="Fo3WABnbZ5" dmcf-ptype="general">향후 사업 전략 보호 등을 위해 구체적인 컨소시엄 참여 기업·기관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모두 산·학·연 협력 체계가 꾸려졌을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를 공모하면서 미래 AI 인재 육성을 위해 대학·대학원생을 필수로 참여시켜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p> <p contents-hash="6ab9bca20ca281087c4248f24a3859495fe605b8997f79efc62b2c9931708785" dmcf-pid="3g0YcbLKYZ" dmcf-ptype="general">뉴시스 취재를 종합하면 NC AI 컨소시엄에는 산·학·연이 모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 NC AI 측은 자체 개발한 거대언어모델(LLM) '바르코'를 기반으로 실제 서비스에 적용해본 경험이 있으며, 구축한 독자 AI 모델을 오픈소스로 모두 공개할 수 있는 의지까지 있는 만큼 선발 요건이 충분하다고 자신하고 있다.</p> <p contents-hash="0a689847bdd20b56aac02dd2bb036a0ed10e08a20c4c4a50f81e741ee5597ec4" dmcf-pid="0apGkKo91X" dmcf-ptype="general">SK텔레콤은 크래프톤·라이너·리벨리온 등과 컨소시엄을 꾸렸고, LG AI 연구원의 경우 LG유플러스, LG CNS 등 그룹 계열사와 손잡은 것으로 알려졌다.</p> <p contents-hash="c5f210a08421d13ba86d935f50f01c9f0c2c42feead1382befc93be98aff61bb" dmcf-pid="pNUHE9g21H" dmcf-ptype="general">AI 인프라 스타트업인 모레는 AI 모델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 설립한 자회사 모티프테크놀로지스를 주관사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 사업에 참여한다. 두 회사는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서울대, KAIST를 비롯해 기업 및 공공기관과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p> <p contents-hash="f857e95b11e46eebc9742f7879614ff64194a6ebb6f9d9d1045223c72b2aacb6" dmcf-pid="UjuXD2aVZG" dmcf-ptype="general">코난테크놀로지 컨소시엄에는 사이냅소프트·알체라·페블러스 등 AI 전문 중소기업 및 스타트업 3곳과 고려대학교·연세대학교·포항공과대학교·한국과학기술원 등 국내 대학 4곳 포함 총 8개 기관이 함께 한다. 코난테크놀로지는 최근 'Konan-LLM-OND' 모델을 허깅페이스에 공개한 바 있다.</p> <p contents-hash="b5ea3c82b95bc03f56b5aecc5f73181d1243a9bb871e408b44ab18cd09e46541" dmcf-pid="uA7ZwVNf5Y" dmcf-ptype="general">최근 한국 AI 스타트업 중 가장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업스테이지도 산·학·연 컨소시엄을 구성해 참여한다. 특히 이 회사의 LLM '솔라 프로 2'는 구동 비용 대비 성능 측면에서 글로벌 업계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네이버에서 AI 개발을 총괄했던 김성훈 대표가 2020년 창업한 스타트업으로, 2022년 국내 기업 최초로 캐글에서 10회 금메달을 수상하며 기술력을 인정받았다.</p> <p contents-hash="ca2c40268c2051244e9d453480f406cff7e791d6c613f1009d9ad9b26a0c96a8" dmcf-pid="7cz5rfj4YW" dmcf-ptype="general">업스테이지 컨소시엄 참가사 중에는 AI 언어 데이터 전문기업 플리토가 합류했다. 이 회사는 글로벌 빅테크에 고품질 데이터를 제공하는 국내 대표 AI 데이터 전문 기업으로서 이번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됐다고 전했다. 컨소시엄 구성 중 데이터 분야를 담당할 예정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1a24b35514d9f317b8f668222d5a1446216bf98c56e338c3c5169cd76784d299" dmcf-pid="zkq1m4A8t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2024.07.17. ppkjm@newsis.com"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is/20250721172744669qilt.jpg" data-org-width="719" dmcf-mid="xkfuSRme5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1/newsis/20250721172744669qilt.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취임사를 하고 있다. 2024.07.17. ppkjm@newsis.com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1f3cb6b7bf07a87891f4696df90d45191cb411f463945ed36ee7995255f0828" dmcf-pid="qEBts8c65T" dmcf-ptype="general"><br> 루닛 역시 이번 사업을 위한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루닛은 글로벌 최상위 의료기관들과 세계 최대 규모의 임상 데이터 파트너십을 맺고, 의료 특화 AI 파운데이션 모델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p> <p contents-hash="38dbf18641d1d4c5fc9b3a646e9f3fb36e751432d4bfc386f6b69928fa6c5d81" dmcf-pid="BDbFO6kPtv" dmcf-ptype="general">네이버클라우드 컨소시엄에는 트웰브랩스가 합류한다. 영상 등 멀티모달 AI 분야의 기술력과 글로벌 시장 경험을 살려 한국의 AI 생태계에 기여해 AI 3강으로의 도약에 함께하겠다는 포부를 전했다.</p> <p contents-hash="d2055b70e27dd778045850460cabe6fa9821ec45496a962fcdfb4fab7a1c5aa7" dmcf-pid="bwK3IPEQ5S"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올해에만 1936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우선 최대 5개 정예팀을 선발하고 향후 4개팀, 3개팀, 2개팀 등 경쟁형으로 압축해나간다. 과기정통부는 개발에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 데이터, 인재를 지원한다.</p> <p contents-hash="bdab1b73e7f3a62849ce2168a81eed390a3f751c5ab0c3407d135b8d1a40c2d0" dmcf-pid="KZLP3kHEGl" dmcf-ptype="general">GPU는 팀당 500장부터 시작해 단계평가를 거쳐 1000장 이상 규모를 지원한다. 팀당 데이터 공동구매는 연간 100억 원, 데이터 구축·가공은 연간 30억~50억 원 규모로 지원할 계획이다. 인재는 정예팀이 유치하면 정부가 연간 20억 규모를 매칭해 지원한다.</p> <p contents-hash="82847d54b38f9b2b9798054bfa27c4f2a8fa8582a4eff4bf1108b34e2dc5714d" dmcf-pid="95oQ0EXDGh"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제출서류의 적합성 검토 이후 서면평가를 통해 10개 팀으로 압축한 다음 발표 평가를 통해 총 5개 팀으로 압축할 계획이다. 사업비 심의·조정 등의 절차를 거쳐 정예팀 최종 선정 및 협약 체결 등을 8월 초까지 진행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8a4155166d562ba613b5559b67c28672be13fb7b6b1a107fa89e44ef4e4c8b0c" dmcf-pid="21gxpDZw5C" dmcf-ptype="general"><span>☞공감언론 뉴시스</span> odong85@newsis.com, hsyhs@newsis.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웨이크원, '보플2' 김건우・강우진 소속 알려지자 '계약 종료'…김건우, '인성 논란' 사과 07-21 다음 EU 범용 AI 규제 시행 앞두고 반대 나선 빅테크… 韓도 규제 완화 목소리 07-2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