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L 유나라 "당장 활약하기엔 너무 약해요" 작성일 07-22 3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간만에 정통 원거리 딜러 등장… 그러나 약한 체급으로 사용하기 어려워</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HYzWmI0CGf">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a91f267f88ee150e31e860126831418f9af2c8a7302016f3618aa988b43d1b2" data-idxno="278200" data-type="photo" dmcf-pid="ZHBGOhUl12"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02657pvre.png" data-org-width="1000" dmcf-mid="1tkwOhUlG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02657pvre.pn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46211e71d2c765e8a899a1af1bcae19939cdb76b4898b675e17b4edba16ed31d" dmcf-pid="1ZKXCS7vtK" dmcf-ptype="general">라이엇 게임즈 '리그 오브 레전드'에 171번째 챔피언으로 등장한 유나라는 많은 유저의 관심을 받았다. 최근 등장한 원거리 딜러들이 모두 스킬 중심으로 설계된 반면 유나라는 오랜만에 등장한 기본 공격 위주 정통 원거리 딜러이기 때문이다. </p> <p contents-hash="924258289b95674b58702053e5b50851ef9363da592f7bc0c2147e5ce8b27d2a" dmcf-pid="t59ZhvzTHb" dmcf-ptype="general">기자도 기대감을 가지며 나오자마자 사용했다. 그리고 머릿속에 물음표를 그렸다. 신규 챔피언인데 이렇게 약하다고? 그동안 등장한 신규 챔피언과 비교하면 확연하게 약했다. 라이엇 게임즈의 케어가 없다면 단순 낭만 챔피언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다.</p> <p contents-hash="95da601d4edc9d9261d482296ae0e3e1926ec0df24705877cdf30c8af589037c" dmcf-pid="F125lTqy1B" dmcf-ptype="general">유저들이 '정통' 원거리 딜러를 선호하는 이유는 '손맛'이다. 평타로 상대를 끊임없이 공격하는 카이팅 과정은 원거리 딜러의 매력과 쾌감을 선사하기 때문이다.</p> <p contents-hash="690b6cd88af93beb2d7287ac47e2fa2db3506c5722c8708af562a1881b415247" dmcf-pid="3tV1SyBWZq" dmcf-ptype="general">유나라는 정통 원거리 딜러로서의 매력을 충분히 갖춘 챔피언이었다. 초반에는 약하지만 아이템이 갖춰질수록 강력해지는 전형적인 왕귀형 원거리 딜러다. 빠른 공격 속도로 적들을 공격하며 화려하게 적들을 처치할 수 있었다.</p> <p contents-hash="462ceb89ff1a4ee71f1e9cf29ec1f50b8fe1d7643e3f65439031f8ae46216e7e" dmcf-pid="0p60WH2XYz" dmcf-ptype="general">그러나 아직 활약하기엔 성능이 부족했다. 과거 오버 밸런스 때문에 핫픽스로 하향한 멜을 의식한 탓일까 유나라는 상당히 신중하게 접근하는 듯하다. 직접 사용해 보니 자체 체급이 꽤나 약한 편이다.</p> <p contents-hash="914b45517fd66f73c837059feb1bfa2a0e3d8c909595340971ad6f578259b78f" dmcf-pid="pUPpYXVZ57" dmcf-ptype="general">각종 통계도 이를 대변했다. 플레이 재미와 원거리 딜러로서의 손맛은 일품이었지만 그 재미를 온전히 느끼기 위해선 상향 패치가 필요한 상태다.</p> <p contents-hash="50898caefc842fe61051d492a031eeaf6999adc7bfc5d88d954af4f04b1dcd5d" dmcf-pid="UuQUGZf5Hu" dmcf-ptype="general"> </p> <p contents-hash="023b7640a8cf4bca7a9f5d0201b6fdc0f87470f317c74664f5e268ec0e75065b" dmcf-pid="u7xuH541ZU" dmcf-ptype="general"><strong>■ 후반에 강력해지는 왕귀형 원딜</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968f81d2ae7346da79b6094dd0dd1ece689ec17d5be2d38f9ab04e0c1bac646" data-idxno="278201" data-type="photo" dmcf-pid="zqRzZt6FX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초중반에 약하고 후반에 기대 승률이 치솟는 왕귀형 그래프 챔피언다 (출처: lol.ps 7월 21일 오후 5시 기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04128mvaf.png" data-org-width="954" dmcf-mid="WAAEmI0CZ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04128mvaf.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초중반에 약하고 후반에 기대 승률이 치솟는 왕귀형 그래프 챔피언다 (출처: lol.ps 7월 21일 오후 5시 기준)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980c7f885ad3a1a10fd53eaa4f6e8437dc9a2fa29bf8b356a0556ad135d51c7" data-idxno="278202" data-type="photo" dmcf-pid="bkycdnhLX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실제 후반 밸류도 상당히 좋은 편이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05631fgkl.gif" data-org-width="600" dmcf-mid="YVjkrO3It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05631fgkl.gif" width="600"></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실제 후반 밸류도 상당히 좋은 편이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5a4dc136836e90e15f3af17b6f62d5b4181df13836be18dcd93d2807980c183" dmcf-pid="9DYEioSgG5" dmcf-ptype="general">유나라는 정통 원거리 딜러인 베인, 아펠리오스처럼 초반 라인전에서는 활약하기가 어렵다. 체급이 강력한 편도 아니고 견제에 특화된 스킬도 없다. 거기에 Q 스킬 '영혼 단련'은 예열이 필요해 원하는 타이밍에 교전을 개시하기도 어렵다.</p> <p contents-hash="3fccfe2b6b52a39bae152a660bc9fdcb618865e0e07adb90496eb818b7b8e403" dmcf-pid="2wGDngvaGZ" dmcf-ptype="general">패시브 스킬인 '최초의 땅의 맹세' 또한 마찬가지다. 치명타 공격이 추가 마법 피해를 입히는 단순한 효과다. 이에 따라 치명타 아이템을 구비할 수 없는 초반 타이밍에는 패시브가 사실상 없는 수준이다.</p> <p contents-hash="e89674c7b57f4cbdef7888b35a05b1cc4602bcd5fd63042f060ab8fe347d075e" dmcf-pid="VrHwLaTN5X" dmcf-ptype="general">이에 따라 치명타 아이템을 본격적으로 확보하고 아이템 시너지를 받을 수 있는 3코어 이후 타이밍부터 챔피언 고점이 드러난다. 3코어 타이밍에서의 광역 딜링은 '시비르'를 연상케 할 정도로 훌륭하다.</p> <p contents-hash="2818bb87e77ee54d0f82b6be3b885eb57007a0234a6afd2dbc22eae09f69bcb5" dmcf-pid="fmXroNyjZH" dmcf-ptype="general">즉, 유나라 목표는 초반 구간을 최대한 안전하게 넘기며 아이템을 빠르게 구매하는 것이다. 당연히 솔로 랭크에서는 당장 쓰기 애매했다. 랭크 게임에서 가장 기피되는 V자 형태 승률 그래프를 보유한 챔피언인데 비슷한 그래프를 자랑하는 '아펠리오스'보다도 지표가 낮다.</p> <p contents-hash="ffc24704c90236c6e03d0cef7336102c9d349797e6e95958d1c394880cc2b2be" dmcf-pid="4sZmgjWAZG" dmcf-ptype="general"> </p> <p contents-hash="371b7293e073345307fea302f838592ba54da087d6c380d4eeabefcff1eda1aa" dmcf-pid="8O5saAYcZY" dmcf-ptype="general"><strong>■ 강력한 후반 밸류, 높은 딜 포텐셜</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6fd4f5fefd931842fe7ff46ec5b7e940faa661dc60fbaec654748b71b2a28cb" data-idxno="278203" data-type="photo" dmcf-pid="Pl3hcDZwX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안정적으로 딜링할 상황이 나온다면 비로소 활약할 수 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07291ntqv.gif" data-org-width="600" dmcf-mid="GMDrIluSH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07291ntqv.gif" width="600"></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안정적으로 딜링할 상황이 나온다면 비로소 활약할 수 있다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715e22846d8d3a0578aacfb5ccf1d3c53f67087b7984f9df5f84b7e81cfa86e" data-idxno="278205" data-type="photo" dmcf-pid="yPj6zbLKXS"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게임이 잘 풀린다면 강력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10303paii.png" data-org-width="1280" dmcf-mid="XKWCvWbY5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10303paii.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게임이 잘 풀린다면 강력한 모습을 보여줄 수 있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da483a77f6060864e099212597dc1c4be9b11059f391194a2baf5b0182a699e" dmcf-pid="YxcQB9g2Zh" dmcf-ptype="general">정통 원거리 딜러의 경우 아이템이 추가될수록 강력해진다. 대표적으로 '케이틀린'이 있다. 후반 6코어까지 도달하면 정말 강력한 성능을 보여준다.</p> <p contents-hash="6c2cfea21666052999ab0f7deba11ec1c8a5ebf04a2ad61b92f608f0ffe6c1b0" dmcf-pid="GMkxb2aVHC" dmcf-ptype="general">유나라의 강점도 비슷하다. 치명타 아이템이 갖춰지면 쇼타임이 시작된다. 패시브의 시너지로 매우 높은 DPS를 발산할 수 있다. 특히 궁극기를 사용하면 고점이 눈에 띄게 확 올라간다.</p> <p contents-hash="01219daa9211f04f5da80679f1cbecf47477271760a6457c4bbfee9a3782b58e" dmcf-pid="HREMKVNftI" dmcf-ptype="general">궁극기인 '자기 초월'은 15초 동안 Q 스킬을 상시 지속, W 스킬을 일직선 범위 공격, E 스킬을 돌진기로 변경시키는 효과다. 유나라가 완전히 달라진다. 상시 지속되는 Q 스킬이 앞서 언급했던 우수한 광역 딜링의 핵심이다. </p> <p contents-hash="c10bbf79ae8b2bc472eca56dcb6c156d1c6657da841e3a628fb1ee4aff549e9a" dmcf-pid="XeDR9fj45O" dmcf-ptype="general">유나라 스킬들은 모두 레벨에 따라 큰 고점을 지니고 있다. E 스킬 '칸메이의 발자취'는 스킬 레벨에 따라 이동 속도 상승량과 지속 시간이 크게 증가한다. 궁극기 레벨에 따라 돌진 속도가 증가하기 때문에 뼈대부터 왕귀형이라고 볼 수 있다.</p> <p contents-hash="9e409b40dc7afcfd7c455c551efefb9ebff836c283e9021a6ad097c55608991a" dmcf-pid="ZwGDngvaZs" dmcf-ptype="general"> </p> <p contents-hash="cc5731b4a139c6b74a4493c490d84d59bc89e71bd8ff11c99ee3dfcc8b1006d6" dmcf-pid="5rHwLaTNGm" dmcf-ptype="general"><strong>■ 부족한 자체 체급, 높은 궁극기 의존도</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1219b7cdc8b7bf19504d5ed400244deb728fe559c291512855f05d1b1663474" data-idxno="278204" data-type="photo" dmcf-pid="tsZmgjWAZ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라인전 과정 자체는 상당히 고통스러운 편이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08819qsht.png" data-org-width="1280" dmcf-mid="Hn46MdOJ1x"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08819qsht.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라인전 과정 자체는 상당히 고통스러운 편이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763368d7e6351b034a1513c878306daf7179cc6b2f715a54ef461ce9008d458" dmcf-pid="3I1ONcGkXE" dmcf-ptype="general">LoL에서 라인전은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요소다. 라인전 주도권이 약하면 원활한 성장이 힘들다. 이는 단순히 라이너뿐만 아니라 정글의 동선과 플레이에도 영향을 미친다.</p> <p contents-hash="a65c1f63ec9f81031a91c4cdbb34f50009ddf5d81911d7899a07dd04ca9be2e3" dmcf-pid="0CtIjkHEYk" dmcf-ptype="general">당연히 후반에 강한 챔피언들은 라인전 단계에서 약한 모습을 보인다. 유나라도 마찬가지다. 아이템이 갖춰지지 않은 초반부에는 라인 클리어가 느리고 직접적인 교전이 강하지도 않다. 최근 라인전에서 강한 원거리 딜러들이 너무 많으니까 버티기 어려울 정도다.</p> <p contents-hash="36acb984b9ac8124b421c2dbbae1793ebb598ff0610a9503f400ba2fea5053aa" dmcf-pid="phFCAEXDYc" dmcf-ptype="general">문제는 궁극기 의존도도 꽤나 높다. 궁극기 외 기본 스킬들의 성능이 너무 약하다. 특히 E 스킬은 단순 이동 속도 증가 효과뿐이기 때문에 궁극기가 없으면 무용지물인 경우가 많았다.</p> <p contents-hash="cb56201a935fcb37a6b6a5be51d53633f47952f98b228c579b84caa36b7d792b" dmcf-pid="Ul3hcDZwZA" dmcf-ptype="general">비슷한 포지션인 제리, 시비르와 비교해도 메리트가 적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든든한 생존기가 없어서 전투마다 매우 신중하게 위치를 선정해야 한다. 그렇다고 보조 스킬에 압도적인 유틸리티도 없다.</p> <p contents-hash="19672433799d25549fb3cb16cfc875680ed7df5405657d960bee6dfd03302491" dmcf-pid="u59ZhvzTZj" dmcf-ptype="general">왕귀형 챔피언이라고 말했지만 과거 전성기 아펠리오스처럼 다른 원거리 딜러들을 훌쩍 뛰어넘는 딜링 능력을 가지고 있지도 않아서 픽의 메리트가 없다.</p> <p contents-hash="ed2f3d38e9a47516ebaf67d91929ac939c3dfbbefea05cf4ffec84000c08df18" dmcf-pid="7125lTqyYN" dmcf-ptype="general"> </p> <p contents-hash="8c20a7c4335fd5f94ca2d0ced3b4ecf9d68251a52101454adcb8bf6f619adb17" dmcf-pid="ztV1SyBWYa" dmcf-ptype="general"><strong>■ 치명적 속도가 정배, 1코어는 윤 탈을 추천</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07a981f22db97be41df296f770ec25329be611bd129b6d13e49483a41a7e124" data-idxno="278206" data-type="photo" dmcf-pid="B34FTYKGY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치명적 속도가 대부분 상황에서 우세하다 (출처: lol.ps 7월 21일 오후 5시 기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11763ikqs.png" data-org-width="995" dmcf-mid="ZZzFUzJqX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11763ikqs.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치명적 속도가 대부분 상황에서 우세하다 (출처: lol.ps 7월 21일 오후 5시 기준)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54ac5bdd5ef5dfaa8efbc64cc1c189bc988c292d46f6eacde906604f5801469" data-idxno="278207" data-type="photo" dmcf-pid="9UPpYXVZGi"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아이템은 윤 탈 야생화살을 기준으로 빌드를 구성하는것이 좋다 (출처: lol.ps 7월 21일 오후 5시 기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13174gkkh.png" data-org-width="970" dmcf-mid="5jCDsCph56"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13174gkkh.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아이템은 윤 탈 야생화살을 기준으로 빌드를 구성하는것이 좋다 (출처: lol.ps 7월 21일 오후 5시 기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a05860c30bf99de3d385191dc22252e8824f4ddd745db9ffcf40f9a640e80a2" dmcf-pid="VI1ONcGkXd" dmcf-ptype="general">유나라의 통계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여주는 룬은 '치명적 속도'다. 총합 선택률이 80% 이상일 만큼 높으며 실제로도 챔피언과 매우 잘 어울렸요. 치명적 속도만큼 통계가 좋은 룬도 없어 고민 없이 선택해도 좋다.</p> <p contents-hash="bcfcd7835da9776ec6fc4336e27a4f1ff8f77489ffbd616c2b6bf0745597c310" dmcf-pid="fCtIjkHEYe" dmcf-ptype="general">현재 추천하는 1코어 아이템은 '윤 탈 야생화살'이다. 치명타와 관련된 패시브 때문에 아이템 선택지가 제한적인데 윤 탈 야생화살은 필수 옵션인 공격력, 공격 속도, 치명타 확률을 모두 제공하니까 가히 유나라를 위한 아이템이다.</p> <p contents-hash="567d8b72b50772cb418be169cd87607c8c29884f5f760d2c157f5138a854b846" dmcf-pid="4hFCAEXD1R" dmcf-ptype="general">이후 '루난의 허리케인'과 '무한의 대검'으로 이어지는 3코어 빌드가 통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다. 직접 체험한 결과 준수한 성능으로 왜 이러한 지표를 보여주는지 알 수 있었다. </p> <p contents-hash="5efb8f645645a1016a2de6616b5f347852abad6da7b16a8671bc3dd9e95f5ffe" dmcf-pid="8l3hcDZw5M" dmcf-ptype="general">'크라켄 학살자'가 상향되어 해당 빌드도 고려할 수 있겠지만 윤 탈 야생화살에 비해 메리트가 적다. 추후 연구에 따라 어떤 빌드가 탄생할지는 알 수 없으나 윤 탈 야생화살이 정석 트리라고 봐도 무방하다.</p> <p contents-hash="fe998b4755decbaa9f6f2ab1d90aec586fadb88f170cd5463ed8891d5daa013a" dmcf-pid="6S0lkw5r1x" dmcf-ptype="general"> </p> <p contents-hash="fe7546a77430b793a83d5b8a5ee4906705e2073e0c6e4c84a6d6d0da40759d58" dmcf-pid="PvpSEr1m1Q" dmcf-ptype="general"><strong>■ 체급이 확보되면 가능성이 충분한 챔피언</strong></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e72bc670dcde8910b32472b4d6789f32ccbd9b7bc70afff4614ee0f94ddf714" data-idxno="278208" data-type="photo" dmcf-pid="xyuTwsFO5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 잠재력은 충분하지만 지금은 때가 아닙니다 (통계 출처: lol.ps 7/21 오후 5시 기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14610lanf.png" data-org-width="966" dmcf-mid="1VbPRJIiG8"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HankyungGametoc/20250722091114610lanf.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 잠재력은 충분하지만 지금은 때가 아닙니다 (통계 출처: lol.ps 7/21 오후 5시 기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c6ede6351fc316508b925da4da60c441b6b2ad9eb1ac7c311d0aadddec44ff8" dmcf-pid="WJrdV8c6X4" dmcf-ptype="general">최근 신규 챔피언들이 출시 초기 밸런스 문제를 보이며 핫픽스로 햐향됐다. 이에 유저들은 "신규 챔피언들이 밸런스를 해치지 않았으면 좋겠다"며 등장할 때마다 아쉬움을 토로했다.</p> <p contents-hash="85d4d691605aab1bbf0a24db6d3ad98b061481ac974cb988b4a517063c1fd4c2" dmcf-pid="YimJf6kPXf" dmcf-ptype="general">유나라의 아쉬운 성능은 유저들의 피드백을 잘 반영한 결과물이라고도 볼 수 있다. 신규 챔피언이라고 말하기엔 그동안의 챔피언들보다 확연히 약하다. 초반 라인전의 단추를 잘 꿰지 못하면 패배로 이어질 수 있는 LoL 메타에서 살아남기가 매우 힘들 정도다.</p> <p contents-hash="cec8335c1c153161e6046f18aa8e79598338911abbe3d410a4783072a5245741" dmcf-pid="Gnsi4PEQYV" dmcf-ptype="general">유나라의 픽률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르기 위해선 상향 패치가 필수다. 조금만 상향되면 충분히 활약할 수 있는 챔피언이다. 궁극기를 사용했을 때 화려한 플레이, 직관적인 스킬 구성으로 운용 난이도가 어렵진 않다. 오히려 챔피언 자체 난이도보다는 원거리 딜러 기본기가 중요하다.</p> <p contents-hash="da54ca70aaa21f994b9781913d4f9f7cf0813a40a93b46fae66d86fa3fa96191" dmcf-pid="HLOn8QDxZ2" dmcf-ptype="general">유저들은 "간만에 등장한 신규 챔피언이 약하네", "정통 원거리 딜러 나와서 연습할 맛이 난다", "일러스트는 엄청 잘 그렸다", "신규 챔피언 초기 밸런스는 이게 맞다"등의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라이엇 게임즈가 어떤 방향성을 보여줄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p> <p contents-hash="f7d9e6b011c5807f35539a7a42fe969248fa223369188f4b94bb6eaff272d8c0" dmcf-pid="XoIL6xwMH9" dmcf-ptype="general"> requiaums@naver.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게임톡.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고퀄” 김준수 소속사 팜트리아일랜드, ‘인터미션 시즌3’ 호평 07-22 다음 이희진, 납치당할 뻔? “목 뒷덜미를 잡고…” 아찔 (미스터.리) 07-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