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재단 해킹 후폭풍…공공기관 보안법 손질 목소리 작성일 07-22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12만명 개인정보 유출에도 통지 지연…2차 피해도 발생<br>입법조사처 “보안점검·인증·통지 의무 법제화 필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M8VPMrRXl">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f5ba72c6e0de0fdcad896147ae7d36332edefa819e3e7909f3f4b1b7ac014c7" dmcf-pid="1p1XFpMUX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한국연구재단 해킹 사태를 계기로 공공기관에도 정보보호 인증과 공시를 의무화하고, 사이버보안 점검의 법적 근거를 상위법으로 격상하는 등의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챗GP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dailian/20250722104927551askz.png" data-org-width="700" dmcf-mid="ZWkjDmts1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dailian/20250722104927551askz.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국회입법조사처는 최근 한국연구재단 해킹 사태를 계기로 공공기관에도 정보보호 인증과 공시를 의무화하고, 사이버보안 점검의 법적 근거를 상위법으로 격상하는 등의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챗GPT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528380be0570404f96e4cde9194f8e2c28c98634ea97b358888f2e98e0f7e9ff" dmcf-pid="tUtZ3URutC" dmcf-ptype="general">한국연구재단 해킹 사태는 단순한 보안 사고를 넘어, 공공기관 정보보호 체계의 구조적 취약성과 법제도의 허점을 드러냈다는 평가다. 사전 차단이 가능한 수준의 취약점이 장기간 방치됐고, 유출 사실을 인지하고도 통지를 늦추는 등 대응 체계 전반의 신뢰가 무너졌다는 점에서다.</p> <p contents-hash="12f4b5bc6ad62dbc24fdb4555331e535f43211c1bb818b93c55815babe8200d4" dmcf-pid="FuF50ue7XI" dmcf-ptype="general">국회입법조사처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공공기관에도 정보보호 인증과 공시를 의무화하고, 사이버보안 점검의 법적 근거를 상위법으로 격상하는 등의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p> <p contents-hash="4de571d4e3bb55fbff1f46b77b95353c3c4c4e88000d209dee07d6635de29c17" dmcf-pid="3731p7dz1O" dmcf-ptype="general">22일 국회입법조사처가 발간한 ‘한국연구재단 해킹 사건을 계기로 본 공공기관 정보보호 강화방안’에 따르면, 지난 6월 한국연구재단 논문투고시스템(JAMS)이 해킹돼 약 12만 명 연구자 개인정보가 유출됐다. 특히 이번 해킹은 국가 연구개발(R&D) 지원 핵심 공공기관인 연구재단이 단순 공격에 무방비로 노출됐다는 점에서, 연구 생태계 신뢰를 흔들 수 있는 중대한 사안이라고 봤다.</p> <p contents-hash="ab781b2ef592bd06d640aaa0a7ec1e6c59aa9c921ef6464f689ff1f091bfa035" dmcf-pid="0z0tUzJqGs" dmcf-ptype="general">해킹은 6월 6일 새벽에 이뤄졌지만, 재단은 같은 달 7일 개인정보 유출은 없었다고 공지했다. 이후 9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사이버안전센터 정밀조사에서 개인정보 유출이 확인됐다.</p> <p contents-hash="3ed3e344f9aa8d7dd0344602a0a7f524fdd20c503c1eb462991ac2cbc605afdb" dmcf-pid="pqpFuqiBtm" dmcf-ptype="general">결국 재단은 3일이 지난 6월 12일에서야 사과문을 통해 기존 공지 내용을 정정한 후 개인정보보호위원회에 유출 사실을 신고했다.</p> <p contents-hash="e393733f70f5b0027d5ab1886924a78443af903e7b26e8ab7e7f2dae86107a4a" dmcf-pid="UBU37BnbGr" dmcf-ptype="general">재단 JAMS 이용자 약 79만 명 중 12만 2954명 개인정보가 유출됐고, 회원가입 시 입력정보 일체가 유출되면서 116명은 주민등록번호까지 함께 유출됐다. 또 피해자 중 1559명의 명의로 특정 학회에 무단 가입된 사실도 확인됐다. 명의 도용이라는 2차 피해가 현실화된 셈이다.</p> <p contents-hash="4691472a8152bf6fb8050ac7c70d2140a546b0bf78d84a6988b9779a5d10c06f" dmcf-pid="ubu0zbLKHw" dmcf-ptype="general">보고서는 재단이 JAMS 보안 취약점을 장기간 방치한 채 운영했다고 지적했다. 2008년 최초 개통된 이후 일부 기능 보완은 이뤄졌으나, 보안 구조 전반 고도화나 재설계는 진행되지 않았다는 점을 꼬집었다.</p> <p contents-hash="3d0e62c54ca22330889409702975ee2cff6af7de411b56b891f03f13ac82608b" dmcf-pid="7K7pqKo9HD" dmcf-ptype="general">정보보호 공시 의무에서도 공공기관이 제도적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고 봤다. 현행 정보보호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은 정보보호 투자와 인력, 인증 현황 등을 공개하는 공시 의무를 민간에만 적용하고 있다. </p> <p contents-hash="4105252dce2e152ee7350436bc1758c9561d3a4e664e22f02bfc401f48b716c0" dmcf-pid="q2qub2aVXk" dmcf-ptype="general">공공기관은 국가정보원의 사이버보안 실태평가나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른 경영 공시·평가로 대체되고 있으나, 이는 결과 공개가 제한적이고 경영 중심에 치우쳐 실질적인 정보보호 수준을 외부에서 파악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p> <p contents-hash="96ba02e7ab133ace3b383bebc97f8c2e1fcdb259d26f8d3b05e98fe0bbc1c27b" dmcf-pid="bfbz9fj4GA" dmcf-ptype="general">이에 보고서는 정보보호 공시와 ISMS 인증 의무 대상을 공공기관까지 확대하고, 그 우선 적용 대상으로 국가 연구개발(R&D) 등 고위험 정보를 다루는 기관을 지정해 단계적으로 적용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p> <p contents-hash="7c34772b61c154e577749a46c73242c13bdd0f7afd0592c275a8ef1e130107d8" dmcf-pid="KR6fQRme5j" dmcf-ptype="general">이를 통해 공공기관 스스로 보안 위험을 진단하고, 외부 감시와 비교 가능성을 확보해 실질적인 보안 수준 향상을 유도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p> <p contents-hash="880ab647decf3130b44ff46f117349e7a149a8c9f8174c765b046e5bb1707999" dmcf-pid="9eP4xesdXN" dmcf-ptype="general">사이버보안 진단·점검의 실효성도 높이기 위해, 현재 대통령령에 근거한 자체 점검 의무를 전자정부법 등 상위 법률로 격상하고, 일정 기한 내 시정조치를 의무화하며, 미이행 시 과태료 등 제재 수단을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단순 권고가 아닌 강행 규정으로 전환해 법적 구속력을 높이고, 실제 이행을 강제하는 구조로 개편해야 한다는 것이다.</p> <p contents-hash="65accec895bb658b5de0e6f4b034a53f49cce75c599ffd91f9d2a9feea9574f3" dmcf-pid="VJx6RJIi5g" dmcf-ptype="general">또 개인정보 유출 통지 기준도 보완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현행 ‘72시간 이내 통지’ 규정이 실무 현장에서 지연 통지의 근거로 오용되는 경우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며, 주민등록번호나 금융정보 등 고위험 정보가 유출된 경우에는 ‘인지 즉시 통지’를 예외적으로 의무화하는 방향으로 개인정보 보호법 시행령을 개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p> <p contents-hash="b0458155435fa40cfa01ee4efdacde8629fd29ad82c1b5e6b66edd9fe0bafc04" dmcf-pid="fiMPeiCnYo" dmcf-ptype="general">국회입법조사처 측은 보고서를 통해 “이번 해킹 사고는 단일 기관의 보안 실패를 넘어, 공공부문 전반의 정보보호 체계가 얼마나 허술한지 보여주는 경고”라며 “보안 투자에 대한 인식 전환과 함께, 법·제도적 기반을 정비해 신뢰할 수 있는 공공 정보시스템 환경을 구축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세이마이네임, 8인조 첫 활동 설렘 가득한 티저 07-22 다음 이통3사, 갤Z폴드·플립7 사전 개통 돌입…공통지원금 최대 60만원 07-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