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독시' 원작 팬 vs 일반 관객, 전지적 교차 시점 리뷰 [무비노트] 작성일 07-22 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3CI5uqiBhm">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3efe225065efb99583cedfa953a970025ba4c2a3567651779fd86b1a0bda333" dmcf-pid="0hC17Bnbh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티브이데일리 포토"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tvdaily/20250722111407988qagc.jpg" data-org-width="620" dmcf-mid="K6Zb6xwMW0"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tvdaily/20250722111407988qag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티브이데일리 포토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fa02c85b243c9060ebb5921dff517b1aca69e630b98d08ae7e4d414e332141f" dmcf-pid="pgoOyG9HCw" dmcf-ptype="general">[티브이데일리 최하나 김진석 기자] 한 사람은 수백 화에 달하는 원작 웹소설을 정독한 독자였고, 다른 한 사람은 아무런 배경지식 없이 극장에 들어섰다.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은 이 두 관객 모두에게 얼마나 설득력 있는 세계로 다가왔을까. 원작을 깊이 아는 이에게는 충실한 각색으로, 처음 접하는 이에게는 흥미로운 세계관으로 받아들여졌을까. '전지적 독자 시점'을 미리 관람한 티브이데일리 영화팀 기자들이 각자의 시선에서 이 작품을 되짚었다.</p> <p contents-hash="10e4d53706de80d89e6325bcac1f36db1f71ee325cba7361371e00d1de67c44d" dmcf-pid="UagIWH2XlD" dmcf-ptype="general">오는 23일 개봉하는 영화 '전지적 독자 시점'은 10년 이상 연재된 소설이 완결된 날 소설 속 세계가 현실이 되어 버리고, 유일한 독자였던 김독자(안효섭)가 소설의 주인공 유중혁(이민호) 그리고 동료들과 함께 멸망한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한 판타지 액션 영화다. </p> <p contents-hash="d3bb32b471ea435bf69e699856689d704879c2d5c32391ce9333609f4f18a835" dmcf-pid="uNaCYXVZvE" dmcf-ptype="general"><strong>◆ 스토리 각색: "호불호 갈릴 것"vs"설명 부족에 혼란"</strong> </p> <p contents-hash="a983a71538417b98c81dabd8122e3db4da2378dc1e26edf9358fbdecfffcd0d9" dmcf-pid="7jNhGZf5Wk" dmcf-ptype="general">원작 팬이라면 이번 각색에 대해 호불호가 뚜렷하게 갈릴 수 있다. 특히 배후성, 스타스트리밍, 성좌 설정 등을 좋아했다면 영화의 전개에 큰 실망을 느낄 가능성이 크다. 무엇보다 이지혜(지수)의 배후성 설정이 빠지고, 총을 든 새로운 설정으로 바뀐 점은 원작 팬들의 반감을 살 여지가 크다. 이 모든 걸 감안하더라도 각색된 이야기 자체의 완성도가 그리 높지 않다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p> <p contents-hash="3b21ef7403aa1bae830762b164e1cc557d6a68c1831d6255d1b7b9068f457c05" dmcf-pid="zAjlH541Wc" dmcf-ptype="general">함께하는 연대의 메시지를 강조하기 위해 새롭게 구성된 후반부는 지나치게 올드하고, 감동을 억지로 유도하는 인상이 강해 오히려 전체적인 재미를 떨어뜨린다. 이후 원작에서 꽤 중요한 설정이 함께하는 연대의 메시지를 강조하기 위해 억지로 끌어다 쓴 듯한 인상이 강해, 원작을 좋아하는 팬이라면 납득하기 어려운 각색이라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p> <p contents-hash="1582ef0d0e39d9e495d9b25deae3be080faee6230c058a9736d53314471192a6" dmcf-pid="qcASX18tWA" dmcf-ptype="general">원작을 모르는 관객은 낯선 수준을 넘어 이야기가 주는 불친절함에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우선 세계관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배후성이라는 시스템은 별다른 의미 없이 어딘가에서 도와주는 신처럼 설명되고, 아이템과 미션은 다소 평면적으로 주어진다. 도깨비 등의 존재들까지 뒤섞여 나오지만, 각각이 어떤 기능을 하는지 추측하며 시청해야 한다.</p> <p contents-hash="6bec9556fab82db9e0c6cffe0dfc453b6f629886756db7ad93b3f9e1b9df5961" dmcf-pid="BkcvZt6FTj" dmcf-ptype="general">게다가 독자(안효섭)가 중요하게 언급하는 낯선 용어의 아이템들이 왜 중요한 것인지 이해하기 어렵고, 스킬명 또한 낯선데 대사가 명확하게 들리지 않아 아쉬움을 산다. 이에 더해 유중혁이라는 인물이 왜 중요한지, 화룡과의 전투가 그에게 어떤 의미인지 크게 와닿지 않는다. 무엇보다 시즌2를 암시하는 결말 또한 여운보다는 불완전함으로 다가온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fd69369d9dd51357860ca593cb4b5fe6643b54d74be053f12767b835e9c6669" dmcf-pid="bEkT5FP3T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tvdaily/20250722111409323mkyp.jpg" data-org-width="620" dmcf-mid="9DS3B9g2S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tvdaily/20250722111409323mkyp.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c35b5cba8685e0f76f426f27dc21ae55466ccc96e55d983a89f42af60c2eb44d" dmcf-pid="KDEy13Q0va" dmcf-ptype="general"><br><strong>◆ 연기: 만족스러운 싱크로율, 문제는 지수</strong> </p> <p contents-hash="6e0c2378cf3bacc8e6c9e5f6d3a830265b7c9b3c0cb8f12a5bf97032656bc92d" dmcf-pid="9wDWt0xpvg" dmcf-ptype="general">원작 팬의 입장으로, 캐스팅 소식이 전해졌을 당시 우려했던 부분들은 막상 영화를 보면 대체로 수긍이 가는 선택이었다는 생각이 든다. 먼저 영화의 메인 롤인 김독자 역의 안효섭은 튀지 않는 연기 톤으로 김독자의 평범성과 존재감을 표현해 내 영화를 안정적으로 이끌어간다. </p> <p contents-hash="eaae49093b02f0aad9bcd754528458b75a76a94ae3b4e07a4bc391c145eaa364" dmcf-pid="2rwYFpMUvo" dmcf-ptype="general">가장 많은 지적을 받았던 이민호는 자신의 아우라와 연기력으로 이를 돌파해 나간다. 적은 분량에도 주인공으로서의 존재감을 보이며 원작팬들도 꽤나 만족할 수준의 비주얼과 연기로 유중혁을 완성했다. 이 외에도 채수빈 신승호, 정성일, 박호산, 최영준도 캐릭터와 착붙인 연기력으로 극을 다채롭게 꾸민다. </p> <p contents-hash="da4d46e448ec9ad410653e03da675fc8f0152ecb1c7bda8ca41cc2599f47ed71" dmcf-pid="VmrG3URulL" dmcf-ptype="general">단 이지혜를 연기한 그룹 블랙핑크 지수는 이번에도 부족한 연기력으로 분위기를 반전시키는데 실패한다. 등장만으로도 영화의 집중력을 깨트리는 아쉬운 연기력은 영화 전체의 흥미를 떨어뜨릴 정도다. </p> <p contents-hash="d137a2c70fa3b60b13ab93a1113dadec2f6f5ac61374e710962f76c9a84d2339" dmcf-pid="fsmH0ue7ln" dmcf-ptype="general">이지혜 역의 지수는 원작 팬과 일반 관객 모두에게 공통적인 아쉬움으로 남는다. 단순한 연기력 문제를 넘어, 대사 전달력과 감정 몰입 모두 부족하고, 튀는 음색으로 극의 흐름에서 이질감을 유발한다. 그 외 나나의 액션이 예상보다 출중하며 채수빈과 권은성 또한 존재감이 훌륭하다. 탄탄하고 안정적인 캐스팅 덕에 낯선 설정에도 극을 따라가는 힘이 생긴다.</p> <p contents-hash="017d877de2020edef3af5935568aecef4c90bcb3db2bbfcff509c10aa8255383" dmcf-pid="4OsXp7dzhi" dmcf-ptype="general"><strong>◆ CG: 노력은 가상하지만, 아쉬운 디테일</strong></p> <p contents-hash="b8f036a703bd253ef1c2ea81454bc8df69ed9aa95cb6ab9dd0ffde317b8c63b6" dmcf-pid="8AjlH541TJ" dmcf-ptype="general">원작 팬의 입장에서 CG는 원작의 비주얼을 최대한 구현하려는 노력이 엿보이지만, 전체적인 퀄리티는 다소 아쉬운 편이다. 일상적인 공간인 지하철과 CG로 구현된 특성창과 도깨비, 괴수들의 조화가 이질적이라서 때때로 영화의 몰입도를 깨뜨린다. </p> <p contents-hash="aa73cc9ebb997eabb6d57a3f8e9223bb095e98bdd60568bdda6e9c2ed290ff59" dmcf-pid="6cASX18tyd" dmcf-ptype="general">특히 후반부 클라이맥스 신에서는 기술력을 자랑하려는 듯 CG를 과하게 쏟아붓는 연출이 오히려 이질적으로 다가와, 자연스럽게 몰입되기보다는 보여주기식이라는 인상을 남긴다. 또한 넓은 스크린으로 감상할 경우, 일부 CG 장면은 화질이 깨져 보이는 구간도 있어, 전체적인 완성도 측면에서 아쉬움을 남긴다.</p> <p contents-hash="676647d543c405297fbd638bc676198ce6a987290c32e5d4246f56ffa3b65625" dmcf-pid="PkcvZt6Fhe" dmcf-ptype="general">초심자 관객의 입장도 크게 다르지 않다. 땅개 무리들의 집단 등장 장면은 시각적 위협은 있지만, 전투신 자체가 단조롭고 동선 활용도 부족하다. 몬스터 사냥이라는 장르적 재미를 기대했다면 다소 심심하게 느껴질 수 있다. 일부 CG는 시각적으로 인상적이지만, 그것이 서사와 연결되지 않기에 기술 과시처럼 느껴지는 측면이 크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10068575579a4d05a1404b45ac9a7a9290bd3aa52728de645ebbcc3b09ca8a9" dmcf-pid="QEkT5FP3S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2/tvdaily/20250722111410663psgy.jpg" data-org-width="620" dmcf-mid="Fm19QRmev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2/tvdaily/20250722111410663psgy.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197afd0bc51964234faa7d70028702edb662bfc4bd9668b00c04d9bdf4eeacdb" dmcf-pid="xDEy13Q0CM" dmcf-ptype="general"><br><strong>◆ 그래서, 볼래 말래?</strong></p> <p contents-hash="dd3ff6a2918c3107329927d963612001424946c7724e21185c9cf37d2fff9981" dmcf-pid="yqzxLaTNSx" dmcf-ptype="general">'전지적 독자 시점'은 원작 팬과 일반 관객 모두에게 애매함을 남겼다. 팬이라면 기대했던 장면과 설정이 바뀐 데서 오는 실망감이 크고, 원작을 모르는 관객은 설명 부족과 인물 설득력의 부재로 몰입이 어렵다. 몇몇 인상적인 장면과 배우들의 연기에도 불구하고 '매력적이다'라고 단언하기엔 애매한 지점이 많다. 물론 이는 미리 영화를 본 두 기자의 시선일 뿐, 직접 영화를 마주한 관객들의 평가는 또 다르게 갈릴 수 있다. 결국 관객 각자의 눈으로 확인해보는 수밖에 없다.</p> <p contents-hash="70a3a6cd98858088f60c033bcf4b7bc2ea4430846e243ee6c46e7d761f5a09f0" dmcf-pid="WBqMoNyjCQ" dmcf-ptype="general">[티브이데일리 최하나 김진석 기자 news@tvdaily.co.kr/사진제공=롯데엔터테인먼트]</p> <p contents-hash="5a2c1b9fbc61d3c08e5828c411115c8a25aedd32482c9bca46293ce015d1158d" dmcf-pid="YbBRgjWACP" dmcf-ptype="general"><strong> </strong><span>전지적 독자 시점</span> </p> <p contents-hash="09f29cb30382c32ef2b4d1f69c0a3230d69c8c62d611a21dee2467a1294753b7" dmcf-pid="GKbeaAYcC6" dmcf-ptype="general"><strong></strong><br><br>[ Copyright ⓒ * 세계속에 新한류를 * 연예전문 온라인미디어 티브이데일리 (www.tvdaily.co.kr) /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티브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견우와 선녀' 추영우, 10점 만점에 10점 활약 07-22 다음 '트라이' 오하조, 양궁 감독으로 변신…럭비부와 어떤 그림 그릴까 07-2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