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2024년도 사행산업 통계 발표 작성일 07-24 13 목록 <div style="display:box;border-left:solid 4px rgb(228, 228, 228);padding-left: 20px; padding-right: 20px;">사행산업 규모 25.3조원, 2023년 대비 3.5% 증가<br>건전한 여가문화 조성 및 불법 사행산업 근절 강화</div><br><br>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위원장 심오택)가 2025년 7월23일 ‘2024년도 사행산업 관련 통계’를 발간하며, 변화하는 사행산업 환경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br><br>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는 ▲사행산업 규모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정책 추진 현황 ▲도박중독 예방·치유 활동의 추이 및 특징을 파악하여 정책 수립 및 이행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매년 통계집을 제작하고 있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10/2025/07/24/0001080568_001_20250724090008847.png" alt="" /></span><strong><div style="border-top: 4px solid #ed6d01;border-bottom: 1px solid #ed6d01;font-size: 18px;padding: 10px 0;margin:30px 0;">2024년 사행산업 총매출액 25.3조 원, 2023년 대비 3.5% 증가</div></strong>2024년 사행산업 총매출액은 25.3조 원으로 2023년(24.4조 원) 대비 3.5% 증가했다. 업종별로 보면, 외국인 전용 카지노(32.3% 증가), 소싸움 경기(12.1% 증가), 복권(8.6% 증가)이 2023년 대비 큰 폭으로 성장했다.<br><br>이는 외국인 관광객 증가와 복권 구매의 대중화, 소싸움 경기 이용자의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경륜(-4.6% 감소)과 경정(-3.9% 감소)은 2023년 대비 매출액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br><br>□ 온라인 베팅 활성화로 사행산업 이용객 19.6% 증가한 반면, 오프라인 이용객은 감소세<br><br>사행산업 이용객은 2023년 1912.4만에서 2024년 2286.5만으로 19.6% 늘어났다. 특히, 외국인 전용 카지노(42.4% 증가), 경마(28.9%), 소싸움 경기(32% 증가)가 2023년 대비 큰 증가 추세를 보였다.<br><br>한편, 경마의 경우 온라인 베팅의 도입으로 인해 이용객은 많이 증가한 반면, 입장객 수는 감소하였다. 경주류(경마, 경륜, 경정)의 장외발매소 입장객 수를 비롯하여 오프라인 이용 인원(입장객 수)은 감소 추세를 나타내고 있다.<br><br>2024년 입장객 수는 경마 –9.6%(589.5만), 경륜 –8%(159.9만), 경정 –8.5%(95.2만) 등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 형태가 온라인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br><br><strong><div style="border-top: 4px solid #ed6d01;border-bottom: 1px solid #ed6d01;font-size: 18px;padding: 10px 0;margin:30px 0;">사행산업 조세 및 기금 납부액 증가, 국가 및 지역 재정 기여 확대</div></strong>2024년 사행산업 사업체에 대한 조세(국세, 지방세) 부과는 2조108억 원으로 2023년 대비 2.6% 증가했으며, 기금은 2023년 대비 5.6% 증가했다.<br><br>특히, 경마는 기금이 1265억 원으로 2023년(694억 원) 대비 82.3% 증가했으며, 이중 축산 발전 기금이 1188억 원으로 2023년(619억 원) 대비 91.9%로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br><br>중독예방 치유 부담금은 245.6억 원으로 2023년도(238.6억 원) 대비 3% 증가하였다. 강원랜드(21.4%), 국민체육진흥공단 경정(4.9%), 복권위원회(4.7%), 국민체육진흥공단 투표권(1.8%)은 2023년 대비 납부액이 증가했으며, 한국마사회(-12.9%), 창원레포츠파크(-9.3%), 부산시설공단(-7.6%) 등은 2023년 대비 납부액이 감소하였다.<br><br>이러한 조세 및 기금, 중독예방 치유부담금 납부는 사행산업의 건전화 발전을 통해 국가 및 지역 재정에 기여하고 도박중독예방·치유 활동의 재원을 마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br><br><strong><div style="border-top: 4px solid #ed6d01;border-bottom: 1px solid #ed6d01;font-size: 18px;padding: 10px 0;margin:30px 0;">불법 사행산업 근절 노력 강화, 특히 홀덤펍 등 신종 불법도박 집중 단속</div></strong>2024년 불법 사행산업 현장 감시활동(단속지원, 수사 의뢰, 자체 종결)은 909건으로 2023년(298건) 대비 3배로 증가했다. 특히, 불법카지노(홀덤펍 포함)에 대한 현장 감시활동이 579건으로 63.7%를 차지하고 있다.<br><br>또한, 수사 의뢰 245건 중 121건(49.4%)이 홀덤펍 관련 건으로 홀덤펍 관련 감시단속 활동이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신종 불법도박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통해 건강한 사회 환경을 조성하려는 정책적 노력을 보여주고 있다.<br><br><strong><div style="border-top: 4px solid #ed6d01;border-bottom: 1px solid #ed6d01;font-size: 18px;padding: 10px 0;margin:30px 0;">청소년 도박중독 심각성 증대, 저연령화 추세에 대한 적극적 대응 필요</div></strong>청소년 지역센터 도박중독 치유 서비스 이용자의 상담실적은 2024년 8915건으로 2023년(4042건) 대비 2배 이상(120.6%) 증가했다.<br><br>2024년 청소년 치유 서비스 이용자 중에 17세~19세가 71.8%로 가장 많으나, 최근 14세~16세의 이용자 비율이 증가 추세를 나타내어 도박 경험이 저연령화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br><br>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는 이러한 저연령화 추세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교육부, 여성가족부 등 유관 부처와의 협력을 통해 청소년 도박중독 예방 및 치유를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br><br><strong><div style="border-top: 4px solid #ed6d01;border-bottom: 1px solid #ed6d01;font-size: 18px;padding: 10px 0;margin:30px 0;">향후 계획</div></strong>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는 사행산업 관련 체계적이고 다양한 통계정보를 수집·제공하여 자체뿐만 아니라 경찰청, 교육부,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등의 정책 수립 및 실행에 적극 활용되도록 협력해 나갈 것이다.<br><br>사행산업 관련 통계와 별도로 불법도박 실태조사는 한국형사정책연구원과 한국갤럽조사연구소 공동으로 불법도박의 실태 등의 내용으로 용역을 올해 추진하고 있으며 연구 결과는 2025년 11월 중에 발표될 계획이다.<br><br>2024년도 사행산업 관련 통계 자료는 국회, 관계 기관, 관련 학회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누리집 ‘위원회 자료’에서 확인 할 수 있다.<br><br><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410/2025/07/24/0001080568_002_20250724090008878.png" alt="" /></span>[강대호 MK스포츠 기자]<br><br><!-- r_start //--><!-- r_end //--> 관련자료 이전 [유미's 픽] 국가대표 AI 선발, 오픈소스 비중·기술력·성능에 달렸다…新 모델 개발도 '관건' 07-24 다음 혼성 그룹 숙소는 어떨까? 올데이 프로젝트, ‘전참시’ 출격 07-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