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오미, 제7차 연례 ESG 보고서 발간.. 글로벌 친환경 경영 전략 작성일 07-24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7CeMpMUgh">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c76162e9b6c22534db397de3607a7b58c2546755872d2256e0da66c962dfcac" dmcf-pid="uzhdRURuA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샤오미, 제7차 연례 ESG 보고서 발간.. 글로벌"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4/fnnewsi/20250724105235711jssl.jpg" data-org-width="800" dmcf-mid="pwHja2aVo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4/fnnewsi/20250724105235711jss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샤오미, 제7차 연례 ESG 보고서 발간.. 글로벌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0ccd63c3b7cda51c3de746f9987283eabc6b40105e695cccd31694efed5f9d38" dmcf-pid="7qlJeue7jI" dmcf-ptype="general"> <br>샤오미가 제7차 연례 ESG 보고서를 내고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한 지속 가능 경영 성과와 향후 비전을 공개했다고 24일 밝혔다. </div> <p contents-hash="2aba1efbf970e34df7ed131463f1d6de5600f145bdc33a2e363f1249675dc284" dmcf-pid="zFw64541aO" dmcf-ptype="general">이번 보고서에는 △디지털 접근성 확대 △기후변화 대응 강화 △자원 순환 및 재활용 시스템 구축 등 주요 영역에서 샤오미의 실질적 결실과 전략적 방향성이 담겼다. </p> <p contents-hash="4b83e9f9d7e891269f9354553f09e7a621006fcf2b9b85fcf8eba55478ef08b8" dmcf-pid="q3rP818tos" dmcf-ptype="general">앞서 샤오미는 지난해 열린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서 핵심 기술 기반의 지속 가능 전략을 새롭게 발표했다. 이 전략은 접근성과 형평성을 갖춘 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Human x Car x Home’ 에코시스템을 통해 소비자에게 지속 가능한 스마트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한다. </p> <p contents-hash="8b2ed1d8c495972424a3b2ca1384e50c06d58e6e821c5f91b56536b9a0111c4f" dmcf-pid="B0mQ6t6FAm" dmcf-ptype="general">작년 한 해 동안 샤오미의 연구개발(R&D) 투자액은 241억 위안(약 4조6000억원)으로, 글로벌 특허 출원 수는 누적 4만2000건을 돌파했다. 전체 임직원 중 약 48.5%에 해당하는 2만1190명이 R&D 인력이며 2020년부터 2030년까지 누적 R&D 투자액은 1000억위안(약 19조원) 이상이 될 전망이다. </p> <p contents-hash="5d45784170b8d252c350832b3ceaf1f050c7fc6d0c2eff667f6f56056d17485a" dmcf-pid="bpsxPFP3cr" dmcf-ptype="general">또한 지난해부터 샤오미 스마트 공장, 샤오미 전기차 공장이 본격 가동을 시작했다. 두 공장은 산업용 인터넷과 AI 기술을 접목해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인 지속 가능 생산 체계를 실현하고 있다. </p> <p contents-hash="c173847e34f4a3905a848fb9d6e1c4f33994e2f91bc940af67f8a0d2e632feb1" dmcf-pid="KUOMQ3Q0gw" dmcf-ptype="general">샤오미는 자사 개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포함한 다양한 기술을 기반으로 샤오미 스마트 공장에 유연한 생산 설비, 자동 물류 시스템, ‘클라우드-엣지-디바이스’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를 통해 샤오미 스마트 공장의 자동화율은 업계 평균을 크게 웃도는 81%에 달한다. </p> <p contents-hash="ac5e7e7fb8291852de5c57fcd3661d243dd8cdf863fe5917d1d0f9571c0a91e7" dmcf-pid="9uIRx0xpAD" dmcf-ptype="general">샤오미는 모든 사용자가 디지털 기술의 혜택을 평등하게 누릴 수 있도록, 장애인과 고령층을 포함한 다양한 사용자층을 위한 접근성 강화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작년에는 시각·청각·지체 장애인을 위한 기능을 강화했으며 텍스트 추출, 실시간 자막, 제스처 기반 제어 기능 등을 도입했다. </p> <p contents-hash="94a69c33a624e5dc265f7e825bbfd15a40a5554e0badc8df4d9994ccb36f550a" dmcf-pid="27CeMpMUaE" dmcf-ptype="general">샤오미는 자사 운영 전반에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설정한 데 더해, 스마트폰 공급망 파트너들에게도 온실가스 감축 목표 수립 및 재생에너지 사용 계획 수립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마트폰 사업 관련 공급업체들은 2030년까지 연평균 최소 5%의 탄소 배출 저감과 25% 이상의 재생에너지 사용률을 달성해야 한다. 2050년까지는 공급망 전반에서 100% 재생에너지 사용을 목표로 하고 있다. </p> <p contents-hash="6c1556f1022eb1049acfb438f9adfccb146bf8509af61287f6503d40c7013ce9" dmcf-pid="VzhdRURuNk" dmcf-ptype="general">지난해 말 기준 샤오미는 △스마트폰 및 태블릿 13종 △웨어러블 1종 △스마트 홈 가전 4종 등 총 18개 대표 제품의 전 과정 탄소 발자국 측정을 완료했다. 이와 함께 독립 인증기관과 협력해 스마트폰 제품의 탄소 발자국 평가 체계를 구축했다. </p> <p contents-hash="1932d727f49d8949b3c32b1b25c0422c54a28dc5d1c8deb05975374cc3be1bf9" dmcf-pid="fqlJeue7Nc" dmcf-ptype="general">기후 변화 대응은 사무, 생산·제조, 물류·운송, 매장 운영, 공급망 등 전 사업 영역 전반에 걸쳐 통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지난해 샤오미는 주요 사업장에 대해 에너지 사용 효율 관리에 관한 국제 표준인 ISO 50001 에너지 경영시스템 인증을 취득했으며 연례 감시 심사도 통과했다. 또한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해 항공 운송 대신 해상 및 철도 운송을 적극 확대했으며 작년 한 해 동안 약 3378t의 탄소 배출을 감축했다.</p> <p contents-hash="ec7a808ac5a0d56969dbfe2688d32977e69301db0e7dee8ae1c1b235813716d1" dmcf-pid="4BSid7dzAA" dmcf-ptype="general">solidkjy@fnnews.com 구자윤 기자</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DGIST, 엑소좀으로 딥러닝 기반 폐암 진단 기술 개발 07-24 다음 "내가 가장 얇다"던 中 폴더블폰 실측해보니…최대 0.6㎜ '뚱뚱' 07-2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