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지구가 더 빨리 돌았다”… 하루, 24시간 보다 짧아져 작성일 07-27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PRGx2Bo9uT">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da977d6820fa5707941850414c72f2fe7ace8f8a3492c30b2495335d80b943b" dmcf-pid="QeHMVbg2p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7~8월 지구 자전 속도가 예년보다 빨라져 하루가 1밀리초 이상 짧아졌고, 이로 인해 기존에 ‘더하기’만 있던 윤초 도입 방식에 변화 가능성이 제기됐다. (사진=게티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donga/20250727090142421nawz.jpg" data-org-width="724" dmcf-mid="VYuvmE5rFH"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donga/20250727090142421naw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7~8월 지구 자전 속도가 예년보다 빨라져 하루가 1밀리초 이상 짧아졌고, 이로 인해 기존에 ‘더하기’만 있던 윤초 도입 방식에 변화 가능성이 제기됐다. (사진=게티이미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7b562bb921317b6674c65ca90e5ea0063be251da9b3cfb86853c339751d482e1" dmcf-pid="xdXRfKaV7S" dmcf-ptype="general"> <br>지구 자전 속도가 예년보다 빨라지면서 하루의 길이가 미세하게 짧아지고 있다. 이 같은 시간 변화는 위성항법시스템(GPS), 통신망, 고속 금융 거래 시스템 등 정밀한 시간 계산이 필요한 분야에 영향을 줄 수 있어 과학계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div> <div contents-hash="1c0598cf46d96bd7ec4dbbf3d08ef6e8feeea3c31d17c963b8bc5fc0e738bf5d" dmcf-pid="yHJYCm3IUl" dmcf-ptype="general"> <strong>■ 하루가 24시간보다 짧다고?<br></strong>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605a048e27e87743a05325634a44b05b36e4fc17c8f56b8877e14a4fa381284" dmcf-pid="Wm9wanSg0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게티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donga/20250727090143688fytv.jpg" data-org-width="600" dmcf-mid="fNf1ylzTz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donga/20250727090143688fyt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게티이미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e0d4eeba47a83d897e99ee96a040af0986198b8a6376989ec77b9d73a045efef" dmcf-pid="Ys2rNLva7C" dmcf-ptype="general"> <br>국제지구자전기준시스템(IERS) 등에 따르면,<strong> 올해 지구 자전이 가장 빨랐던 날</strong>은 7월 10일로, 하루가 평균보다 <strong>1.36밀리초 짧았다.</strong> </div> <p contents-hash="67b3fd72de9d8cd8faa857f38ea24a1584236caa6370d48258d028bf7a6e5558" dmcf-pid="GOVmjoTNuI" dmcf-ptype="general">이어 7월 22일은 1.34밀리초 짧은 하루가 측정돼 두 번째로 짧은 날로 기록됐다. 오는 8월 5일에도 1.25밀리초 내외로 자전 시간이 짧아질 것이라 예측됐다.</p> <p contents-hash="004bc87030592b201e495cbc4f820f9e2e0a6b018a6f32d3e02ee58b383998c9" dmcf-pid="HIfsAgyj3O" dmcf-ptype="general">지구는 평균적으로 8만 6400초(24시간)에 한 바퀴 자전하지만, 실제 자전 시간은 수 밀리초 단위로<strong> 미세하게 변동</strong>한다. 이는 세계에서 가장 정밀한 원자 시계로 측정된다.</p> <div contents-hash="3689af794e96b50029d48c929dbf7893db84ceee34b8d3694b61c3e595b07a1a" dmcf-pid="XC4OcaWAFs" dmcf-ptype="general"> <strong>■ 왜 갑자기 빨라졌을까?</strong> <br>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efd8c7f92cc023687726ac3332b576acb757db9e7084db65b39d888ecc5bd41" dmcf-pid="Zh8IkNYcUm"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게티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donga/20250727090144955lwbi.jpg" data-org-width="747" dmcf-mid="4vcPKznbU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donga/20250727090144955lwb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게티이미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bc21d1919cd55906a10f3d6146dbaaa32fb3517eb39e3f22d2115da847c68608" dmcf-pid="5l6CEjGkzr" dmcf-ptype="general"> <br>지구의 자전은 단순한 회전 운동이 아니다. 달의 중력, 지구 내부의 액체 핵, 대기와 해류의 흐름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한다. </div> <p contents-hash="ab28b61354fb4f0a34bd285781ca22a239a28e5a54f795e4299c6d767d23a870" dmcf-pid="1SPhDAHE0w" dmcf-ptype="general">하지만 올해처럼 짧은 하루가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은 기존 이론만으로 설명하기 어렵다는 게 과학자들의 판단이다.</p> <p contents-hash="a981d974ade4e2033cbf1e9425a343f7520e68fd9743683e6c18545db4030781" dmcf-pid="t7EUZY2X7D" dmcf-ptype="general">모스크바 국립대 레오니드 조토프 박사는 “지구 내부의 변화가 원인일 가능성이 높지만, 현재의 기상·해양 모델로는 이번과 같은 급격한 자전 가속을 설명할 수 없다”며 “<strong>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strong>”고 설명했다. </p> <div contents-hash="25bb9bfb506bccc7274bfc71a50d6d1f61b5fff49a89e814e159780beeb9cf82" dmcf-pid="FzDu5GVZ3E" dmcf-ptype="general"> <strong>■ 1972년 도입된 ‘윤초’, 이제는 뺄 위기<br></strong>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c9ddd20d83978132d0155a8b383871e59acfcc63472e5fc31c21478b66e6b71" dmcf-pid="3qw71Hf5u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게티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donga/20250727090146291notd.jpg" data-org-width="724" dmcf-mid="8gOb01P3F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donga/20250727090146291not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게티이미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4f4f86c30100e2cc9cf65aef1615b0850eaa8a7aa0e4222f7f879f4c43230946" dmcf-pid="0BrztX41pc" dmcf-ptype="general"> <br>지구 자전은 대부분 느려지는 쪽으로 변화해 왔다. 이에 따라 시간이 밀리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1972년부터 1초를 더하는 ‘윤초’ 개념이 도입됐다. </div> <p contents-hash="aa6b49fb462b8d5fac544a65b84ecbb11594d4c153a0af308ec7b66df2dc15f0" dmcf-pid="pbmqFZ8tuA" dmcf-ptype="general">윤초는 GPS 위성, 금융 거래, 인터넷 서버, 항공과 우주산업 등 아주 정밀한 시간이 필요한 분야에서 필수적으로 적용돼 왔다. </p> <p contents-hash="ba817e78daf7e7f558b63fcddb125f8109bedd959eddc2824374e527c66814b5" dmcf-pid="UKsB356Fuj" dmcf-ptype="general">그런데 최근 지구 자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사상 처음으로 윤초를 ‘더하는’ 것이 아니라 ‘빼는’, 마이너스 윤초가 도입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p> <div contents-hash="6947b36dc3faec90ce7e9071132c83922b42fb66f2a8ea7a4debee866349ffe2" dmcf-pid="u9Ob01P3pN" dmcf-ptype="general"> 캘리포니아대 지구물리학자 던컨 애그뉴 교수는 “지난 50년간 윤초는 늘 1초를 더해왔지만, 이제는 1초를 빼는 방향도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고 전했다. <br><strong><br>■ 기후 변화도</strong><strong> 자전에 영향 줘</strong> <br>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338075b00b615a9001b2879fe4c5ac1fbb73bc865e5f9514dcc33ac0a956448" dmcf-pid="72IKptQ0z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게티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donga/20250727090147555ejwq.jpg" data-org-width="724" dmcf-mid="671J6VA8uy"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donga/20250727090147555ejw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게티이미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49b80e6fcad14669c3408580370baad2611b985e0a6c646aa1c9e26de637e2c8" dmcf-pid="zVC9UFxpFg" dmcf-ptype="general"> <br>지구 자전 속도는 기후 변화의 영향을 받기도 한다. </div> <p contents-hash="481108c8f687999bd120dd343e5fe20222434a90a710440a71294eb60930124f" dmcf-pid="qqw71Hf57o" dmcf-ptype="general">북극과 남극의 빙하가 녹으면서 바닷물 양이 증가하고 해수면이 상승하면, <strong>지구의 무게 중심이 극지방에서 적도 쪽으로 조금씩 옮겨진다. </strong></p> <p contents-hash="e55dc15d0bb7467de918b29a47d35e6e3b7efc6db32f56609901327461e11dee" dmcf-pid="BBrztX417L" dmcf-ptype="general">무게 중심이 변하면 지구 자전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이는 피겨스케이팅 선수가 회전 중 팔을 벌리면 도는 속도가 느려지는 것과 같은 원리다.</p> <p contents-hash="e1d5685cca1b317bae1a2ab1227a58caec157c7ebb122fc2f98b7f2131c4ba3d" dmcf-pid="bbmqFZ8t3n" dmcf-ptype="general">전문가들은 “만약 빙하가 계속 녹지 않았다면, 지구가 지금보다 더 빨리 돌았을 것이며, 하루 길이는 지금보다 더 짧아졌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구는 지금 미세하게 더 빨리 돌고 있으며, 이 변화는 여전히 완벽히 설명되지 않은 미스터리다.</p> <p contents-hash="3c31860034b21378c769e3e76ec34f360fd2c8964185ecb2fe6ace7026a0f5f4" dmcf-pid="KKsB356Fzi" dmcf-ptype="general">최강주 기자 gamja822@donga.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일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신지, 가요계 군기반장? 아육대서 NS윤지 울렸다 “언니 죄송해요” (전참시) 07-27 다음 오픈AI가 찾는 인재는? "AI 전문가는 필요 없다…포커선수도 지원" 07-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