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대표 AI 개발 정예팀', 발표평가·사업비 심의로 가린다 작성일 07-27 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BJqb7iBIF">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063544a1d4592785ba79106c56ebf722a5e8535f1f8d03340ada0fbbeb9f60e" dmcf-pid="yUxpu3MUr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etimesi/20250727093547543dtqr.png" data-org-width="698" dmcf-mid="QO7vylzTw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etimesi/20250727093547543dtqr.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b5391b61ccb9906341fb225543f65704926874aa9aa46c3a6a558becea46154" dmcf-pid="WuMU70RuD1" dmcf-ptype="general">국가대표 인공지능(AI)을 개발하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사업자 후보가 10개 컨소시엄으로 압축됐다. 발표평가와 사업비 심의·조정 등 절차를 거쳐 최대 5개 정예팀을 선발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e2dd07864747787bc5e51f2ce47687046fd77bd1843c58bc95b101643c6d5433" dmcf-pid="Y7Ruzpe7m5"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서면평가를 통과한 10개 정예팀을 발표했다. 네이버클라우드와 모티프테크놀로지스,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AI연구원, 카카오, KT, 코난테크놀로지, KAIST 등이다.</p> <p contents-hash="b24f1207f0b40d616afe0737cdd8af290b8258f1725e767af4485725507e41f5" dmcf-pid="Gze7qUdzEZ" dmcf-ptype="general">앞서 총 15개 컨소시엄이 사업 참여를 신청한 가운데 서면평가를 거쳐 루닛, 바이오넥서스, 사이오닉AI, 정션메드, 파이온코퍼레이션 등 5개팀이 탈락했다. 과기정통부는 민간 전문가를 중심으로 평가위원회를 구성, 서면평가를 객관성과 공정성을 최우선으로 진행됐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4203afc4c6f11c9e6ed51be683ed8d947a316ad52a8812e483d68f9372718188" dmcf-pid="HqdzBuJqOX" dmcf-ptype="general">과기정통부는 서면평가를 통과한 10개팀 대상으로 오는 30~31일 이틀간 발표평가를 거쳐 최종 5개 정예팀을 선발한다. 8월 초까지 사업비 심의·조정 등 절차를 거쳐 정예팀을 확정, 협약 체결을 완료하는 게 목표다. 선발된 정예팀은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 데이터, 인재 등을 지원 받을 수 있다.</p> <p contents-hash="47d48a259ac13e88eeaa9548d3b226f9d5e9bfe8acf39f2b4ef09a200bcdbadc" dmcf-pid="XBJqb7iBsH" dmcf-ptype="general">발표평가는 치열하게 전개될 전망이다. SK텔레콤, KT, 모티프테크놀로지스, 코난테크놀로지 등은 컨소시엄 참여기업과 전략 등을 공개했다. 반면에 네이버클라우드, 업스테이지, NC AI, LG AI연구원, 카카오, KAIST 등 6개 컨소시엄은 구성과 사업 전략을 철저히 비밀리에 부치고 있다.</p> <p contents-hash="ca1931a19e81318a575448b22047c5f3d3379222712c32e115fe2aa8479cc0e1" dmcf-pid="ZbiBKznbrG" dmcf-ptype="general">구성과 전략을 공개한 사업자가 평가를 통과할지, 공개하지 않은 사업자가 주도권을 잡을지 관심이 쏠린다. 또 과기정통부 'GPU 임차 지원사업' 수주로 첨단 GPU 지원을 받지 못하는 SK텔레콤과 네이버클라우드의 당락 여부 또한 주목된다.</p> <p contents-hash="5df693733bfd04fa9833c118e7d84337ff332a2cd4b3ecb680a39a0ee75ef46e" dmcf-pid="5Knb9qLKwY" dmcf-ptype="general">8월 중 선발될 최대 5개팀은 연말부터 6개월 단위로 국내외 전문가의 검증과 평가를 받게 된다. 2027년까지 최대 2개팀으로 압축하는 서바이벌 평가다.</p> <p contents-hash="a9a48f62d1accbcdf5fd2da843b404b7e04c3cc37fb3398b05c5bba05933a675" dmcf-pid="19LK2Bo9mW" dmcf-ptype="general">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최근 첫 AI 현장간담회에서 “(LG AI연구원에서) AI 파운데이션 모델 도전할 때 여러 실패가 많았다”며 “실패 없는 성공은 없고 실패를 해야 성공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과기정통부가 전향적으로 실패를 용인하는 사회를 잘 만들어보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8c445ecd9e223f1f56dc4c13fbd67b25321e65ecb92c0efea49916d42add23b9" dmcf-pid="t2o9Vbg2my" dmcf-ptype="general">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서초동' 이종석, 시청자 마음 저격한 '심쿵' 포인트 07-27 다음 '신세계 家' 올데프 애니 "반대 심했던 母, 아이비리그 합격에 허락" 07-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