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고수요·미개방 데이터 활용 위해 관계부처와 협력 작성일 07-27 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bB69u3MUEB">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c1bf745dfe3b61dbb35eaeca36bf7cd6a76827d3341e70f3e572837ea4fe118" dmcf-pid="KrvOkNYcs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25일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개최한 '2025년 데이터안심구역 운영협의체' 참석자들이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etimesi/20250727093806378ibfa.png" data-org-width="700" dmcf-mid="qXCwNLvaE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etimesi/20250727093806378ibfa.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25일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개최한 '2025년 데이터안심구역 운영협의체' 참석자들이 사진촬영을 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5f98d518eae54aa8c3a9b57ad6ed1feb465008824ea2b96cf79bd8b5005fe01" dmcf-pid="9mTIEjGksz"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에서 '2025년 데이터안심구역 운영협의체'를 개최했다.</p> <p contents-hash="1742876f26be030a13e62fa8a47d550e8fccb2326e1ef475d88b24da5964e76a" dmcf-pid="2syCDAHED7" dmcf-ptype="general">데이터안심구역 협의체는 데이터안심구역 정책 추진방향 공유, 기관 간 운영 성과 교류 등을 위해 매년 개최되고 있다.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데이터 산업진흥·이용촉진에 관한 기본법'에 따라 지정된 데이터안심구역 기관 총 11개와 14개 구역이 참여한다.</p> <p contents-hash="d85bf18b06d9a96a74546df65784a97cbaa27883fc939709113c5db7196c364a" dmcf-pid="VOWhwcXDru" dmcf-ptype="general">이번 회의에서는 최근 과기정통부가 추진하는 데이터안심구역 제도 활성화 성과와 계획을 소개했다. 각 데이터안심구역 지정기관별 운영 현황과 향후 운영계획을 공유하는 등 다양한 논의도 이어졌다.</p> <p contents-hash="44cb7e8ece891b342d736f4cf18755669f619360fc6ece0d49ff63fd5134217f" dmcf-pid="fIYlrkZwrU" dmcf-ptype="general">교통카드·CCTV 등 관계 법령상 이용에 제약이 있는 원본데이터를 규제샌드박스 제도와 데이터안심구역를 연계 활용한 사례, 산업통상자원부·국토교통부와 데이터안심구역을 연계해 정부·공공기관이 보유한 공개제한 공간정보와 소재 데이터를 인공지능(AI) 개발 등에 활용한 부처 협력 성과도 공유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c148c6a2874b680b3b7a981f13bbde93d601c2c3905a1952261cf1703333c45" dmcf-pid="4CGSmE5rmp"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25년 7월 기준 데이터안심구역 지정기관 현황. 과기정통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etimesi/20250727093807733lmkb.png" data-org-width="700" dmcf-mid="B27FGTbYD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etimesi/20250727093807733lmkb.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25년 7월 기준 데이터안심구역 지정기관 현황. 과기정통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0d5942c443f3a29789a2a09215e75de3c44db9e8e43273d59347a08ac7bf459" dmcf-pid="8hHvsD1mD0" dmcf-ptype="general">또 AX(AI 전환) 확산에 제약이 있었던 데이터안심구역 접근성 개선을 위해 클라우드를 통한 연계 네트워크 인프라 구축 방안에 대해 기관 의견을 청취했다. 오는 10월 개최될 예정인 데이터안심구역 공동경진대회 추진 방안, 기관 간 상호 제공할 데이터 범위에 대해서도 논의했다.</p> <p contents-hash="52b833f91edebb6f88b48a29bab31a2dca28d18a6b1c3ca7193df5b1ee0ff327" dmcf-pid="6lXTOwtsI3" dmcf-ptype="general">김경만 과기정통부 인공지능기반정책관은 “AI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다양한 고수요·미개방 데이터가 안전한 환경에서 가치 있게 활용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 데이터안심구역이 활성화되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eaa9970673e961595a5488a1a359e5bc0a3d2abcc9865e563c8f5cf44bbce71b" dmcf-pid="PSZyIrFOOF" dmcf-ptype="general">박종진 기자 truth@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이하정, 해외여행서 시부 찾는 ♥정준호에 황당 “진짜 시부는 충청도에” 07-27 다음 ‘임신’ 서민재, 아이 친부 저격 “왜 면죄부 주어져?” 07-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