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이혼을 마주한 소녀, 감독의 단호한 태도 작성일 07-27 1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넘버링 무비 479] 영화 < 이사 ></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uFoAoTNzE"> <p contents-hash="e8515dd2cefca45f06cb13ffbe13ffcb43c981696a197decba0e62670826100a" dmcf-pid="t73gcgyjUk" dmcf-ptype="general">[조영준 기자]</p>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52f7f1d9461507c88ae4396cae6264bff55693565d80801b5f87c29fcad9bbe6" dmcf-pid="Fz0akaWAzc"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ohmynews/20250727180605702lqec.jpg" data-org-width="1200" dmcf-mid="XTKbfbg2F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ohmynews/20250727180605702lqec.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영화 <이사> 스틸컷</td> </tr> <tr> <td align="left">ⓒ 에이유앤씨</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76959bc35ea3863a2f57421ccc7f4f0bf2380df0834ce8208b06fafe67731838" dmcf-pid="3qpNENYczA" dmcf-ptype="general"> * 이 글은 영화의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div> <p contents-hash="290b04619200daf572f9c4b563d1b4bd64d8537497356059f7bc7962e31e3091" dmcf-pid="0BUjDjGkUj" dmcf-ptype="general">01.<br>"즐거운 식탁, 행복한 가정"</p> <p contents-hash="58ce346bb58e4a6a7bd1ae5d6bf2d3cd9e501c9dc3b6ccd5adae212ae782fe42" dmcf-pid="pp1nNnSgpN" dmcf-ptype="general">누구나 한 번쯤은 이사를 한다. 그것이 단순히 공간을 옮겨가는 일이 아니라 익숙한 것을 떠나 낯선 것을 받아들이는 과정이라는 것을 우리는 경험을 통해 배운다. 과거의 내가 갖고 있던 모든 것을 그대로 짊어지고 옮겨갈 수 없음을 알게 되는 것도 이때다. 이삿짐 속에 구겨넣을 수 없는 것들은 분명히 어딘가에 남는다. 그 모든 것을 등에 지고, 우리는 새로운 집으로, 새로운 시간으로, 때로는 새로운 자신으로 옮겨간다.</p> <p contents-hash="aa266342c8474e478bf11ca4cf7754842d29f3291017fbf6a107847d0b811401" dmcf-pid="UUtLjLvaFa" dmcf-ptype="general">소마이 신지 감독의 영화 <이사>는 제목 그대로 이사에 관한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단순한 주거의 변화는 아니다. 한 아이의 세계가 조금씩 해체되고 다시 조용히 재조립되는 과정에 가깝다. 이 영화는 6학년 소녀 렌(타바타 토모코 분)의 시선을 통해, 부모의 이혼이라는 일상적인 비극을 견디는 감정의 갈래를 섬세하게 펼쳐 보인다. 이혼이라는 단어는 어른들에겐 현실의 결단일 수 있지만, 아이에겐 설명되지 않는 감정의 소용돌이다. 렌은 질문하지도 화내지도 않는다. '있는 그대로의 변화'를 겪어낼 뿐이다. 마주하고 있는 사실에 대해 직접 말하거나 슬퍼하지 않는 태도로.</p> <p contents-hash="4ca197e63da4bd7a1e6c65f99fc3cf9294e4fc4f2d7db2b9cb6d4cfa54c0d8d3" dmcf-pid="uuFoAoTNFg" dmcf-ptype="general">오프닝 시퀀스에서부터 영화는 앞으로의 시간동안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이야기의 형태에 대해 모두 드러내고 있다. 서로 말도 섞지 않으며 딸을 통해서만 최소한의 소통을 주고받는 부모. 이미 결정된 이혼과 별거의 이유를 조금이라도 더 찾으려는 듯한 냉담한 사이에서 홀로 고군분투하는 딸 렌의 모습을 통해서다. 실낱 같은 가능성이나마 이어보려는 듯 애써 밝은 모습으로 홀로 서 있는 아이. 하지만 곧 이어지는 방 안의 장면에서 그는 실망스럽고 속상한 마음을 끝내 감추지 못한다. 가족이 함께인 순간의 따뜻한 온도와 혼자인 공간에서의 차갑고 어두운 색감은 그런 소녀의 심리를 그대로 옮겨낸 미장센이라고 볼 수 있다.</p> <p contents-hash="85dfa10e30086ce2f383cf50005cff711957940d55c016d5297cef8400c4c77a" dmcf-pid="773gcgyj0o" dmcf-ptype="general">02.<br>영화 <이사>는 가족 해체의 전형적 서사 구조를 따르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소마이 신지 감독은 단 한 순간도 '가족의 해체'라는 사건 자체와 결과에 머물고자 하지 않는다. 부모의 별거와 이혼을 감정적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에 놓여있는 렌의 모습을 따르는 일에 집중하며 카메라를 그 자리로 밀어 넣는다. 그 결과, 중심인물인 렌은 단순히 상처받는 아이로만 그려지지 않는다. 그는 자신에게 주어진 감정을 외면하지 않지만 쉽게 표출하지도 않는다. 놓을 수 없는 대상을 향해 내달리는 행위 속에 그의 진짜 감정이 침잠되어 있다.</p> <div contents-hash="5cedaa629deb13a4ce767824123cfff72e2c580f0912aa267beb5c28757f7499" dmcf-pid="zz0akaWAuL" dmcf-ptype="general"> 이렇게 한 인물이 가진 상반된 감정을 분리할 수 있는데는 인물로부터 일정 거리를 두고 유지되는 시선이 유효하다. 때로는 지나치게 멀도록, 또 얕고 가깝게 대상을 포착하는 카메라의 포커싱은 인물의 감정을 설명하는 대신 그 감정이 지나는 물리적 공간을 드러내는데 조금 더 힘을 쏟는다. 특히 렌이 마치 내면의 슬픔을 몸 바깥으로 밀어내고자 하는 듯이 달리는 몇 번의 테이크에서는 초여름의 가로수길과 좁은 골목, 오래된 강변 등의 장면이 감정을 '아직' 튀어나오지 못하도록 억누르고 있는 듯하다. 감정이 공간으로 전이되는 동안, 공간은 다시 인물을 감싸고 옥죄고, 그런 인물 속에 응축된 감정적 에너지가 끝내 관객에게 전달되고 마는 것이다. 물론 여기에는 '성장'의 메타포가 아닌 '해소되지 못한 감정'이 놓인다.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cb58be3fa13089e39179be2131aefd45dd9257b2f23611fdda80fc8a8edf6f3f" dmcf-pid="qqpNENYc3n"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ohmynews/20250727180607034spse.jpg" data-org-width="1200" dmcf-mid="Z6oLjLva7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ohmynews/20250727180607034spse.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영화 <이사> 스틸컷</td> </tr> <tr> <td align="left">ⓒ 에이유앤씨</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442013730f756846b50a0c40b08732176efa9f461625ccee08f12c3377186a70" dmcf-pid="BBUjDjGkpi" dmcf-ptype="general"> 03. <br>"우리 집은 이혼 안 했어. 그냥 따로 사는 거야." </div> <p contents-hash="8106d77afe1823c0db949b512f17f1ddda0b008f9393eb8fdd3a84b0ae9fbc29" dmcf-pid="bbuAwAHEuJ" dmcf-ptype="general">초반부를 통해 명백하게 나뉜 두 레이어, 렌의 외부적 감정과 내부적 감정의 충돌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소마이 신지 감독의 의지는 이 작품 속에서 자주 발견할 수 있다. 이 감정적 불일치는 극 내부의 움직임을 이끌어내는 동원(動源)이 된다. 흥미로운 것은 감독이 이 힘을 렌이 마주할 수 있는 몇 가지 상황과 의지 – 가족의 해체를 명문화 하는 대상에 대한 방해, 점점 지워져 가는 존재에 대한 몸부림, 그리고 행복한 가정에 대한 미련 등에 분배하고 있다는 점이다. 부모의 결정으로 인해 현재 일어난 상황 자체는 어쩔 수 없지만, 그 안에서 나름대로의 자구책을 마련하는 과정에 해당한다.</p> <p contents-hash="152ce4653449e9ac90259fcfc8464401ca83a93adea89cc87e37b15fda685ebc" dmcf-pid="KM8hyh7vud" dmcf-ptype="general">어떻게 보면, 렌으로 하여금 그런 행동을 갖게 만드는 대상은 아빠 켄이치(나카이 키이치 분)다. 그는 무능하거나 무책임하지 않다. 되려 정직하고, 미안함을 느낄 줄 알며, 누구보다 딸 렌을 사랑한다. 별거 이후 엄마인 나즈나(사쿠라다 준코 분)조차 '이제 아빠처럼 놀아주겠다'고 선언할 정도다. 하지만 렌의 세상에서 그는 점점 잊혀져 간다. 같은 공간을 공유할 수 없다는 사실, 이는 함께할 수 있는 시간과 추억의 접점 또한 줄어든다는 의미가 된다. 더 이상 가족 안에 존재할 수 없는 존재에게 다가가고자 하는 마음은 자신의 의지와 무관하게 서늘한 거리감이 되어 돌아온다.</p> <p contents-hash="881b5b87deb59535640202702798ac3d896ed771acff0e8c7892793974c6e1fe" dmcf-pid="9R6lWlzTUe" dmcf-ptype="general">04.<br>영화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극 중 인물 가운데 어떤 누구도 렌에게 먼저 직접적으로 다가가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아빠와 엄마, 그리고 친구까지. 그는 모두에게 둘러싸여 있는 것 같지만, 영화의 처음에서 그랬던 것처럼 언제나 먼저 관계의 호흡을 트는 것은 렌이다. 심지어 그조차도 망가뜨리지 않으려는 듯 지나치게 밝고 명랑한 모습이다. 일상 속 자신의 질서를 스스로 깨뜨리기 시작하는 장면들이 깊이 각인되는 이유다. 친구들과 말다툼을 하고, 화장실의 문을 걸어 잠그고 부모와 대치하고, 심지어 과학실 알코올 램프로 불까지 지르는 모습은 그동안 쌓여왔던 감정이 폭발하는 것과 같다. 단순한 반항이 아니다. 아직 언어로 형상화할 수 없는, 정확히 포착할 수 없는 거대한 슬픔과 무력함이 몸을 통해 비집고 나오는 것이다. 감정이라고 언제까지나 마음 속에서 머물 수 없다. 특히나 이렇게 작고 여린 몸이라면 더욱 더.</p> <div contents-hash="47f54367ed8f6a4a342ae0a7485dc7f5cfd767c8f154540e31c9102ba58609e0" dmcf-pid="2ePSYSqyuR" dmcf-ptype="general"> 정반대의 순간도 있다. 영화의 후반부에 놓이는 세 사람의 여행, 비와 호수에서의 시간이다. 표면적으로나마 평온함을 되찾는듯 느껴지는 이들의 모습은 그동안 우리가 만나왔던 유사 장르 속 화해와 회복의 메시지를 떠올리게 한다. 하지만 영화는 그 평화가 순간에 지나지 않는다며 단호한 태도를 취한다. 거짓도 아니다. 앞서 터져나왔던 렌의 감정처럼 이 또한 그저 지나가는 하나의 순간에 지나지 않는다고 말하는 듯한 태도다. 그 대신, 과거 가족의 모습을 환영과도 같이 마주하게 만듦으로써 이제는 되돌릴 수 없는 시간을 받아들이도록 유도한다. 없었던 일로 되돌리기 위해 외면하고, 깊은 감정을 공유하지 않으려했던 모습에서 벗어나, 받아들이고 내 안에 머무르게 하는 방식을 통해서다. </div> <table align="center" border="0" cellpadding="0" cellspacing="0" contents-hash="15b97661c8445d61ddc54c0ab8c10cc0c0bac259586d769fb97eb24784216e37" dmcf-pid="VdQvGvBWpM" dmcf-ptype="general"> <tbody> <tr> <td>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7/ohmynews/20250727180608412fdfs.jpg" data-org-width="1200" dmcf-mid="5VbwIwts0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7/ohmynews/20250727180608412fdfs.jpg" width="658"></p> </figure> </td> </tr> <tr> <td align="left"> <strong>▲ </strong> 영화 <이사> 스틸컷</td> </tr> <tr> <td align="left">ⓒ 에이유앤씨</td> </tr> </tbody> </table> <div contents-hash="321499850393da814cb210e76285223a1b02fe3b8db36969d278666c54d9cec5" dmcf-pid="fJxTHTbY3x" dmcf-ptype="general"> 05. <br>"나는 아빠랑 엄마가 싸워도 참았어. 그런데 아빠랑 엄마는 왜 못 참아?" </div> <p contents-hash="13d905a12e271b936c3947878e1a8c51e3a52a6026f0191fe276a77d683742cb" dmcf-pid="4iMyXyKGpQ" dmcf-ptype="general">영화 <이사> 속에는 렌을 비롯해 이혼 가정에서 자라고 있는 여러 아이들의 모습이 그려진다. 90년대 초반 버블 경제가 붕괴한 이후, 불안정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가정의 해체가 사회적인 화두로 떠오르던 시기의 모습이 담겨 있는 것이다. 전통적 가부장제의 해체, 핵가족의 파편화, 도시화와 주거 변화 등은 영화 속 배경이자 정서의 기저로 자리한다. 전통적 의미의 가장이 가정으로부터 멀어지고, 그 가장의 자리를 대신하게 된 존재는 아이와 함께 현실적인 결정을 내려야 하는 모습. 그런 상황 속에서 이 영화 속 렌과 같은 아이들이 누구에게도 그 감정을 설명받지 못한 채, 홀로 감내하게 되는 것이다.</p> <p contents-hash="b86ea77d5bf5b632db5f4d3d83f8284e814036383a5b5457a9755c90d403aaf0" dmcf-pid="8nRWZW9HzP" dmcf-ptype="general">이렇게 보자면, 렌이 경험하게 되는 일련의 상황과 감정들은 단순히 개인적 경험에 머무는 것이 아니라 사회 구조의 변화 속에서 집단 전체가 경험하게 되는 일종의 사회적 트라우마에 가깝게도 느껴진다. 그렇기에 영화 <이사>는 한 소녀의 이야기이자, 한 시대의 정서적 기록에 가깝다. 한 인간이 겪는 상실의 이야기이자 그 감정을 받아들이는 법을 강요당하는 시대의 초상인 것이다. 이 성장에는 어떤 훈계도, 위로도 무의미하다. 잘못 시작된대로 오직 시간이 흐르고, 한참의 바람이 지나가길 기다리게 될 뿐이다. 그렇게 한 아이는 다음 시기로 자리를 옮기고, 그 이삿짐 속에는 공간만이 아니라 마음도, 기억도, 삶의 질감까지 담기게 된다.</p> <p contents-hash="81f50d29c313e582b50aa2f58e014dde35d8f8f491f701c063b23bd69b097b79" dmcf-pid="6LeY5Y2XF6" dmcf-ptype="general">결국 영화 <이사>는 상실에 대한 영화다. 그러나 그것은 '누군가를 잃는 것'이 아니라, '잃음을 자각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에 대한 이야기다. 감정은 빠르게 해결되지 않고, 치유는 갑자기 일어나지 않는다. 긴긴 장마가 언젠가 끝나듯이, 불어온 바람 또한 지나가겠지만 감정은 남는다. 그 감정은 사라지지 않고 삶 속 어딘가에 조용히 놓일테다. 소마이 신지 감독은 가족의 재구성이나 화해라는 전형적 결말을 거부하고, 감정을 껴안는 '시간'을 선택한다. 어떤 감정은 설명될 수 없고, 어떤 이별은 이해되지 않은 채로 계속 살아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영화가 끝나더라도 그 감정의 진폭이 여전히 우리 안에 머무는 이유다. 잊을 수 없는 어느 해의 유난스러웠던 계절처럼.</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오마이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정석원, “짝다리 짚지 말고 차렷”…♥백지영 군기일화에 녹화장 술렁 07-27 다음 전현무, 3000평 개 유치원 영업 종료…알레르기 딛고 뭉클 헌신 (개호강)[종합] 07-2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