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슬라 잡은 삼성전자, '2나노 생산기지' 美 테일러 팹 구축 앞당겨 작성일 07-28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양산 라인 투자, 내년 초서 올 연말로…테슬라 등 대형 고객사 확보 준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zlvHOtQ0gM"> <p contents-hash="1448cddf47452df2f8eacfb0db32db145906eec6a9ac6acab3dcd15620492a8b" dmcf-pid="qSTXIFxpox"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장경윤 기자)삼성전자가 미국 테일러시에 건설 중인 신규 파운드리 팹의 양산라인 구축 속도를 앞당긴다. 당초 내년 초 투자가 예정됐으나, 최근 이를 올 연말에 집행하기 위한 준비에 나선 것으로 파악됐다.</p> <p contents-hash="98ac8af5011cc12324afa5281db80ef04c2e11f6161be8047bbfd5d1f6d4551b" dmcf-pid="BvyZC3MUjQ" dmcf-ptype="general"><span>그동안 삼성전자는 글로벌 빅테크 고객확보 난항으로 미국 내 설비투자 계획을 지속 미뤄왔다. 그러나 오늘(28일) </span><span>테슬라가 삼성전자와 22조원 규모의 최첨단 자율주행 칩 제조 의뢰를 공식화하면서, 삼성 파운드리도 반등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게 됐다는 평가가 나온다.</span></p> <p contents-hash="2a78aebb408cb7be0227051b30f25d7348dae0cf9b5edf9f495d6afe59e0ab3f" dmcf-pid="bTW5h0RugP" dmcf-ptype="general"><span>28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미국 테일러 파운드리 팹에 대한 양산설비 투자를 연내 집행할 계획이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0ee4dd6e5f7e4daeef86fb49bd1aeedabf88a39c0f84e935875406760bff4ec" dmcf-pid="KyY1lpe7A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건설 중인 삼성전자 테일러 신규 파운드리 팹 전경(사진=삼성전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8/ZDNetKorea/20250728140900205yygb.jpg" data-org-width="560" dmcf-mid="uRHFvuJqj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8/ZDNetKorea/20250728140900205yyg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건설 중인 삼성전자 테일러 신규 파운드리 팹 전경(사진=삼성전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36845a1e0c3c54f85be537a3884bcd5190ef5405df8c14e05d6dcc474db3ff7" dmcf-pid="9WGtSUdzo8" dmcf-ptype="general"><strong>테일러 팹 양산라인 투자, 올 연말로 앞당겨…대응 분주</strong></p> <p contents-hash="cba8c851268a38d792f0d7525a7f00e8f81cbd82519861f27d683c1111787d34" dmcf-pid="2YHFvuJqa4" dmcf-ptype="general"><span>삼성전자 테일러 파운드리 팹은 지난 2021년 투자가 결정된 신규 공장이다. </span><span>반도체 </span><span>업계 </span><span>최첨단 </span><span>공정인 </span><span>2나노미터(nm)를 </span><span>주력으로 </span><span>양산할 </span><span>계획이다. </span><span>다만 </span><span>2나노 </span><span>고객사가 </span><span>확보되지 </span><span>않은 </span><span>상황에서 </span><span>선제적 </span><span>투자를 </span><span>진행할 </span><span>경우 </span><span>막대한 </span><span>손실이 </span><span>발생할 </span><span>수 </span><span>있어, </span><span>본격적인 </span><span>양산라인 </span><span>구축 </span><span>시기가 </span><span>지속 </span><span>연기돼 </span><span>왔다.</span></p> <p contents-hash="2b455efa7b9241274cd1c6509917916022f2f97553533d121cf8300b711ffd3f" dmcf-pid="VGX3T7iBcf" dmcf-ptype="general"><span>분위기가 바뀐 것은 올해 중반부터다. 삼성전자는 올 2분기부터 테일러 팹의 클린룸 마감 공사를 재개했다. </span><span>클린룸은 제조 라인 내 오염도·습도 등을 조절하는 인프라 시설로, 클린룸이 구축된 뒤에야 각종 부대 설비 및 제조설비를 도입할 수 있다.</span></p> <p contents-hash="cac63290a768f8d5122656836fd06827ec62c59b3a254c0f454196bfb96fda81" dmcf-pid="fHZ0yznbkV" dmcf-ptype="general"><span>당초 클린룸 구축 마감 시점은 올 연말로 예정돼 있었다</span><span>. 때문에 </span><span>업계는 </span><span>삼성전자가 이르면 내년 1~2월부터 곧바로 양산라인을 구축하기 위한 투자를 집행할 것으로 전망해 왔다.</span></p> <p contents-hash="7ba63f3b6b25ce999acedcc4520fb6f381b21b54c773bedf226b0495f48a07ed" dmcf-pid="4b967ROJj2" dmcf-ptype="general"><span>그러나 최근 삼성전자는 계획을 또 다시 변경해, 테일러 팹의 설비투자를 최대한 앞당기기로 한 것으로 파악됐다. 클린룸 마감 시점을 4분기 초로 앞당기고, 곧바로 연말께 설비투자를 진행하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이 경우 이르면 내년 하반기부터 양산 대응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span></p> <p contents-hash="e6a29e70002101abdc08a9082a5d36192c9f3e7374a14330e3da485627a90f0e" dmcf-pid="8K2PzeIik9" dmcf-ptype="general"><span>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당초 수립했던 계획보다 테일러 파운드리 팹 투자를 앞당기기 위해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며 "관련 협력사들도 미국 내 설비 반입을 위한 인증을 사전에 받아야 하기 때문에, 이미 대응을 시작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span></p> <p contents-hash="ed74d5421f047b5b04b51b1dea77de06e9888d4c1c73fd993875b2f021d42878" dmcf-pid="69VQqdCnoK" dmcf-ptype="general"><span>초도 양산인 만큼 확정된 투자 규모는 월 1만장 이하로 아직 적은 수준이다. 다만 내년 고객사 수주 상황에 따라 투자가 확대될 가능성도 남아있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ecedd0eda0a8e2a276bdd35ffb845e41f44768832a0d309e7d9952d3fd51188" dmcf-pid="P2fxBJhLNb"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자사 AI6칩의 생산을 삼성전자에 위탁했다고 X를 통해 밝혔다(사진=X 갈무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8/ZDNetKorea/20250728140901565othf.png" data-org-width="640" dmcf-mid="7BRL8jGko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8/ZDNetKorea/20250728140901565othf.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자사 AI6칩의 생산을 삼성전자에 위탁했다고 X를 통해 밝혔다(사진=X 갈무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1ff404d2ca98adc7852a7679008660e4f5fb0279649be307d258ba628644d35" dmcf-pid="QV4MbilokB" dmcf-ptype="general"><strong>테슬라 2나노 'AI6' 칩 23조원 사업 수주 확보…파운드리 반등 기대감</strong></p> <p contents-hash="79d50806b5db68f1e4e0c553004fc640f9d7f15474ad31c3504f7fb14cec3159" dmcf-pid="xf8RKnSgjq" dmcf-ptype="general"><span>삼성전자가 이처럼 테일러 파운드리 팹 투자를 서두르는 이유는 초미세 공정에서 글로벅 빅테크 고객사 확보에 유리한 입지를 점하기 위해서다. 빅테크 기업들이 대거 위치한 미국은 현재 자국 내 공급망 강화를 위한 각종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이에 미국 기업들은 자사 반도체를 미국에서 생산하는 것을 선호하는 추세다.</span></p> <p contents-hash="b36c4f92c6d76979840f542db5efe6fd964a0929bea079120bc5a920d692bca3" dmcf-pid="yClYm56Faz" dmcf-ptype="general"><span>실제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이날(28일) X(구 트위터)에 "삼성전자의 신규 팹은 차세대 'AI6' 칩 생산에 전념할 예정"이라며 "삼성전자는 테슬라가 제조 효율 극대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허용했고, 제가 직접 현장을 방문해 진행 속도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밝혔다.</span></p> <p contents-hash="892e5b98770ed33546c692adbe21d1fc695e293b08feecc8db1e945a381772b9" dmcf-pid="WhSGs1P3k7" dmcf-ptype="general"><span>이는 삼성전자가 같은 날 올린 반도체 위탁생산 공급계약 체결 공시에 대한 설명이다. </span></p> <p contents-hash="0c36b3efb1dd6aa2537af460ad7e74fa4b3abfa081c4c99908ea865a2a69dd30" dmcf-pid="YlvHOtQ0ku" dmcf-ptype="general"><span>삼성전자는 이날 "글로벌 대형기업과 이달부터 2033년 말까지 22조7천600억원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span><span>일론 머스크 CEO는 이에 대해 </span><span>"규모는 </span><span>더 </span><span>커질 </span><span>수 있다(</span><span>Likely much more than </span><span>that)"고 </span><span>언급하기도 </span><span>했다.</span></p> <p contents-hash="50b7d66de970e393012b0514d1dbcc5a83f684e2bb997f9c31fc6fc93e519c1d" dmcf-pid="GSTXIFxpgU" dmcf-ptype="general"><span>AI6는 테슬라의 차세대 FSD(Full Self-Driving)용 반도체로, 2나노 공정을 채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전 세대인 AI5는 TSMC의 3나노 공정을 사용한다. 현재 테슬라는 FSD 외에도 '도조(Dojo)' 등 슈퍼컴퓨팅용 칩을 개발하고 있어, 삼성전자와의 협력을 확대할 가능성도 점쳐진다.</span></p> <p contents-hash="e900b2331aea62d707f6dd115669fd50cd9c3035fcb841820392eaa4034a3089" dmcf-pid="HvyZC3MUjp" dmcf-ptype="general">장경윤 기자(jkyoo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세계 특화망 시장, AI 시대 맞아 2030년 8.2조원 규모로 성장 07-28 다음 IBS-막스플랑크, 나노의학 연구 '맞손'...최장 10년 지원 07-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