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통법 폐지 첫 주, 번호이동 9만5000명…SKT는 순감 작성일 07-28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w3Btfc6C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8c3908f5ab64dc2568e25ac7daf6fa7f51282be7b3242ffb4c0617cc21fd1fa" dmcf-pid="tr0bF4kPh6"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2일 단통법 폐지 당일 서울 시내 휴대전화 판매점 모습. 연합뉴스"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8/dt/20250728162407216jqfo.png" data-org-width="500" dmcf-mid="5FNrgh7vv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8/dt/20250728162407216jqfo.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2일 단통법 폐지 당일 서울 시내 휴대전화 판매점 모습. 연합뉴스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0e020b833aa78105baa537ed9dbe29799b8cf6aff869d9932d9da6225b6d541" dmcf-pid="FmpK38EQy8" dmcf-ptype="general"><br> ‘이동통신 단말장치 유통구조 개선에 관한 법률’(단통법) 폐지 이후 5일 동안 9만5000여명이 번호이동한 것으로 확인됐다.<br><br> 2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22일부터 26일까지 발생한 번호이동 수는 9만5233건이었으며 단통법 폐지 당일 가장 많은 번호이동 수를 기록했다. 날짜별로는 △22일 3만5131명 △23일 1만9388명 △24일 1만3496명 △25일 1만3142명 △26일 1만4076명 등으로 나타났다. 22일의 경우 전날 대비 3배 이상 급증했다. 삼성전자의 신규 모델인 ‘갤럭시 Z 폴드·플립 7’ 정식 출시날인 25일에는 번호이동 수가 크게 늘어나지 않았다.<br><br> 통신사별로 살펴보면 SK텔레콤의 가입자 수는 322명 순감했다. 이는 SKT에서 KT와 LG유플러스로 이동한 인원 수가 4만661명인데, 이보다 적은 인원이 SKT로 유입된 영향이다. KT는 522명, LG유플러스는 70명 순증한 것으로 확인됐다. SKT는 지난 4월 초 해킹 사태 여파로 닷새간 3만9000건의 번호이동을 기록했던 것과 비교하면 가입자 이탈이 이어지고 있지만, 최근 이탈세가 진정되는 분위기이다.<br><br> 다만 단통법 폐지 이후 통신3사가 시장에 신중하게 접근하며 추가지원금을 대폭 상향하지 않았지만, 향후 보조금 경쟁이 본격화될 시 번호이동 규모가 더욱 늘어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br><br> 김영욱 기자 wook95@d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시험관 5번 실패 딛고…양현민 아빠 된다 07-28 다음 '프듀 조작 피해' 김국헌, '보플2' 저격… "간절함 이용 말라" 07-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