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교 선수, 체육 최저학력제 폐지·개선 84.5% 응답…지도자는 81% 작성일 07-28 20 목록 <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003/2025/07/28/NISI20250728_0001904953_web_20250728183017_20250728183317312.jpg" alt="" /><em class="img_desc">[서울=뉴시스] 학생 선수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한 유승민 대한체육회장(가운데)과 대한민국 운동선수 학부모연대. 2025.07.28.. (사진=대한체육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em></span>[서울=뉴시스]박윤서 기자 = 대한체육회는 지난 25일 서울 송파구 올림픽회관에서 대한민국 운동선수 학부모연대와 간담회를 열고 학생 선수 지원 방안에 대해 논의했다고 28일 밝혔다.<br><br>이날 간담회에서는 지난 5월24일부터 6월25일까지 진행한 초·중·고 학생 선수와 학부모, 지도자 등 4192명이 참가한 학생 선수 지원 방안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br><br>초등학생 61.5%, 중학생 81.7%, 고등학생 84.5%, 학부모 76.1%, 지도자 81.3%가 최저학력제와 관련해 ‘폐지 또는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br><br>일부 응답자는 성적 기준 완화, 교과목 다양화, 학교별 상황을 고려한 평가 방식 등의 개선 방안을 제시했고, 학습 지원을 위한 보충수업, 개별 맞춤형 수업 운영의 필요성도 강조했다.<br><br>합숙 훈련의 법적 제한에 대해서도 초등학생 62.1%, 중학생 71.8%, 고등학생 74.4%, 학부모 74.7%, 지도자 82.9%가 전반적으로 ‘폐지 또는 개선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br><br>학생 선수 맞춤형 교육과정 도입에 대해서는 초등학생 74.0%, 중학생 84.3%, 고등학생 80.7%, 학부모 93.8%, 지도자 91.2%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br><br>유승민 대한체육회장은 "지금처럼 제도와 인식이 지속된다면, 5~10년 안에 프로 종목이 무너질 수 있다"며 최저학력제에 관해 "운동 선수만 학습 기준의 잣대를 별도로 적용받는 것은 제도적 역차별이다. 학생 선수들이 훈련 시간 부족으로 사교육에 의존하거나 기회를 잃는 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br><br>대한체육회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확인한 현장 목소리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 선수가 학업과 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이어가겠다고 밝혔다.<br><br> 관련자료 이전 대한체육회, 싱가포르 세계수영선수권 무대로 본격 스포츠 외교 07-28 다음 ‘이런 새 가슴이’...3번의 매치포인트 못살리고 우승 놓친 다비도비치 포키나 ‘눈물 펑펑 07-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