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국방 진출 노리는 팔란티어…“韓 국방 미래는 글로벌 기술 도입” 작성일 07-28 9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SXoATbYEl">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989e4fc924288448706ba4ce4b2915ec7e1dc5424947e9139fe3ff28e45e45b" dmcf-pid="HvZgcyKGO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전유광 팔란티어코리아 국방·공공사업부문장(부사장)이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AWC : AI for Defense'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인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8/etimesi/20250728184205258feeu.jpg" data-org-width="700" dmcf-mid="YHVSYqLKm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8/etimesi/20250728184205258feeu.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전유광 팔란티어코리아 국방·공공사업부문장(부사장)이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AWC : AI for Defense' 세미나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인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8576c0a237c0b4461e1cdb934b532a8e3521ffd64386fa1c5da9c7c3a4b1565a" dmcf-pid="XT5akW9HwC" dmcf-ptype="general">“국방부에서 15년 후 구현될 기술은 이미 팔란티어에서 개발했습니다. 글로벌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이 우리 국방의 미래입니다.”</p> <p contents-hash="480fa5d6680b33ad397eb4423e3815f996dcc8c4f96074b1f6f5e3fb3091b0b5" dmcf-pid="ZNrVPAHErI" dmcf-ptype="general">전유광 팔란티어코리아 국방·공공사업부문장(부사장)은 2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AWC : AI for Defense' 세미나 기조연설에서 이같이 강조했다.</p> <p contents-hash="a7289d85753647432c07dbc46af029cd27be0b672ba80e131e3b1553ffde064d" dmcf-pid="5jmfQcXDIO" dmcf-ptype="general">전 부사장은 “3~5년 뒤 AI 기술은 상상하지 못할 수준으로 발전할 것”이라면서 “우리 국방 AI 발전을 위해 추진하는 한국군 지휘통제체계(KCCS)를 완성하는 데는 12~15년이 걸린다”고 주장했다.</p> <p contents-hash="c5ee26cfe85ac71a9fee6d130ccaf91e363b206c2990e8ee066f30abda07ec1b" dmcf-pid="1As4xkZwms" dmcf-ptype="general">그는 이어 “최근 소버린(주권)이 강조되는데, 자생력을 구비하기 전엔 글로벌 기술을 도입해 국제 공동 연구 사업 등을 활성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23ab1403ea89e338e590603821760620ab2c3c7338a78d9b2a52807e493dea6a" dmcf-pid="tcO8ME5rrm" dmcf-ptype="general">팔란티어테크놀로지스는 AI 기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SW) 기업이다. AI 플랫폼을 미 국방부에 제공하고, 미 중앙정보국(CIA)과 연방수사국(FBI) 등 정보기관과도 협력하고 있다.</p> <p contents-hash="664d56bdabf76c5a504f26eaa0f50eacb177f0f0bdbf97a38375c1e46cb806d9" dmcf-pid="FkI6RD1mEr" dmcf-ptype="general">미국, 우크라이나 등 해외 국방·공공·민간 분야에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다.</p> <p contents-hash="059eacdf6d50d6f79a3d7f50a9c4e26899e0706eab9c79f6774f291a8e1e88dd" dmcf-pid="3ECPewtsEw" dmcf-ptype="general">구체적으로 △모든 유형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연결·통합하는 '파운드리' △여러 데이터베이스를 통합해 가시화하는 '고담' △AI 기반 의사결정 지원 플랫폼 'AIP' 등 세 가지가 핵심이다.</p> <p contents-hash="aa74a0fd50c1e41a73bdfb187d990d4e613777b4c537b1dd421082af3d591c36" dmcf-pid="0DhQdrFOID" dmcf-ptype="general">지난 2022년 서울에 한국 지사를 설립하며 한국에 본격 진출했다. 팔란티어 서울 오피스에는 30명의 엔지니어를 포함한 35명의 직원이 근무 중이다.</p> <p contents-hash="d254b03a420c545cf8c4f53188eb199a8d1fb2cc76f4b27df2f0308c1498b681" dmcf-pid="pwlxJm3IDE" dmcf-ptype="general">전 부사장은 한국 국방도 첨단 AI 도입에 속도를 낼 필요가 있음을 주장했다.</p> <p contents-hash="8f1446eb91d13ac097dc742ce8488141197779a1f2433f5af7d09cbdd013cab5" dmcf-pid="UrSMis0CDk" dmcf-ptype="general">그는 “미국이 (국방 AI 분야에서) 한국보다 앞섰지만, 한국 역시 늦더라도 첨단 AI 기술 도입하는 방식으로 따라갈 수 있다”며 “독자적으로 국방 AI 기술을 새로 개발하려고 노력을 비롯해 여러 상황을 고려하면 좋겠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70e42411e9f5ac770adaae6aa0955217bbd5edd0682a1c73e33e5fe0bfa23ea2" dmcf-pid="umvRnOphmc" dmcf-ptype="general">현대인 기자 modernman@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네카오·NHN, 추경 1.5조로 GPU 1.3만장 확보한다 07-28 다음 ‘위믹스 로비설’ 갈등 격화… “허위 주장 판결 통해 확인” vs “코인 자본의 학문 탄압” 07-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