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질환 치료' 나노로봇 만드는 막스플랑크-연세 IBS 센터 개소 작성일 07-28 3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v01ItQ0Rf">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9683044cadbc0ce3b3f420c18a97a382ac298fcf67691c9d2f79641b5b0c607" dmcf-pid="zTptCFxpJ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8일(월) 연세대 IBS관에서 열린 ‘막스플랑크-연세 IBS 센터 개소식’에서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8/dongascience/20250728194752407cvkz.jpg" data-org-width="680" dmcf-mid="uowcxkZwM4"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8/dongascience/20250728194752407cvk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8일(월) 연세대 IBS관에서 열린 ‘막스플랑크-연세 IBS 센터 개소식’에서 주요 참석자들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529ce011b53f2c6f9f92a99ac966b4a37dc6f98bea0c73c67d1540b68b41fc3" dmcf-pid="qyUFh3MUM2" dmcf-ptype="general">한국과 독일 과학자들이 뇌질환·암을 치료할 수 있는 나노 로봇을 함께 만들기 위한 공동 연구센터가 연세대에 마련됐다.</p> <p contents-hash="d1dc8586564c284d50686b17cfd5a63508c4c9e5abc3e7de66cbfd065b99890e" dmcf-pid="BWu3l0Rud9" dmcf-ptype="general">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는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서울 연세대 IBS관에서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회(MPG)와 연세대, IBS의 공동 연구센터인 '막스플랑크-연세 IBS 나노의학 센터(Max Planck-Yonsei IBS Center for Nanomedicine Deep Tissue Control)' 개소식을 28일 개최했다고 밝혔다. </p> <p contents-hash="b669b18ed739fba41eaf0a3c567581ccd1eed7be26e1f1905c7cf7697164c2f5" dmcf-pid="bY70Spe7nK" dmcf-ptype="general">1948년 설립된 MPG는 독일의 4대 국가 연구소 중 하나이자 독립된 비영리 법인이다. 39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한 세계 선도 기초과학 연구기관이다. MPG는 실제 연구를 수행하는 막스플랑크 연구소(MPI)를 관리·운영한다. MPG는 MPI뿐 아니라 미국,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등 해외 4개국에 해외 연구소를 운영하고 11개국 18개의 인터네셔널 막스플랑크 센터를 선정하고 지원한다. </p> <p contents-hash="7ae0342817ebada96d7c500401254faaaf68bb9d53b1a2e86742601949c40e5b" dmcf-pid="KGzpvUdzMb" dmcf-ptype="general">막스플랑크-연세 IBS 나노의학 센터가 바로 인터네셔널 막스플랑크 센터 중 하나다. 일본에 이어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생기는 MPG의 인터네셔널 막스플랑크 센터다. 인터네셔널 막스플랑크 센터는 MPI가 해외 세계적 파트너와 연구 거점이 되는 센터를 설립하고 최고 수준의 연구 수행하는 기관이다. 막스플랑크-연세 IBS 나노의학 센터를 제외하면 인터네셔널 막스플랑크 센터는 미국, 영국, 캐나다, 네덜란드, 스위스, 일본 등 10개국에 18개 있다. </p> <p contents-hash="f3faa43b34c3217c000c365d28e7851f0658f3aecfc7fbad81f8e886b1f5757b" dmcf-pid="9HqUTuJqMB" dmcf-ptype="general">막스플랑크-연세 IBS 나노의학 센터는 몸속 깊은 조직(심부조직)이나 세포를 비절개, 비삽입 등 비침습적으로 정밀 제어할 수 있는 차세대 나노의학 원천기술 개발을 목표로 한다. 요아킴 스파츠 MPI 의학연구소장과 천진우 IBS 나노의학연구단장(연세대 화학과 교수)이 공동센터장을 맡는다. 페어 피셔 MPI 의학연구소 마이크로나노분자시스템 그룹 리더가 핵심 연구자로 지정됐다. MPI 의학연구소와 MPI 행동신경생물학연구소, IBS 나노의학연구단이 공동으로 센터를 운영하고 연세의료원이 임상 적용 등으로 연구에 협력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58f64fc1c08649d136128a54df939bef3e4612ff35c9e6198359216cca489ba4" dmcf-pid="2XBuy7iBJq" dmcf-ptype="general">센터의 공동연구를 위해 막스플랑크 연구회와 IBS는 각각 최대 연 50만 유로(약 8억원)를 최장 10년간 함께 지원할 계획이다. 이러한 협력 체계를 통해 나노 전달체 및 정밀 제어 기술 개발, 신경과학적 검증, 임상 적용 검토 및 질환 모델 제공 등으로 연계되는 다학제적 공동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c4b35e7486f7ac9bcb15fa1ada4177532841d41962e2397bd1a12d508f9b3a8c" dmcf-pid="VZb7WznbMz" dmcf-ptype="general">막스플랑크-연세 IBS 나노의학 센터는 자기장·초음파 등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 인공 수용체를 설계하고 심부 제어 기술을 면역·신경계에 적용해 새로운 질병 치료법을 탐색한다. 나노-뇌과학, 나노-면역학 등 미래 의학의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p> <p contents-hash="34dd22fd85ad7dc0f3df25fa4d0b79099cbb258eb0b5b6939d0bc4a7220c9e06" dmcf-pid="fzx806Dxi7" dmcf-ptype="general">이날 천 단장은 "이번 성과는 3개 연구기관이 하나의 또 다른 센터를 만들어낸 것으로 물리적으로 협업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며 "한국 연구자는 독일에, 독일 연구자는 한국에 상주하기도 하며 연구하는 새로운 공동연구 패러다임을 제시할 것이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3a98cafbe6dc8928907c0ae1d249a71f91aeb3cc4d855d56a554d5d52dc77c9f" dmcf-pid="4qM6pPwMdu" dmcf-ptype="general">윤동섭 연세대 총장은 "새로이 출범한 센터지만 최고 수준의 융복합 연구센터로 도약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 노도영 IBS 원장은 "우리 연구자들이 세계 무대에서 성장할 수 있는 연구 협력 기반을 더욱 확장하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4654372910759cb0b74f27479511516c4c93867db091b1d9059d51bd33fd3169" dmcf-pid="8BRPUQrRnU" dmcf-ptype="general">정택렬 과기정통부 공공융합정책관(연구개발실장 직무대리)은 "막스플랑크-IBS 센터 정식 출범이 기초과학 국제 협력의 선진 모델이 되길 기대 한다"며 "세계적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 양국 간의 우호 증진과 나아가 인류 공영에도 이바지하는 전기를 마련하기를 바란다"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464f9c3f61d755583f74f2fe903da58424762a183b0d968f9ad3892f5aa344c9" dmcf-pid="6beQuxmeLp" dmcf-ptype="general">막스플랑크-연세 IBS 나노의학 센터 운영비는 MPI와 IBS 양측이 각각 최대 연간 8억 원(50만 유로)씩을 최장 10년간(5+5년) 지원한다. 스파츠 소장은 "장기적인 협력을 할 수 있도록 상호 신뢰를 가지고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밝혔다. <br> </p> <p contents-hash="d550e1c6b33d7a2973020b69d0107aec9e0ea120d41d948feff698d578001694" dmcf-pid="PKdx7Msdi0" dmcf-ptype="general">[이채린 기자 rini113@donga.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동아사이언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덱스, ‘아이쇼핑’ 연기 도전...“밑천 드러나면 안 돼” (‘짠한형’) 07-28 다음 테슬라의 ‘AI칩 파트너’ 꿰찬 삼성전자…위기의 파운드리, 반등 신호탄 쐈다 07-2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