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스 변했네”...숏폼 창작자, 네이버 ‘클립’ 부쩍 찾는 이유 작성일 07-29 1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릴스 보너스 선정 기준 높아진 반면, 클립은 광고·커머스 수익으로 유인</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1oZ5bNYcor"> <p contents-hash="56ddc80bb3fe0eeb2995c0179aa246ac52c58302186957c815c55def37ffd53f" dmcf-pid="tg51KjGkjw"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안희정 기자)메타가 인스타그램 릴스 수익화 정책을 보수적으로 변경하면서 국내 숏폼 창작자(크리에이터)가 네이버 클립 크리에이터로 이동하는 움직임을 보인다. <span>비교적 숏폼 시장에 뒤늦게 뛰어든 네이버가 초보 크리에이터들에게도 좋은 보상 조건을 내거면서다. </span></p> <p contents-hash="592f99e71d2113f5aecc297a8777458b2f1a976aec51f0d7ed2c8a4cdbcd329a" dmcf-pid="Fa1t9AHEjD" dmcf-ptype="general">숏폼 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며 수익을 창출하기 위한 조건이 까다로워지는 가운데, 네이버의 이 같은 전략이 크리에이터 생태계 재편을 촉진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p> <p contents-hash="2f00f08a493fab49cc126e01271e20ea0d7b855256b3896e9a82ce66d07663d6" dmcf-pid="3NtF2cXDoE" dmcf-ptype="general">2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span>네이버가 하반기 클립 크리에이터를 1만명 규모로 모집한 결과, 10만명 이상이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span></p> <p contents-hash="812b8399259342d83cefb6a2f86a595959c41c032d31a4f82de3b5fa3bf7079b" dmcf-pid="0EUu6rFOjk" dmcf-ptype="general">네이버 관계자는 “이번 클립 크리에이터 모집에는 예상을 훨씬 웃도는 지원자가 몰렸다”고 말했다. 회사는 내달 1일 하반기에 활동할 클립 크리에이터를 발표하고, 선정된 크리에이터들은 8월부터 12월까지 약 5개월간 활동하게 된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8f539a0b6d9eec75c273d195671a79a9f91037d7796e68b403125d02113912a" dmcf-pid="pDu7Pm3Ij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2025 하반기 클립 크리에이터 모집"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ZDNetKorea/20250729085143557xpsv.jpg" data-org-width="639" dmcf-mid="ZD92JSqyj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ZDNetKorea/20250729085143557xps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2025 하반기 클립 크리에이터 모집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0f4d80926894d0b60bd77486932706a5d54eb8d32a1c41d91c4b7ef713f92b3" dmcf-pid="Uw7zQs0CaA" dmcf-ptype="general">업계에서는 네이버 클립 크리에이터 지원자가 많이 몰린 이유 중 하나를 메타의 수익화 정책 변화에서 비롯된 것으로 예상한다. 메타는 최근 인스타그램 릴스 보너스 정책을 변경했다. 릴스 보너스는 한국과 미국 인스타그램의 초대를 받은 크리에이터만 이용할 수 있으며, 릴스 보너스 기회는 지난 3개월 동안 매달 보너스 릴스 조회수가 최소 500만회 이상이어야 하며, 오리지널 콘텐츠를 게시하는 계정이 있어야 한다. </p> <p contents-hash="3d3c285725ad6efe81e3ff7dc2191c053908f0ce106d06d3fed8477f6be580dc" dmcf-pid="urzqxOphoj" dmcf-ptype="general">그동안 릴스를 통해 수익을 올리던 일부 크리에이터들은 “수익이 갑자기 0원으로 줄었다”며 정책 변화에 불만을 나타내기도 했다. </p> <p contents-hash="e6c8431eea4a0e436369a9fad5e184768a57ec65ef894613aff903cf5a195c09" dmcf-pid="7mqBMIUloN" dmcf-ptype="general">반면, 네이버는 영상뿐 아니라 이미지·텍스트 기반 콘텐츠 창작자까지 포용하며 클립 크리에이터 진입 장벽을 낮췄다. 하반기부터는 광고 인센티브 프로그램도 정식 도입하며 본격적인 수익화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p> <p contents-hash="08e54796c1a7d2b31f008616a637871707f3b47dc16fb6af5ab6b056f4ca5185" dmcf-pid="zsBbRCuSoa" dmcf-ptype="general">선발된 클립 크리에이터는 ▲조회 수 기반 ‘광고 인센티브 프로그램’ ▲스마트스토어 제휴를 통한 ‘쇼핑 커넥트’ ▲브랜드 콘텐츠 제작 기회인 ‘브랜드 커넥트’ 등 다양한 수익화 모델에 참여할 수 있다. </p> <p contents-hash="8bde855073c99a78d04966fa94deb7094d384e75427ea68d621fd00e18341932" dmcf-pid="qObKeh7vNg" dmcf-ptype="general">이외에도 페스티벌, 영화제, 패션쇼 등 국내외 이벤트 참가, 방송사 드라마 및 예능 IP 활용, 브랜드 협업 콘텐츠 제작 등 전방위 지원도 제공된다. 콘텐츠 성과에 따라 최대 2천만원의 보상이 주어지는 스페셜 미션도 마련돼 있다.</p> <p contents-hash="22992140a8607343e2dfceb8ed8aad2e58e979cc01ad2ecd08f37ee8756294ce" dmcf-pid="BIK9dlzTAo" dmcf-ptype="general">특히 하반기에는 장소, 엔터테인먼트, 패션·뷰티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크리에이터 유입이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p> <p contents-hash="0ee2a58b2b6589398b7fe2cd429563ea499f647243d8ac5dbd0e0611ca64d960" dmcf-pid="bC92JSqyNL" dmcf-ptype="general">비선발자에게도 문은 열려 있다. 네이버는 ‘클립 챌린저 프로그램’을 통해 창작 역량을 쌓을 기회를 제공하며, 우수 활동자에게는 크리에이터로 추가 선발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d02047214f70d53b3da14627454878ba15250c8bbd562aade183ba21571d1df" dmcf-pid="Kh2VivBWc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스타그램(제공=픽사베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29/ZDNetKorea/20250729085144915rerb.jpg" data-org-width="640" dmcf-mid="5GEDy2j4N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29/ZDNetKorea/20250729085144915rer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스타그램(제공=픽사베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37262be26315bb19f13fb981f6fd82554a05d445bd2861f06b094fe4e54249e9" dmcf-pid="9lVfnTbYci" dmcf-ptype="general"><span>업계 관계자는 "릴스 출시 초반에는 숏폼 영상에 대한 수익화가 비교적 쉬웠지만, 해당 시장이 포화상태가 되며 </span><span>메타에서도 </span><span>릴스에 </span><span>대한 </span><span>정산 </span><span>기준을 </span><span>높인 </span><span>것으로 </span><span>해석된다"고 말했다. </span></p> <p contents-hash="cd96caa419cac46c1b915f3e6536ec2646bb11e1018f58f76fc58943c413d146" dmcf-pid="2Sf4LyKGgJ" dmcf-ptype="general">다른 업계 관계자는 "네이버 클립은 크리에이터 친화형 생태계를 구축하며 누구나 쉽게 창작자가 되는 기회를 만들어나가고 있는 것 같다"며 "10만명이 몰린 건 숏폼 크리에이터들이 새로운 수익 기반과 창작 생태계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e238b4a69acdfbbacbf832a9886cbfe3f586ae74f03f7e6ffaa1a703b06fc66d" dmcf-pid="Vv48oW9Had" dmcf-ptype="general">안희정 기자(hja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네이블 “스마트 페이턴트 서비스로 특허 검색 시간 70%, 비용까지 절감” 07-29 다음 SK렌터카-하나카드, PBA 팀리그 1R 우승 놓고 맞대결 07-29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