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테크+] "해저 9천532m에서 화학반응으로 에너지 얻는 생물군집 발견" 작성일 07-31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中 연구팀 "쿠릴-캄차카·알류샨 해구서 화학합성 생물군집 다수 확인"</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WBsy6IUlXn"> <p contents-hash="c998cfa03210178314a982e2a532d79188c62768a84c182ef4e2e440922aa9ba" dmcf-pid="YbOWPCuSti" dmcf-ptype="general">(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북서 태평양의 수심 9천532m에 이르는 해구(ocean trench) 바닥에서 화학반응으로 에너지를 얻는 튜브웜(관벌레)과 연체동물 등 극한 환경에서 살 수 있는 생물들이 다수 발견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899b320c763136dd7657831d102489481227470359cfb0e94c324ccd56775fe" dmcf-pid="GYJA3nSgH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해저 9천532m에서 발견된 다모류 동물(흰색)과 튜브웜 북서 태평양 쿠릴-캄차카 해구와 서부 알류샨 해구에서 가장 깊은 해저 9천532m에서 발견된 다모류 동물(흰색. polychaete. 길이 약 6.5㎝)과 직경 약 1㎜, 길이 20~30㎝의 튜브 형태 고착성 동물인 튜브웜(관벌레. frenulate siboglinids). 튜브웜은 해저 바닥에서 화학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군집 생물이다.[Nature, Mengran Du et al.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1/yonhap/20250731050204572iskv.jpg" data-org-width="961" dmcf-mid="QScIKE5rXg"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1/yonhap/20250731050204572isk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해저 9천532m에서 발견된 다모류 동물(흰색)과 튜브웜 북서 태평양 쿠릴-캄차카 해구와 서부 알류샨 해구에서 가장 깊은 해저 9천532m에서 발견된 다모류 동물(흰색. polychaete. 길이 약 6.5㎝)과 직경 약 1㎜, 길이 20~30㎝의 튜브 형태 고착성 동물인 튜브웜(관벌레. frenulate siboglinids). 튜브웜은 해저 바닥에서 화학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군집 생물이다.[Nature, Mengran Du et al.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7b522dfc145fd905aae78b4440d3b691391da1e844e1a6d5f57c31a98d767df3" dmcf-pid="HGic0Lvatd" dmcf-ptype="general">중국과학원(CAS) 심해과학공정연구소(IDSSE) 멍란 두 박사팀은 31일 과학저널 네이처(Nature)에서 유인 심해잠수정으로 북서 태평양 쿠릴-캄차카 해구와 알류샨 해구를 탐사, 5천800~9천533m 심해에서 화학합성 생명체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p> <p contents-hash="096bf344464a9447a5f57f74d2b6d72fdcde4922ff973bf34446fcc78835536e" dmcf-pid="XHnkpoTNHe"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 발견은 탐사 해역과 다른 해구 지역의 지질학적 유사성 등을 고려할 때, 이 같은 화학합성 기반 생물 공동체가 이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널리 퍼져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d8d6f7aefd2d072196223e992d0e6993bd9c3c7ed7557e54990d6e0d10a46137" dmcf-pid="ZXLEUgyjYR" dmcf-ptype="general">심해 같은 극한 환경에 사는 생물들은 광합성을 기반으로 한 지상이나 수중 동식물과는 다른 다양한 방식으로 에너지를 생성하도록 적응해야 한다. </p> <p contents-hash="0048386651f3a6285342a0a0d3e7daaf3ad8a516309489eeb2abd07ee4180f25" dmcf-pid="5ZoDuaWAGM" dmcf-ptype="general">화학합성 기반 생물공동체는 햇빛이 필요한 광합성이 아닌 화학반응에서 에너지를 얻는데, 이런 생물체는 황화수소와 메탄 같은 화학물질이 스며 나오는 심해 서식지에서 발견될 수 있다.</p> <p contents-hash="b66c6848f782f16603f0723549a77d5c59caca69e2e25e27491050c0b89e1faf" dmcf-pid="15gw7NYcYx"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지구상 바다에서 가장 깊은 부분 중 일부인 수심 수천m 이상의 해대 해구(Hadal trenches)는 여전히 대부분 탐사되지 않은 상태라고 지적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98383a6fa27d552be8e8e8597cf4fb0fa40a8faa5b5a578d5e60cb4bb6fa5f8" dmcf-pid="t1arzjGkt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심해탐사 중인 유인 잠수정 펀더우저호 [Institute of Deep-sea Science and Engineering, CAS (IDSSE, CA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1/yonhap/20250731050204761npcz.jpg" data-org-width="1200" dmcf-mid="xfgw7NYc1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1/yonhap/20250731050204761npc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심해탐사 중인 유인 잠수정 펀더우저호 [Institute of Deep-sea Science and Engineering, CAS (IDSSE, CA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981bddb17c1f494064b6ca2399a5e41051133861fe3bcb2347aef47f79dadda" dmcf-pid="FtNmqAHEZP" dmcf-ptype="general">이들은 이 연구에서 심해 유인 잠수정 펀더우저호(Fendouzhe)를 이용해 북서태평양 쿠릴-캄차카 해구와 알류샨 해구를 따라 2천500㎞ 이상을 탐사했다.</p> <p contents-hash="d08779b2ab735ef43e049a6676325c2dc222887e3364db8aa77420ab5c7a529a" dmcf-pid="3FjsBcXDt6" dmcf-ptype="general">펀더우저호는 조종사와 연구자 3명을 태우고 심해에서 영상촬영, 시료 채취, 해저 생물·지질 분석 등을 할 수 있는 잠수정으로 마리아나 해구에서 1만909m 깊이까지 잠수한 바 있다.</p> <p contents-hash="1d21474f57abad5c78513cf96c6dd3feb7cab82111f950917a23fe79de1d7665" dmcf-pid="03AObkZwG8"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수심 5천800m에서 9천533m에 이르는 심해에서 시보글리니드 다모류(siboglinid polychaetes)로 불리는 해양 튜브웜과 조개류 같은 연체동물이 군집을 이루고 있는 서식지를 다수 발견했다.</p> <p contents-hash="0be09d0530218b7d6ed7afc455fa0243178a4e38054e6b5e1571ad16ce96a3ab" dmcf-pid="p0cIKE5rH4" dmcf-ptype="general">이들 동물은 북태평양판과 오호츠크판 및 베링해판이 충돌하는 단층에서 스며 나오는 황화수소와 메탄을 이용해 에너지를 합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메탄은 퇴적물에 존재하는 유기물 내 미생물 작용으로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3c49961c576cbc6a499354f6233da011656b9f5e8e039cdc6107a8aaefab818" dmcf-pid="Uj7fsqLKY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해저 5천800~9천533m에서 발견된 튜브웜과 연체동물 군집 [Institute of Deep-sea Science and Engineering, CAS (IDSSE, CA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1/yonhap/20250731050204927fpdr.jpg" data-org-width="866" dmcf-mid="yUkC9D1mX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1/yonhap/20250731050204927fpd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해저 5천800~9천533m에서 발견된 튜브웜과 연체동물 군집 [Institute of Deep-sea Science and Engineering, CAS (IDSSE, CA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4283511147481d01bf5dbac3ed11982440636e87ee1216d03c3cd2d5eff91b9" dmcf-pid="uAz4OBo9YV" dmcf-ptype="general">연구팀은 이 발견은 심해 생물군집이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더 널리 퍼져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하고 심해 생태계에 대한 기존 관점에 도전하는 것이라며 극한 환경에 생명체가 존재할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준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33b85d26c3dc4adc184f8687ffdc954a5701b7fc6f50dab37008e69a01b38f5" dmcf-pid="7cq8Ibg212" dmcf-ptype="general">◆ 출처 : Nature, Mengran Du et al., 'Flourishing chemosynthetic life at the greatest depths of hadal trenche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586-025-09317-z</p> <p contents-hash="2373bb847f3c65714188e8723b723c002762e0bf8102a5d4bc401efd72f658c1" dmcf-pid="zkB6CKaVt9" dmcf-ptype="general">scitech@yna.co.kr</p> <p contents-hash="74d20b6ef364bfa3c0d8537d95e5cf2dc7bc0ae924ac8d96541841605afba691" dmcf-pid="BDKQl2j4Hb" dmcf-ptype="general">▶제보는 카톡 okjebo</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딥시크로 전투기 만드는 중국…정부가 'AI 인큐베이터'였다[평화 오디세이-中 AI굴기 현장리포트⑥] 07-31 다음 반등은 시작됐다…K게임 직진 작전 07-3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