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툰 원작 작품이 대세…안방극장과 스크린 점령한 웹툰[SS연예프리즘] 작성일 07-31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XikpKwtsSh">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a0d086dfc6ed02e0fc8cd8c9a2e5f7c1f9bc271eeca245fc49f14ffdd66eccd" dmcf-pid="ZnEU9rFOvC"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전독시 스틸컷"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1/SPORTSSEOUL/20250731084131283ukrm.jpg" data-org-width="700" dmcf-mid="YmsB8CuSl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1/SPORTSSEOUL/20250731084131283ukr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전독시 스틸컷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e75e5063ddc631c9369c821fad15284a610adbd84dea9dd86e13cc211651baf" dmcf-pid="5NsB8CuSvI" dmcf-ptype="general"><br> [스포츠서울 | 김현덕 기자] 웹툰이 실사 콘텐츠의 중요한 자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최근 공개된 작품들만 봐도 실사화된 다수의 IP가 눈에 띄며, 원작과 실사의 동시 소비가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p> <p contents-hash="c4a97b59ad041543d23e2944c65f0f7ce937f6668f2c603f6729c1dab3c381be" dmcf-pid="1jOb6h7vTO" dmcf-ptype="general">ENA와 티빙을 통해 공개된 ‘아이쇼핑’은 최근 그 흐름을 대표하는 사례다. 해당 작품은 아이를 사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환불해 죽음으로 내모는 잔혹한 시스템을 배경으로 한다.</p> <p contents-hash="1ce76d9b3c6dd411180ccdc4b31644b5dbb7531addd941ddfe0a25d4c93b181b" dmcf-pid="tAIKPlzTSs" dmcf-ptype="general">공개 직후, 잔혹한 설정과 사회적 메시지를 담은 서사는 시청자들의 강한 반응을 끌어냈고 원작 웹툰의 조회 수와 매출 역시 수십 배 증가했다.</p> <p contents-hash="c3a9107d737e81e3862f1bed8e65894a29f12d23dd85e396b396064638c6867c" dmcf-pid="FcC9QSqylm" dmcf-ptype="general">디즈니+가 선보인 ‘파인: 촌뜨기들’도 웹툰을 원작으로 한 콘텐츠다. 외지인들이 몰려든 시골 마을에서 연쇄적으로 벌어지는 기이한 사건들과, 그에 휘말린 주민들의 긴장감 어린 심리가 중심 서사다.</p> <p contents-hash="bf0832f69a6e39ac4e1403ebb0fb3ef1c845cfc74e6925b023d5ff16d38f0ad0" dmcf-pid="3kh2xvBWlr" dmcf-ptype="general">작품은 미스터리 장르의 고유한 분위기를 유지하면서도 한국적인 배경과 정서를 섬세하게 녹여냈다. 공개 이후 원작 웹툰의 조회 수 역시 큰 폭으로 상승하며 실사화 효과가 확인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4daa16e338212560383036eabcb795c38fd62e53bcc51165f6cbcdc9094de47" dmcf-pid="0ElVMTbYl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파인 촌뜨기들’ 스틸컷. 사진 | 디즈니+"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1/SPORTSSEOUL/20250731084131498nstd.jpg" data-org-width="700" dmcf-mid="GxpgD7iBS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1/SPORTSSEOUL/20250731084131498nst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파인 촌뜨기들’ 스틸컷. 사진 | 디즈니+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95b0ae13eb7f6e8b870b341d6d35b3491db4b0a441f03e36d9234b5ef6f2ff3" dmcf-pid="pDSfRyKGlD" dmcf-ptype="general"><br> 극장가에서는 ‘전지적 독자 시점’과 ‘좀비딸’이 각각 개봉 전후로 주목을 받고 있다. ‘전지적 독자 시점’은 평범한 회사원 김독자가 자신이 읽던 웹소설의 세계가 현실로 펼쳐지며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린다.</p> <p contents-hash="1661fd6a95724478663ce995251be2f873e41ae9829320a3e60000e2f5094941" dmcf-pid="Uwv4eW9HvE" dmcf-ptype="general">웹소설과 웹툰 모두에서 이미 인지도가 높은 작품이었던 만큼, 영화 개봉 이후 원작 독자층의 재유입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p> <p contents-hash="84737dcf8c461409ba295727701f9d45f470475e627f5666172a3bb467245975" dmcf-pid="ufdWtnSgCk" dmcf-ptype="general">‘좀비딸’은 좀비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춘기 딸과, 그녀를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아버지의 이야기를 다룬다. 주인공 정환은 마지막 남은 좀비가 된 딸 수아를 인간으로 되돌리기 위해 극비 훈련에 돌입하고, 유쾌하면서도 절절한 부성애를 블랙코미디 형식으로 풀어낸다.</p> <p contents-hash="d6adc791f4e4400ac394b6b3c6d0b6f5292e8e24fa0ce735b0771759587f168f" dmcf-pid="74JYFLvaWc" dmcf-ptype="general">가족의 정의와 생존 본능 사이에서 선택을 강요받는 캐릭터의 서사가 독특한 감정선을 형성하며, 실사화 이전부터 쌓아온 팬층의 지지를 이어가고 있다.</p> <p contents-hash="f8083898cc3c1947d3b0d20a861ff46cb503c0f2a273c4ae11ce88234c43500a" dmcf-pid="z8iG3oTNyA" dmcf-ptype="general">한 제작 관계자는 “익숙한 서사를 바탕으로 한 강한 흡입력과 캐릭터에 대한 사전 이해도는 영상화 과정에서 안정성과 화제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b9f8c3ae4806f52374868e4e74d8ee9654b9deab4ea77e23c56c77e440e8f65" dmcf-pid="q6nH0gyjC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영화 ‘좀비딸’ 조정석. 사진| NEW"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7/31/SPORTSSEOUL/20250731084131729xghk.png" data-org-width="700" dmcf-mid="HyJYFLvaSl"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7/31/SPORTSSEOUL/20250731084131729xghk.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영화 ‘좀비딸’ 조정석. 사진| NEW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78797e5f2cc2ea63fed8072aec316807caf0e0242c63a2a32c8ccbca01da04d" dmcf-pid="BPLXpaWASN" dmcf-ptype="general"><br> 이러한 흐름은 앞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나 혼자만 레벨업’은 넷플릭스를 통해 실사 드라마로 제작되고 있으며, 주인공 역은 배우 변우석이 맡았다.</p> <p contents-hash="76b80808c4aa06e056a39748a824ab1d877403647c873dc7d23ba58b2b51562a" dmcf-pid="bQoZUNYcSa" dmcf-ptype="general">로맨스 장르에서도 실사화가 확대되고 있다. ‘하렘의 남자들’ ‘재혼황후’ 등의 웹툰은 각각 드라마 제작이 확정되며 원작 팬덤을 중심으로 기대감을 형성하고 있다. 이 밖에도 ‘취사병 전설이 되다’ ‘고래별’ 등 다양한 장르의 웹툰이 실사화 단계에 있다.</p> <p contents-hash="79f31f516a9fe6debdf761a84fe881ebb1b1741582369fdac28f6b318b0d9ab5" dmcf-pid="Kxg5ujGkvg" dmcf-ptype="general">정덕현 대중문화 평론가는 “갈수록 웹툰, 웹소설 원작의 드라마는 많아질 것이다. 리스크를 최소화하면서 가능성을 타진하기 위해 웹툰, 웹소설 지적재산권(IP)를 경쟁적으로 확보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p> <p contents-hash="a6a5dbe9abfb2899cfd4074a9bd703a308a9576cc9686fc262722b6bfdc70ef9" dmcf-pid="9Ma17AHESo" dmcf-ptype="general">그러면서 “원작이 성공했다고 해서 드라마도 성공하진 않는다. 골수팬의 응원을 받는 원작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드라마만의 고유한 또다른 재미를 넣어 변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khd9987@sportsseoul.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스포츠서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전소미, 8월 11일 ‘클로저’ 역습 07-31 다음 앰퍼샌드원, 악동 돼서 돌아왔다... 미니 3집 기대↑ 07-31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