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전자칠판, B2B 맞춤형 공략…OS 탑재 이원화 작성일 08-04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美 선택형-韓 탑재형 공급<br>기업·교육 다양한 요구 대응</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HFCQ7iBDu">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bbb48f435763c7ea47a955fd4015532eca4a4bce429333c03202c7e7feda58f" dmcf-pid="WX3hxznbO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글로벌 대화형 디스플레이 시장 추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etimesi/20250804060258619xymc.jpg" data-org-width="700" dmcf-mid="PneqOoTNr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etimesi/20250804060258619xymc.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글로벌 대화형 디스플레이 시장 추이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a0161db5d7c1402f397063d3d1a2c48a3adce69dd5ce58b8a1e94c742524577" dmcf-pid="YZ0lMqLKsp" dmcf-ptype="general">LG전자가 국내외 전자칠판 시장을 겨냥해 고객 IT 환경과 요구에 맞춰 제품을 이원화하는 투트랙 전략을 구사한다. 미국 시장에는 운영체제(OS) 선택형 맞춤형 전자칠판을, 국내 시장에는 편의성을 높인 OS 탑재형 전자칠판을 각각 공급하는 게 골자다.</p> <p contents-hash="6eb149c8a2bb26801237f63e9042944ea076bde37ae50edb707a96a29db9e7f8" dmcf-pid="G5pSRBo9w0" dmcf-ptype="general">LG전자의 미국 시장 공략 모델은 지난달 공개한 'LG 크리에이트보드 코어(모델명: TR3BQ 시리즈)'다. 특징은 고객이 원하는 운영체제(OS)를 설치하도록 LG전자가 OS를 탑재하지 않았다는 점이다.</p> <p contents-hash="ad73c3004ea45577a60026d963efada8ff1cdc0d37a041a234378beb065e722f" dmcf-pid="H1Uvebg2E3" dmcf-ptype="general">이는 맞춤형 OS를 사용하는 현지 학교와 보안 기준이 엄격한 금융기관과 대기업 등, 표준화된 전자칠판 솔루션으로 만족시킬 수 없었던 특정 B2B 시장을 공략하기 위한 맞춤형 전략으로 풀이된다.</p> <p contents-hash="f73d33ab6553259399ebb22fb7b7146542c5bab11dcf38bac4449ab02fce2ed3" dmcf-pid="XtuTdKaVEF" dmcf-ptype="general">제품군은 4K 해상도에 86·75·65인치로 출시된다. 고객은 OS와 솔루션을 선택을 통제권과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24b01624ed8ddaf89e9278d54eb649aa13c2d0e2fc0b9e07d2bfccd051d02d9" dmcf-pid="ZhWkK56FEt"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LG전자질판(55TR3DQ-BW)"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etimesi/20250804060259947fnkh.jpg" data-org-width="531" dmcf-mid="QeTABX41w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etimesi/20250804060259947fnk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LG전자질판(55TR3DQ-BW)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cfb88a8066ba13e5f8757dcc350e895cb31eeef31e599aa76b48fadd812abf8" dmcf-pid="5lYE91P3I1" dmcf-ptype="general">반면 국내 시장에는 OS를 기본 탑재해 편의성을 강화한 가전 구독 전용 모델 LG전자칠판(55TR3DQ-BW)을 출시했다. 신제품은 즉시 제품을 사용하길 원하는 일반 기업이나 학원 등을 겨냥한 완결형 솔루션이다.</p> <p contents-hash="413a2e4fb315f58a8acc56173e7f1f476a75e81b85acc9004e94c165afd207b4" dmcf-pid="1SGD2tQ0I5" dmcf-ptype="general">구글 안드로이드 14 OS를 탑재해 앱 확장성을 확보했고, 3년 약정 기준 월 5만6600원이다.</p> <p contents-hash="354af8ba09ea99f189f3124238029ad79fd42160cf3eb6830688ed5e64ce7e12" dmcf-pid="tvHwVFxpOZ" dmcf-ptype="general">별도 구매로 제공되는 LG 커넥티드 케어도 관리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IT 매니저가 전자칠판 관리를 위해 현장을 방문하지 않고도 작동 중인 디바이스의 중요 리소스를 다루고 관리하도록 지원한다.</p> <p contents-hash="600941c570aa536de73a14a52449d436e3608382c0b1b6ca80957946639814e1" dmcf-pid="FTXrf3MUrX" dmcf-ptype="general">구독 모델로 출시돼 초기 도입 비용 부담을 낮춘 것은 물론, 정기적인 방문 관리와 무상 AS를 포함한 LG전자의 지속적인 케어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다는 점도 강점이다.</p> <p contents-hash="bfdb054b084a8fc4dc4c1a7f9403d8189d7b354906fe84dc6c91d85084bf1bba" dmcf-pid="3yZm40RuOH" dmcf-ptype="general">국내외 전자칠판 라인업 이원화는 B2B 시장의 다양한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단일 제품을 판매하는 것을 넘어, 높은 수준의 맞춤화가 필요한 고객군과 즉각적인 편의성이 중요한 고객군을 동시에 공략해 시장점유율 높이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p> <p contents-hash="034fdf5ff2ccf9bed126bb83254bdee7a9ed62a6fbbbb0344f038c37e34135d0" dmcf-pid="0W5s8pe7DG" dmcf-ptype="general">LG전자 관계자는 “국내외 시장에서 선보인 다양한 전자칠판 제품군을 통해 산업계와 교육 시설 등 다양한 고객사에 최적화한 전자칠판 토털 솔루션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2ec9a8feb6159a3fb3994765dbb30da7d89a2f0a93027b1b13154e686e8a0c6" dmcf-pid="pY1O6UdzmY" dmcf-ptype="general">한편 포천 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전자칠판을 포함한 글로벌 대화형 디스플레이 시장은 2022년 419억5000만달러(약 58조7000억원)에서 연평균 9.7% 성장해 2030년 864억달러(약 121조원)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br></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3ae524e942269e11591dcb037245354a82ead4959b3283b73a947b4c1da2d3c" dmcf-pid="UGtIPuJqw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글로벌 대화형 디스플레이 시장 추이(전자칠판 포함) - 자료:포천 비즈니스 인사이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etimesi/20250804060301176kbei.png" data-org-width="696" dmcf-mid="xXxuriloE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etimesi/20250804060301176kbei.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글로벌 대화형 디스플레이 시장 추이(전자칠판 포함) - 자료:포천 비즈니스 인사이트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236ae2107d2b6946d3061c1b96560f8673c47d2183ec4b8bebdf35b4ea83758c" dmcf-pid="uHFCQ7iBwy" dmcf-ptype="general">임중권 기자 lim9181@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AI폰 흥행에 잭팟 터진 삼성 MX사업부... ‘AI 대중화 전략’ 효과로 미국서 애플 턱밑 추격 08-04 다음 ‘S라인’ 아린 “팬들 놀라게 했지만…내 안의 새로움 끌어낸 작품” [IS인터뷰] 08-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