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실 넘어 실제 제품으로, 현실화 되는 메타물질 기술 작성일 08-04 2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0gcJjQrRAk"> <p contents-hash="26338178c75805195694142cf31517f573ec582f15dcb2c357ca72eb164c006d" dmcf-pid="pakiAxmeNc" dmcf-ptype="general">메타물질 기술이 이제 연구실 단계를 넘어 실제 제품으로 구현되기 시작했다. 최근 주요 국가와 기업, 연구기관은 메타물질 기반 기술을 고성능·초경량 제품으로 전환하기 위한 상용화 경쟁에 속도를 내고 있다.</p> <div contents-hash="3d3d0e86f10af0154d6dee1f874c4e8116b763d046937933a1597167c1d3b5c1" dmcf-pid="UNEncMsdaA" dmcf-ptype="general"> <p>가장 먼저 성과를 낸 분야는 광학과 디스플레이다. 하버드대학교 페데리코 카파소 교수팀은 메타물질 기반의 평면형 렌즈를 개발해, 2021년 '메타렌즈(Metalenz)' 상용화에 성공했다. 기존 렌즈보다 얇고 정밀도가 높아 스마트폰과 확장현실(XR) 기기용 고성능 광학부품으로 빠르게 채택되고 있다.</p>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e633394852a620d27a0694d0e258bf7c9185f3438f57b8174cf586ed896a278" dmcf-pid="ujDLkROJc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4/akn/20250804070243458wzfz.jpg" data-org-width="745" dmcf-mid="3Pn6J9Nfg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4/akn/20250804070243458wzfz.jpg" width="658"></p> </figure> <p contents-hash="d627d51befc06d70e72c37d261e44e3245e4655a34716c0b25fd79ad14cf1619" dmcf-pid="7AwoEeIigN" dmcf-ptype="general">통신 분야에서는 미국의 키메타(Kymeta)가 선두에 있다. 위성통신용 평판형 메타물질 안테나를 개발해 2024년 해상 통신용 초박형 위성 안테나를 출시했고, 군용 및 민간 광대역 통신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p> <p contents-hash="10d84abe1c0bb8830983469224be524c8ec7960f2dc3961685c5d5e61c2f0325" dmcf-pid="zcrgDdCnaa" dmcf-ptype="general">자율주행·센싱 영역에서는 루모티브(Lumotive)가 메타물질 기반의 라이다(LiDAR) 시스템을 개발해 주목받고 있다. 기계적 회전 없이 빛의 방향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어, 차세대 3D 인식 기술로 평가받는다.</p> <p contents-hash="cbb8cd12bee18329f0edd315b690bcd2c9d567b4562b8bff27a1274b79daa964" dmcf-pid="qkmawJhLAg" dmcf-ptype="general">음향 및 소음 제어 분야에서는 유럽의 스타트업 메타소닉스(Metasonixx)가 2021년 경량 방음 메타물질 패널을 개발해, 환기 기능을 유지하면서도 소음을 줄이는 창문형 블라인드를 상용화했다. 이 기술은 2024년 영국 물리학회에서 비즈니스 혁신상을 수상했다. </p> <p contents-hash="7ce19e20f0d8dfb08be866b7c952391ea4a23052549f7131c4b7801d607367a2" dmcf-pid="BEsNrilogo" dmcf-ptype="general">스위스의 멀티웨이브 테크놀로지(Multiwave Technologies)는 프랑스 엑스마르세유대와 협력해 메타물질 기반 MRI 코일을 개발했고, 최근에는 이를 활용한 소형 휴대용 MRI 스캐너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p> <p contents-hash="50fd1cf6654e93952e1143584cb578a8ceab13fc34e34c5bc713b083466a928a" dmcf-pid="bDOjmnSgoL" dmcf-ptype="general">중국은 통신·국방 분야를 중심으로 정부 주도의 대규모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6G 및 위성 네트워크를 겨냥한 기지국·휴대폰용 메타물질 안테나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레이더 흡수체 등 스텔스 기술 확보를 위한 전자기파 흡수·차폐 소재 개발도 병행하고 있다.</p> <p contents-hash="f8c9893a4f4b9c36ed4cd2650c41c6ac836f22371e166764ea0edef69d7ef28b" dmcf-pid="KG1vZOphkn" dmcf-ptype="general">한국은 메타물질의 실제 생산과 제조 기술 측면에서 강점을 보이고 있다. 노준석 포항공과대 교수팀은 반도체 공정을 응용한 메타렌즈 대량생산 기술을 확보해 기존 굴절 렌즈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고성능 렌즈를 양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p> <p contents-hash="a51b61004b678b244bf88c5add08c6862afa6897606747ad615dfd706707e892" dmcf-pid="9HtT5IUlai" dmcf-ptype="general">노 교수는 "혁신적인 기술이 상용화되기 위해서는 제조 혁신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면서 "메타물질은 반도체 이후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산업 적용 확대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34dfc46aa8284b2ddb97fd1081dbe0b04f46f44f9eddd9085bf8911c3ed0a2d7" dmcf-pid="2XFy1CuSkJ" dmcf-ptype="general">김종화 기자 justin@asiae.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메타물질, 자연의 한계를 넘어 미래 기술을 디자인하다 08-04 다음 “기술주권 위한 생존전략” vs “독자 AI는 기술 고립 자초” 08-0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