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봄 시장도 AI로 효율화해야"…NHN, 기술로 돌봄을 혁신하다 작성일 08-07 28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인터뷰]황선영 와플랫 대표 "AI가 인간 복지사 업무 돕도록"<br>상조회사·병원과 함께 돌봄·의료 통합…공공 넘어 민간·해외로도</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Fby0Iw8tHg">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98ea5e50cde0629fd6d53695fec271116d7373178fe98e9ccaa3b682a428ddf" dmcf-pid="3TgsePZwX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황선영 와플랫 대표가 7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의 NHN 사옥 '플레이뮤지엄'에서 <뉴스1>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NHN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7/NEWS1/20250807090148115ebnh.jpg" data-org-width="1400" dmcf-mid="PzpqTCRuY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7/NEWS1/20250807090148115ebnh.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황선영 와플랫 대표가 7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의 NHN 사옥 '플레이뮤지엄'에서 <뉴스1>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NHN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42718229e35439cece5123c29fce2bf8c0cdd57ea18e8b3c1b1ccbceb35ac8f" dmcf-pid="0yaOdQ5r5L" dmcf-ptype="general">(서울=뉴스1) 신은빈 기자</p> <blockquote class="quote_frm" contents-hash="bb9e57ed67d05c488debd915117fb2a212f8baa38edd3c189ec459141aa43ccc" dmcf-pid="pWNIJx1mHn" dmcf-ptype="blockquote1"> "시니어케어 서비스는 노인만을 위한 게 아닙니다. 인공지능(AI) 기술로 자녀와 생활지원사까지 돕는 돌봄 모델의 혁신이 필요합니다." </blockquote> <div contents-hash="e9deb68af4944d29ee408698d96094edfe3d8945b8fe58c4f41d74c143bb3be5" dmcf-pid="UYjCiMts1i" dmcf-ptype="general"> NHN(181710)의 시니어케어 전문 법인 와플랫이 AI 기술로 노인의 건강과 안전을 관리하는 돌봄 서비스를 확대한다. 생활지원사의 반복적인 안부 확인 업무는 AI로 대체하고 정서적 돌봄 서비스의 품질은 높여 공공 돌봄 업무를 효율화하겠다는 전략이다. </div> <p contents-hash="9f528dd95360879ad42b4bc1cf9a40849c6578afc918182ca497d35c9ebf56db" dmcf-pid="uGAhnRFOXJ" dmcf-ptype="general">황선영 와플랫 대표는 7일 인터뷰를 가지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기반 AI 돌봄 서비스 '와플랫'을 이렇게 설명했다.</p> <h3 contents-hash="695c06f0a30a167110de3fddf2c27e630e1a5289a3ecf99d17a069acc6b62f8b" dmcf-pid="7HclLe3I1d" dmcf-ptype="h3">모바일 앱 기반 24시간 서비스로 돌봄 효율화</h3> <p contents-hash="ad975e3c0f1a7c2a83a64d9e0c6c9dca492ea71b1b53de441108afb29a8aa011" dmcf-pid="zXkSod0CZe" dmcf-ptype="general">와플랫 공공 서비스는 지난해 7월 첫선을 보였다. 도입을 원하는 지자체에 서비스를 제공해 생활지원사와 돌봄 대상 노인들이 복지관이나 주민센터를 통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p> <p contents-hash="59467a63f322fd9bd011e21cab1fcece53c7584846ac335979cd732889a13bbc" dmcf-pid="qZEvgJphYR" dmcf-ptype="general">스마트폰 앱을 통해 정기 알림으로 노인의 생활 반응을 확인하고, 24시간 동작 감시를 통해 생활복지사가 떨어져 있어도 노인의 안부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기능은 크게 △건강 케어 △일상·안부 케어 △여가생활 케어 △안전 케어 분야로 나눠 총 10가지의 AI 돌봄 서비스를 제공한다.</p> <p contents-hash="446790a433450140f50d45f8a43cc237a768237f148e62fbd2a38879d107bb9b" dmcf-pid="B5DTaiUlGM" dmcf-ptype="general">황 대표는 노인 외에도 그들을 돌보는 가족과 생활지원사의 업무를 분담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현하고자 AI 시니어케어 사업을 시작했다. NHN에서 16년간 법무 정책 업무를 담당하다가 2021년 와플랫 대표로 선임된 배경이기도 하다.</p> <p contents-hash="66d5067739d35117d90da3708951af1b7ef7384e264eb8c12da69f107dfae66a" dmcf-pid="beU45Yg2tx" dmcf-ptype="general">그는 "우리나라가 초고령화 사회에 본격 돌입했지만 공공 시니어케어 자원은 여전히 인력에만 의존하고 있다"며 "AI와 디지털 헬스케어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해 돌봄 시장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려 한다"고 설명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d1b25f97a9e55e8496f7d062063324b61bbfb3e492e6d2a329ae093057f6310" dmcf-pid="Kdu81GaVHQ"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와플랫 공공 서비스 주요 기능 (NHN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7/NEWS1/20250807090149608uruq.jpg" data-org-width="1400" dmcf-mid="V8tUhmP3X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7/NEWS1/20250807090149608uru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와플랫 공공 서비스 주요 기능 (NHN 제공) </figcaption> </figure> <h3 contents-hash="89b510b20ac682b333f32985f5767e26642252801828baf54dbe9ccad1963423" dmcf-pid="9J76tHNf1P" dmcf-ptype="h3">디지털 휴먼과 화상통화…9월 'AI 생활지원사'로 재탄생</h3> <p contents-hash="3d960ffa840d969a8a666f3afb526469c5ada3fbd929b8389eb58d045642d878" dmcf-pid="2izPFXj416" dmcf-ptype="general">와플랫 공공 서비스는 9월 AI 기능을 고도화한 '와플랫 AI 생활지원사'로 업데이트될 예정이다.</p> <p contents-hash="fdda6655a0b56fec969d3e31c1648e82bacdff8d564c0e0e6103e816fe681b1a" dmcf-pid="VnqQ3ZA8Z8" dmcf-ptype="general">AI가 구현한 '디지털 휴먼'이 음성 변환 기술인 TTS(Text to Speech)·STT(Speech to Text)를 기반으로 화상통화 하듯 말을 건네고 듣는 방식이다. 와플랫은 돌봄 대상 노인이 평소 친숙하게 느끼는 생활지원사와 가장 유사한 50~60대 여성의 실물을 AI로 제작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d7b79fb3e0dc82ff122de0cddd31c54f0af0039c18bf306a1da13f15628c62da" dmcf-pid="fLBx05c614" dmcf-ptype="general">가장 차별화된 특징은 '상시 가동'이다. 센서나 전화 중심의 간헐적인 돌봄 서비스와 달리 모바일 앱을 기반으로 한 덕분에 24시간 365일 안부 확인과 위기관리가 가능하다.</p> <p contents-hash="64e5d7aba398b1cad66ee2eb4ac083faaf0c7042d4fe5c4af5862fbc06b73883" dmcf-pid="4obMp1kPYf" dmcf-ptype="general">황 대표는 "가까운 미래에는 고령자들의 스마트폰 사용이 더욱 보편화될 것"이라며 "항상 휴대하는 스마트폰으로 서비스를 제공해 노인의 생활 반응과 건강 질환을 빠르게 확인하고 대응할 수 있다는 점이 와플랫의 특장점"이라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a4b88e9e515260d5e0f3d1fb8b2735ac4939f1ad60d5ffd7e920259b31fab83c" dmcf-pid="8gKRUtEQ5V" dmcf-ptype="general">현재 와플랫 공공 서비스는 전국 지자체 12곳에 도입돼 운영 중이다. 도입 경험이 있는 지자체를 합하면 지금까지 총 18곳이 와플랫을 활용했다.</p> <p contents-hash="9b9e971e80a4e0a61b2c9e0b7d7d9f8235a807a6fb22d1c903cb728666da9bbe" dmcf-pid="6a9euFDxZ2" dmcf-ptype="general">그는 "지자체 활용 결과 안부 확인율은 평균 95% 이상, 디지털 헬스케어 사용률은 50% 이상으로 나타났다"며 "와플랫이 돌봄 행정을 효율화한 결과"라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2328f5e9d430455e3ad694d6a98eafbe4010249edcdf8d8fbea5ebf9c1143f39" dmcf-pid="PM0VXyLKG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황선영 와플랫 대표가 7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의 NHN 사옥 '플레이뮤지엄'에서 <뉴스1>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NHN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7/NEWS1/20250807090151482akxp.jpg" data-org-width="1400" dmcf-mid="t8hyNnuSta"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7/NEWS1/20250807090151482akx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황선영 와플랫 대표가 7일 경기 성남시 분당구의 NHN 사옥 '플레이뮤지엄'에서 <뉴스1>과 인터뷰를 진행했다. (NHN 제공) </figcaption> </figure> <h3 contents-hash="b477bc4e440467fccfee4ea3c7f257f01b13ec09881dbbf96e8157424210d524" dmcf-pid="QRpfZWo9XK" dmcf-ptype="h3">돌봄·의료 결합한 통합 플랫폼으로…민간·해외까지 진출</h3> <p contents-hash="7615fcadbf5ea1c8839afa20f7df8cbe627d6a3fbda540383e7343da0008f5de" dmcf-pid="xeU45Yg21b" dmcf-ptype="general">와플랫은 돌봄과 의료를 결합한 통합 서비스 제공을 목표로 상조회사, 이동통신사, 보험사와도 서비스 협업을 논의 중이다. 고독사 예방 모니터링이나 만성질환 관리 서비스 등을 함께 제공하겠다는 전략이다.</p> <p contents-hash="6e8eefb35a53a0a458891063b46363a0331124ab59f54463a949ddf2d7b26592" dmcf-pid="yGAhnRFO5B" dmcf-ptype="general">황 대표는 "현재 고려대 의료원·차병원과 함께 AI로 노인의 노쇠 진행 정도를 예측하고 적시에 처방 설루션을 내릴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을 협업하고 있다"며 "향후 의료계와도 협업을 계획 중"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5e573a1c0cb6a62dd214a3555cff74b4ef8f627b4b6086340fdd7af94c645148" dmcf-pid="WHclLe3IHq" dmcf-ptype="general">현재 민간 대상으로 제공하는 '와플랫 체크'를 중심으로 민간 서비스도 고도화한다. 복약 관리, 병원 진료 일정 안내, 만성질환 추이 관리 등 의료 기능을 중심으로 노인을 직접 돌보는 40~50대 자녀 세대를 겨냥한다.</p> <p contents-hash="d76ced937f29c58b4b3d486915a7f6af9a8df3428979453a90a3bd3cc84dd3c6" dmcf-pid="YXkSod0CXz" dmcf-ptype="general">와플랫은 이 같은 계획을 발판으로 향후 해외 진출도 준비하고 있다. 고령자가 많은 한국을 테스트베드로 삼아 모바일 기반의 AI 돌봄 서비스를 해외에도 공급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9105319b5e567a310604c95d169aec72e664dbd0436d911667906f5aa6da240d" dmcf-pid="GZEvgJphZ7" dmcf-ptype="general">그는 "단기적으로 의료 접근성이 낮은 동남아시아에 복약 관리 등 특정 건강 기능 위주로 서비스를 수출할 예정"이라며 "장기적으로는 기관과 가족이 노인 돌봄 정보를 공유받을 수 있는 통합 돌봄 플랫폼을 구축해 해외로 진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p> <p contents-hash="23c8ecb9fce2b3227c5aa7b35527609a4ad44db063464219f175a226a9dd93c0" dmcf-pid="H5DTaiUlYu" dmcf-ptype="general">bean@news1.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피앤피시큐어 "내부 확산형 사이버 위협 차단 해법 제시" 08-07 다음 “값비싼 귀금속없이 효율 1.3배↑” 에너지硏, 해수 수전해 고성능 전극 개발 08-07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