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컷 두고 수컷 게와 싸운 로봇 게의 최후 작성일 08-08 2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英 연구진, 3D프린터로 로봇 게 제작해 갯벌에 투입</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GLCbYqhLcm"> <p contents-hash="9e7635a364aaedb45c66763f994f8021974601ba630bad5a70f4543185bf848b" dmcf-pid="HohKGBloNr"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암컷 게의 관심을 끌기 위해 수컷 농게가 어떻게 행동하는 지 알아보기 위해 3D 프린터로 만든 로봇 게가 현장에 투입됐다고 과학전문매체 라이브사이언스, 인터레스팅엔지니어링이 최근 보도했다.</p> <p contents-hash="320d1f8462444a9aa81333653db6f6a765215355ded2c3cfbee5cc3050905892" dmcf-pid="Xgl9HbSgow" dmcf-ptype="general">영국 엑서터 대학 동물행동연구센터(CRAB) 등 공동 연구진은 ‘웨이비 데이브(Wavy Dave)’라는 이름의 로봇 게를 직접 제작했다. 이 로봇 게는 3D 프린터로 인쇄된 몸체와 흔들리는 발톱을 가지고 있다. 해당 연구 결과는 지난 6일 영국 왕립학회 회보 생물과학 B에 실렸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44076fcd08c6d8d4b158a37f256d2ecc7cf89afb78fd45fe0f164394ae1ddb0b" dmcf-pid="ZaS2XKvaa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로봇 게가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집게 발을 흔드는 모습 (사진=조 와일드)"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8/ZDNetKorea/20250808081528303sdtl.jpg" data-org-width="640" dmcf-mid="ZJXg2L7vN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8/ZDNetKorea/20250808081528303sdtl.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로봇 게가 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집게 발을 흔드는 모습 (사진=조 와일드)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1a8b30b8ffa99aaff507e3cd332b652f5961f04a30679715d47ccceea62ad46" dmcf-pid="5NvVZ9TNaE" dmcf-ptype="general">짝짓기 철이 되면 농게류 수컷들은 ‘나 좀 봐줘’ 하는 것처럼 큰 집게발을 위 아래로 흔들며 매력을 발산한다. 암컷 농게는 일반적으로 집게발이 크고 빠르게 흔드는 수컷을 선호한다. 수컷에 매력을 느낀 암컷 게는 수컷의 굴 속으로 함께 들어간다.</p> <p contents-hash="2bd0fc7cac711caec49862fdf79f1fe02bca1f9d6cb5ce2a2f80332b6848b644" dmcf-pid="1jTf52yjNk" dmcf-ptype="general">이번에 개발된 로봇 게는 농게들이 살고 있는 포르투갈 남부의 갯벌에 투입됐다. 로봇 게는 실제 수컷 농게처럼 집게 발을 휘두르도록 프로그램 돼 있어 연구진들은 로봇 게가 등장했을 때 실제 수컷 게가 어떤 반응을 보이는 지 관찰할 수 있었다.</p> <p contents-hash="65d7a09f2ef197747911bad10d390b0843b8c8be625524c6cf99399a0178ef4a" dmcf-pid="tAy41VWAkc" dmcf-ptype="general">해당 논문 제1저자 영국 스코트랜드에 위치한 BioSS 연구소 조 와일드 박사는 "많은 동물들이 근처에 경쟁자가 있으면 성적 과시 행동을 조절한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으나 실제 경쟁자의 과시 행동에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적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fb71e8960eb02302b7cd97d27c4d5faf7c00e6ca77a09e76682cb3b8f770361" dmcf-pid="FcW8tfYcj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수컷 농게의 모습 (사진=조 와일드)"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8/ZDNetKorea/20250808081529604nblm.jpg" data-org-width="640" dmcf-mid="5Mrf52yjjw"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8/ZDNetKorea/20250808081529604nbl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수컷 농게의 모습 (사진=조 와일드)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2793bd6a7b9303354967e31dc8cdc73defde9354b3761fe66a8f5bf3f4f1964" dmcf-pid="3KnYcyLKjj" dmcf-ptype="general">로봇 게는 실제 수컷 게가 모여있는 굴로부터 30cm 떨어진 곳에 배치했다. 그런 다음 카메라 두 대를 사용해 진짜 게들이 경쟁자 로봇 게가 나타났을 때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확인했다.</p> <p contents-hash="bea32fae82315da6390624d431ef6e3f9ba3cd565218118376c330789d5637ba" dmcf-pid="09LGkWo9jN" dmcf-ptype="general">웨이비 데이브가 집게발을 흔들자, 근처에 있던 수컷 농게들이 더 민첩하게 움직였고 수컷 게들은 발을 더 오랫동안 흔들었으며 굴 속으로 들어가는 경향도 적었다. 흥미롭게도, 이러한 반응은 로봇 게가 더 작은 발을 가졌을 때 특히 두드러졌다.</p> <p contents-hash="ce8460518b8dccf1e3754a2339f7ac6f0461d8f58fa591f010fac56d3d68c31d" dmcf-pid="p2oHEYg2ga" dmcf-ptype="general">와일드 박사는 "가게를 운영하고 있는데 경쟁사들이 너무 싸게 팔기 시작하면 사업 운영 방식을 바꿔야 할 수도 있다. 남성들이 여성을 유혹하려는 신호를 보내는 것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수컷 게들은 실제로 이런 경쟁에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552f1c1f0fb1eae9a44103de05e1f0ab72b43d54300c80a3a521f0030eae8cca" dmcf-pid="UVgXDGaVNg" dmcf-ptype="general">실제 게들은 로봇 경쟁자의 발이 더 클 경우 경쟁에 더 소극적으로 임했다. 이는 경쟁이 패배로 끝나거나 공격받을까 봐 두려워하기 때문일 수 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 수컷 게는 경쟁자의 행동에 따라 행동을 바꾸며, 성공 가능성이 더 높을 때 더 많은 힘을 쓰는 것으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78368e3c37209a7edcea4338be1ba1fe22fccb2bfb211ac6d8c793e7f8ba132a" dmcf-pid="ufaZwHNfoo" dmcf-ptype="general">하지만 모든 상호작용이 과학적이지는 않았다. 어떤 게들은 로봇 게와 당당히 맞섰다. 특히 사나운 수컷 게 하나가 로봇 게를 공격해 그의 발을 뽑아내면서 실험이 종료됐다.</p> <p contents-hash="4c5463985d45e14238e49c967923b8a9eecc3229297d8a0b9e3a72869548ce9c" dmcf-pid="74N5rXj4cL" dmcf-ptype="general">와일드는 "암컷 게들은 로봇 게가 좀 이상하다는 것을 알아챘고, 몇몇 수컷들은 그와 싸우려고 했다. 한 수컷이 웨이비 데이브의 발톱을 뽑아내어 쓰러뜨렸다. 우리는 그 실험을 포기하고 로봇을 재부팅해야 했다"라고 밝혔다.</p> <p contents-hash="e6ed1a777ba4ba58c2c4c73cbbc61767fc538db13fd5aa678b4bae45ca25fb4b" dmcf-pid="z8j1mZA8An" dmcf-ptype="general">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르세라핌 ‘HOT’, 스포티파이 누적 재생 수 1억 회..팀 통산 13번째 08-08 다음 ‘AVG’ 3.750’ 최성원, PBA 64강서 신들린 장타로 김준태 제압…김민아는 혈투 끝 김가영에게 승리 08-0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