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즈의 마법사가 이미 내다본 AI 세상?...무지개 너머 어딘가에, AI 너머 어딘가에 [손은정의 AI 너! 머?] 작성일 08-08 27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yV6e0rRCt"> <div contents-hash="4bcbdb61e7f1f28cfa4f7036c4a95993804eec9fc6c1036b9789501ca9d5a556" dmcf-pid="7WfPdpmel1" dmcf-ptype="general"> [손은정의 AI 너! 머?]는 인공지능(AI)를 넘어선 AI 너머의 이야기라는 코너다. AI가 일터, 가정, 교육, 문화 등 일상 전반에 끼치는 변화상을 심층 조명한다. 특히 미래를 바꾸는 기술이 아닌, 기술이 바꾸는 우리의 미래를 묻고자 한다.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ffa9db499777f23cd7b0746738d03bf5452dd7e9c922d3419e211dcc7d59820" dmcf-pid="zY4QJUsdC5"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gemini를 이용해 제작한 AI이미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8/mk/20250808133608597ztxs.png" data-org-width="700" dmcf-mid="pcMITL7vy3"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8/mk/20250808133608597ztxs.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gemini를 이용해 제작한 AI이미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6dcbe4c7a235816536e529e7ffb0653ded5932791edf97cb7e0c5066a32b6ebe" dmcf-pid="qG8xiuOJlZ" dmcf-ptype="general"> 인생에서 단 세권의 책만 꼽으라면 나는 주저없이 어린왕자,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그리고 오즈의 마법사를 꼽을 것이다. AI 시대를 생각하면서 나는 이 세권의 책이 고전인 이유가 작가들은 심지어 겪어보지도 못했을 이 AI 시대에도 반짝이는 영감을 주는 놀라운 작품이라는 것이다. 아니, 한편으로는 인간이라는 존재 자체가 반복되는 역사 속에서 같은 패턴으로 움직여오고 그것을 통찰력있게 담아낸 작품은 명작으로, 고전으로 언제나 인간 군상의 시대상을 잘 반영할 수 있다는 생각도 든다. </div> <p contents-hash="a3df0698d02c415a3dcb9ae3f91ade7b4094eae3f06056c3272742af981592bb" dmcf-pid="BT7b4HNfvX" dmcf-ptype="general">오즈의 마법사(원제 : The Wonderful Wizard of Oz)는 1900년 라이먼 프랭크 바움(L. Frank Baum) 이 쓴 판타지 아동 문학이다 어린 시절 누구나 접하는 동화책이자, 어른이 되어서도 뮤지컬이나 영화로서 모든 이에게 친숙하다. 캔사스 외딴 시골의 고아 소녀 도로시가 토네이도에 휘말려 마법의 나라 오즈에 도착하고 집으로 돌아가기 위해 마법사 오즈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마법과 모험 이야기이다. 사실 우리에게 가장 많이 알려진 이야기는 첫 이야기 ‘The Wonderful Wizard of the OZ’ (오즈의 마법사)이지만 실제로 이 후에도 여러 권의 시리즈물로 출간되었는데 원작자 프랭크 바움은 총14권을 썼고 13권과 14권은 그가 죽은 뒤에 출판되어 세상에 나왔다.</p> <p contents-hash="13e6e89aba7f0e518913afa7f155e5c4b997d699bb739afb93bb591698f71f82" dmcf-pid="byzK8Xj4lH" dmcf-ptype="general">스토리 자체로도 흥미있고 여러 가지 오락적 요소를 많이 가진 콘텐츠로서 오즈의 마법사는 우리에게 1939년 주디 갈란드가 주연한 영화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영화, 드라마의 소재였으며 인기 뮤지컬, 영화 위키드 (Wicked) 도 이 번외판으로 제작되었을 만큼 아직까지도 사랑받고 있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이 이야기가 단순히 재미적, 오락적 요소만 가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도 해석될 수 있음은 고전으로서 우리에게 많은 의미를 지닌다.</p> <p contents-hash="b1b235a157d07f90b325560bd42d478462468ee802bd351604d889827feaa165" dmcf-pid="KWq96ZA8lG" dmcf-ptype="general">이 작품은 당시 미국 사회의 금본위제 vs 은본위제 논쟁, 노동자와 농민의 고통, 권력자들의 위선을 풍자, 미국 국민의 자각과 연대를 통한 변화를 암시하는 작품으로도 해석된다. 흥미진진한 설정의 도로시와 허수아비, 양철나무꾼 그리고 겁쟁이 사자의 모험은 주류 권력에 맞서는 민초들의 저항을 상징한다고 분석된다. 이 작품에 대해 많은 분석들이 있지만 특히 헨리 리틀필드(Henry Littlefield)의 1964년에 제시한, 은본위제(bimetallism)와 포퓰리즘(Populism)을 중심으로 한 해석이 특히 인상 깊다. 그의 분석에서 노란 벽돌길은 당시 미국 정부가 고수했던 금본위제도를 의미하며, 도로시가 모험을 시작할 때 신었던, 모험의 시작점과 같았던 은색 구두는 금본위제에 맞서 농민과 노동자들이 주장했던 은본위제를 상징한다. 결국 도로시는 탁탁탁 은색구두의 뒷굽을 치며 고향으로 다시 돌아가게 되는데, 결국 그렇게도 찾던 마법, 전지전능한 대 마법사 오즈를 만나면 해결될 것 같았던 그녀의 소원은 그녀 자신이 이미 가지고 있었던 잠재력, 단지 알지 못했던 그녀 스스로의 문제 해결 능력이었다. 도로시가 고향으로 돌아가는 힘은 처음부터 그녀에게 있었든, 작가는 그 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 원동력은 결국 그 사회 구성원들. 평범한 시민 민중들에게 있음을 믿었다고 해석된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9f39a01c57b38fcd571b2362cbca3b278a7b280ec459bf31131a4cfff1de0aa" dmcf-pid="9YB2P5c6TY"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사진 출처=워너브라더스 홈페이지"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08/mk/20250808133609957qlum.jpg" data-org-width="637" dmcf-mid="UIacmQ5rTF"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08/mk/20250808133609957qlu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사진 출처=워너브라더스 홈페이지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495bc1da9fe378303e233013943909cd0eec27058f8f63f2e398fb1c5a8af126" dmcf-pid="2GbVQ1kPhW" dmcf-ptype="general"> 이러한 분석은 지금 AI 시대에도 멋지게 들어맞는다. 뇌가 없는 허수아비, 사랑할 수 없는 양철나무꾼, 겁쟁이 사자는 영혼없이 스마트폰 속에서 모든 답을 찾는 현대인, 감정도 사랑도 귀찮아지며 데이터화하고 있는 현대인, 자본에 한없이 비겁해지는 개인, 기업, 정부의 모습들은 아닐까? 누구도 AI 윤리 그리고 사회적 책임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는다. 혹시나 AI 패권 경쟁에서 질까봐 국가도, 기업도 용기를 내지 않는다. 겉은 사자지만 겁이 가득하다. </div> <p contents-hash="88735b7ba73656dfedff1480b7210cd66198f06acd88a4ac14d28173ab637d45" dmcf-pid="VHKfxtEQyy" dmcf-ptype="general">에메랄드 시티는 오즈 왕국의 중심 도시이며, 초록색 보석처럼 반짝이는 건축물로 가득한 도시라고 한다. 현재 GPU로 AI 시대의 모든 하드웨어의 핵심이 되는 AI 건축의 에메랄드 보석빛이 엔비디아 로고의 초록 색과 어울어진다. 노란 벽돌길. 오즈의 마법사에게 가는 길. 그 하나하나 벽돌이 쌓여서 그 긴 여정을 만드는 노란벽돌길은 마치 AI 세계로 인도하는 낱낱의, 하나하나의 데이터 같다. 동서남북 사방의 마녀들은 때로는 선하고, 때로는 악하다. 선과 악이란 자신의 지배체제와 확장을 위한 하나의 생존 방식이 결론으로 초래한 것들의 사후 판단일 뿐인지도 모른다. 동서남북의 사악하든 선하든 마법을 가진, 권력을 가진 네 마녀는 현재 AI의 판도를 장악하고 있는 구글, 메타, 오픈 AI 및 클라우드 인프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거대 기술기업들을 떠올린다.</p> <p contents-hash="b7aff967f1962252daee5533640e03c15c1957adda5ca80175a4846b0010a952" dmcf-pid="fX94MFDxvT" dmcf-ptype="general">그리고 가장 중요한 오즈 (OZ). 초지능.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전지전능한 마법사. 우리는 지금 AI를 오즈처럼 생각하고 벽돌길을 걷고 있는 것은 아닐까?</p> <p contents-hash="c9bee0242b300439b3489925230f2a80c238365df669b25feeade627ca12dcb2" dmcf-pid="4Z28R3wMyv" dmcf-ptype="general">열기구를 타고 우연히 오즈의 세계에 불시착한 한 인간일 뿐인 오즈. AI는 어쩌면 신비롭고 전능한 존재라기보다다 실제로는 인간이 만든 데이터를 밟고 깔고 걸어간 알고리즘일 뿐이며, 그것을 어떻게 사용하는가, 누가 조작하는가가 중요한 것 아닐까?</p> <p contents-hash="7d0972b8c98d16147dfaa5086d0ac5e2b5e2637d1216d1ca60df81a9640cdfa0" dmcf-pid="8GbVQ1kPTS" dmcf-ptype="general">아직도 나는 동화책 속의, 만화 속의 도로시가 오즈를 처음 만나는 장면과 그 느낌을 기억한다. 나 역시 도로시와 그 친구들과 함께 글자를 따라가며 노란 벽돌길을 따라 모험하며 오즈는 어떤 사람일까? 너무나 궁금했던 그 기억. 그 클라이막스 장면에서 넷은 모두 서로 다른 오즈를 만난다.</p> <p contents-hash="c983fa17f15ab1efe959ce34b70d71fd1f18590485b04c21f3337bb7263dcda1" dmcf-pid="6HKfxtEQhl" dmcf-ptype="general">도로시가 알현한 오즈는 공중에 떠 있는 거대한 머리였고, 눈이 번쩍이며 무시무시하게 생긴 거대하고 실체 없는 얼굴이었다. 그 목소리는 깊고 쩌렁쩌렁 울려 퍼지는 듯한 인위적인 소리로 지금 생각해보면 AI를 떠올리게 할 만큼 완벽하다. 마치 작가 프랭크 바움은 지금 인공지능을 상상하고 이 책을 쓴 것 같은 느낌마저 든다.</p> <p contents-hash="815773ab5ab5f589a30f281254223737a453f4f5082154550f610f3fcb402848" dmcf-pid="PX94MFDxyh" dmcf-ptype="general">이 책의 결론은 우리가 아는대로 오즈는 도로시에게 답을 주지 못하고, 도로시는 스스로 자신이 신고 있던 은색구두의 뒷굽을 세번 치면서 다시 고향집으로 돌아온다. 허수아비는 지혜를, 양철로봇은 심장을, 사자는 용기를 얻지만 그 방법도 다 자신의 믿음에서 근거한 말도 안되는 솔루션이었다. 결국 우리가 바라는 지혜도 사랑도 용기도 결국은 우리 안에 있는 것을 믿고 끄집어 내는 것이 아닐까? 도로시의 소원은 결국 도로시가 처음부터 갖고 있었다. 그러나 그 노란 벽돌길을 따르는 여행이 의미 없었을까? 그렇지 않을 것이다. 노란 벽돌길을 따라 에메랄드 시티를 걷는 그 길을, 그 여정을 통해 도로시도 네 친구도 원했던 것에 다다르는 능력(Capability)과 협업 (Collaboration) 을 배웠다. 그로 인해 결국 그들은 원하는 것을 찾았다. 우리가 인공지능에 이르는 길은 결국 이러한 과정으로서의 인간 기술과 역사의 여정인 것이다.</p> <p contents-hash="1ff5ee3db212a7891cd3f12a63f0a0fab0d0009370721fdedac6cd38094c2298" dmcf-pid="QZ28R3wMWC" dmcf-ptype="general">무지개 저 너머의 세계, AI 저 너머의 세계</p> <p contents-hash="f1de73efb609871ed27493e2d5a218f15e4faeb511e986c258ee1b74116f40d0" dmcf-pid="x5V6e0rRyI" dmcf-ptype="general">우리는 알 수 없다. 그러나 걸어가야 하는 것은 확실해 보인다.</p> <p contents-hash="e9aaacc49faefb2d707255267f2caeae6cb60ab446dc0c5f1a3519aada3eabc3" dmcf-pid="ynISGNbYyO" dmcf-ptype="general">더 중요한 것은 그 길은 만들어진 길이 아니라, 만들면서 걸어가는 것이라는 것이다.</p> <p contents-hash="f575247a9346272f3d37e49e8d94b1b80f805ac17b1313874f5faba85fc7a8bb" dmcf-pid="WLCvHjKGCs" dmcf-ptype="general">[손은정 공학박사, 인문공학커뮤니케이터, 작가]</p> <p contents-hash="ad2b495ee3072ffe4dab8ebee297e438cfbbaa946fe6957eec707a0de3df4d4a" dmcf-pid="YohTXA9Hym" dmcf-ptype="general">글쓴이는 공학박사이자 작가, 설치미술가로서 글로벌 빅테크, 대기업 등에서 20여 년 이상 근무하면서 기술과 인간의 삶의 점들을 연결하는 것에 의미를 찾고 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쵸비' 정지훈 "경기 결과는 담담하게, 성장과 준비에 더 집중"[인터뷰] 08-08 다음 이집트 남자 U19 핸드볼, 바레인 꺾고 2연승…메인 라운드 진출 확정 08-08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