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사이버 보안 연구 세계 최고..KAIST 참여 ‘팀 애틀랜타’, 美 DARPA 챌린지 석권 작성일 08-10 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삼성리서치·POSTECH·조지아공대와 연합<br>AI 기반 자율 보안기술로 세계 정상 등극<br>상금 55억 원 쾌거</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41gcV9TNmm"> <p contents-hash="c642717eae3220dd57e4c411773aa767501e9a4c4996e592c5b35633658422e8" dmcf-pid="8takf2yjIr"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KAIST(총장 이광형)는 전기및전자공학부 윤인수 교수 연구팀이 삼성리서치, POSTECH, 조지아공과대학교와 함께 구성한 ‘팀 애틀랜타(Team Atlanta)’가 미국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 주관 ‘AI 사이버 챌린지(AIxCC)’에서 최종 우승을 차지했다고 9일 밝혔다. </p> <p contents-hash="719789839b4b411a460cd5152d77dfddab363a7bfc0ec29f720c408fb3431378" dmcf-pid="6FNE4VWAIw" dmcf-ptype="general">결선은 8일(현지 시각)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세계 최대 해킹 콘퍼런스 ‘DEF CON 33’에서 진행됐다.</p> <p contents-hash="a584aca6c9ff1835b341ee30ff87af217244ca794a58521038791ecb9b241f8e" dmcf-pid="P3jD8fYcrD" dmcf-ptype="general">이번 우승으로 팀은 미화 400만 달러(약 55억 원)의 상금을 확보했다. KAIST는 이번 성과로 자율 사이버 방어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AI 기술력과 연구 역량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74057fc0b99ef153745f28c93b1e6cb8727a8a7fdfad0d26edd6d10d4cebe8f" dmcf-pid="Q0Aw64GkI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우승 기념 촬영, 왼쪽 오른쪽은 대회 관계자, 두번ㅤㅉㅒㅤ 부터 김태수 교수 (Samsung Research / Georgia Tech), 한형석 연구원 (Samsung Research America), 윤인수 교수 (KAIST)"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daily/20250810083138574sjhy.jpg" data-org-width="670" dmcf-mid="9BG6ZHNfDC"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daily/20250810083138574sjh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우승 기념 촬영, 왼쪽 오른쪽은 대회 관계자, 두번ㅤㅉㅒㅤ 부터 김태수 교수 (Samsung Research / Georgia Tech), 한형석 연구원 (Samsung Research America), 윤인수 교수 (KAIST)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868321c93b1b4b8775cb04da44c837cdadaf1f240581af7e206911d7477257c" dmcf-pid="xpcrP8HEEk"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팀 아틀란타 단체 사진"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daily/20250810083139894ceje.jpg" data-org-width="670" dmcf-mid="23nWgL7vI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daily/20250810083139894ceje.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팀 아틀란타 단체 사진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9d525ead5797172a84927b6e0ae7c51ce079abf9123bceb863b91edd642079b0" dmcf-pid="yOfQ1ZA8Ic" dmcf-ptype="general"> AI 사이버 챌린지는 DARPA와 미국 보건첨단연구계획국(ARPA-H)이 공동 주관하는 2년간의 글로벌 경연이다. AI 기반 사이버 추론 시스템(CRS)을 활용해 소프트웨어 취약점을 자동 분석·탐지·수정하는 능력을 겨룬다. 총상금 규모는 2950만 달러에 달한다. </div> <p contents-hash="bf04a4423e096619a48c1a020aa6634f669624edfe227862777dcffe06954b9f" dmcf-pid="WI4xt5c6mA" dmcf-ptype="general">결선에서 팀 애틀랜타는 392.76점을 기록, 2위 팀과 170점 이상 격차를 벌리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대회에서 개발한 CRS는 70개의 인위적 취약점 중 다수를 실시간 탐지·패치했으며, 알려지지 않은 실제 취약점 18건을 추가 발견해 AI 보안기술의 잠재력을 입증했다.</p> <p contents-hash="c5cb0baac88badb9b08e9bc75a427abe6a8e93f9eb36cb0007d0320b690b2b3f" dmcf-pid="YC8MF1kPOj" dmcf-ptype="general">DARPA는 우승팀을 포함한 모든 CRS 기술을 오픈소스로 공개할 예정이며, 이를 병원·수도·전력 등 주요 인프라 보안 강화에 활용할 계획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9629fc5b6d02fa60cdb6d0296b3b1e565ba7ae4c4855ea37e53c86e7b96babc" dmcf-pid="Gh6R3tEQD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최종 결과 스코어 보드 (170점 이상으로 압도적으로 우승)"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daily/20250810083141558vjfp.jpg" data-org-width="670" dmcf-mid="Vc2E4VWAwO"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daily/20250810083141558vjfp.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최종 결과 스코어 보드 (170점 이상으로 압도적으로 우승) </figcaption> </figur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9f853136d859814f5347d114a5ff4c82d9c628a1dbe830ea8ad31bd0832b607" dmcf-pid="HlPe0FDxw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결과 발표 장면"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daily/20250810083142869agnz.jpg" data-org-width="670" dmcf-mid="fislJe3Im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daily/20250810083142869agnz.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결과 발표 장면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1a9b6c705fa58204d91be6307b69ebd642e9629099a029c4337b742d548ce080" dmcf-pid="XSQdp3wMsg" dmcf-ptype="general"> 윤인수 교수는 “이번 성과는 한국의 사이버 보안 연구가 세계 최고 수준에 도달했음을 보여주는 쾌거”라며 “AI와 보안기술의 융합을 통해 국가와 글로벌 사회의 디지털 안전을 지키는 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div> <p contents-hash="a800e5b08d6e00766ca72458c167b7afb700c7d84a70338f2a2a0b588226f609" dmcf-pid="ZvxJU0rRDo" dmcf-ptype="general">이광형 KAIST 총장은 “KAIST가 미래 사이버 보안과 AI 융합 분야에서 세계를 선도하고 있음을 입증한 사례”라며 “연구진이 국제무대에서 성과를 내도록 전폭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p> <p contents-hash="70cda5adf8f997f4fe9dd901ff71bfc405218dbfb1de068050a461259770ac01" dmcf-pid="5TMiupmeIL"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추성훈, 또 곽튜브 긁었다.."센스 없음"('밥값은 해야지')[종합] 08-10 다음 이진욱 정채연 ‘에스콰이어’ 자체최고 시청률 기록…수도권 최고 8%까지 08-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