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T ““中, 트럼프 행정부에 HBM 수출규제 완화 요구” 작성일 08-10 6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7OapGQ5rw2">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2f161917e403205dc17669eb21b86ebcdbd13e1b5360ead4b6b627b192f5c0f" dmcf-pid="zINUHx1mI9"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timesi/20250810161839125svhm.jpg" data-org-width="700" dmcf-mid="uE9IAFDxwV"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0/etimesi/20250810161839125svh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a98c6e5123eacfeaa52b8a3d4b0ed1f4232d34814a479ff8c5a6b410d7f02d5" dmcf-pid="qCjuXMtswK" dmcf-ptype="general">중국이 인공지능(AI) 메모리로 꼽히는 '고대역폭메모리(HBM)' 수출 통제 완화를 미국에 요구했다는 보도가 나왔다.</p> <p contents-hash="6121f9cf8da47c855b403447cd3206d3ad9f74f8296b363dc58820beeca3433a" dmcf-pid="BhA7ZRFOwb" dmcf-ptype="general">파이낸셜타임스(FT)는 9일(현지시간) 허리펑 중국 부총리와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과의 무역협상에서 중국이 HBM 수출 제한을 완화해달라는 요구를 전달했다고 보도했다.</p> <p contents-hash="6785eaa50a054320683b4616e78a224ea315e0ab59f34a4809567ddf3802bffd" dmcf-pid="blcz5e3IwB" dmcf-ptype="general">HBM은 인공지능(AI) 반도체 칩에 쓰이는 메모리로, 미국은 조 바이든 행정부인 지난해부터 HBM의 중국 수출을 금지했다. HBM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중국은 AI 반도체 칩 개발에도 상당한 제한을 받는 것으로 전해진다.</p> <p contents-hash="8f20744e49646b5e72dddddd2034b9d3d3e8f3db8266fa56446a91f76f7d4af2" dmcf-pid="KSkq1d0Csq" dmcf-ptype="general">미국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AI 전문가 그레고리 엘런은 “HBM은 첨단 AI 칩 제조에 필수적”이라며 “칩 가치의 절반을 차지하는 것이 HBM”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23283dd0caf279c3d929b8c07cdf69328ff342ceb1a928f587fb01b8b07b7467" dmcf-pid="9vEBtJphIz" dmcf-ptype="general">미국 정가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 HBM 수출규제 완화 요구를 수용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트럼프 대통령이 주고받기식 무역 협상에서 HBM 규제를 양보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다.</p> <p contents-hash="a4b064970143718669ca8ab65d81bc3edaea3eddc21aebdc5296544047e975ee" dmcf-pid="2TDbFiUlw7" dmcf-ptype="general">권동준 기자 djkwon@etnews.com</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나노 혁신, 미래를 설계하다]〈1〉제이오, CNT로 배터리·반도체 혁신 이룬다 08-10 다음 ‘35살’ 크레용팝 웨이, 난자 냉동 마쳤다..“‘자궁경부암 투병’ 초아 보며 영향” (웨이랜드) 08-10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