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례 유찰 ‘국가 AI 컴퓨팅센터’…기업 유리한 공모안 짠다 작성일 08-12 13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bozn0rRSQ"> <div contents-hash="c93fb497ca7dab5c771747b02e2f9a042772f97ac5088de80974fc857bd131e4" dmcf-pid="WKgqLpmehP" dmcf-ptype="general"> ━ <br> <p> 정부, 독소조항 대폭 완화 </p> <br> 정부가 두 차례 유찰된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을 재추진하면서 민간 기업 참여에 걸림돌로 작용했던 주요 독소 조항들을 대폭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div> <p contents-hash="35175b0762a282cde09e101d5298bd1d9fdbb0fe4c36a29862b612ef7b9ce8d2" dmcf-pid="Y9aBoUsdy6" dmcf-ptype="general">11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정보통신기술(ICT)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르면 이달 말 공개를 목표로 국가 인공지능(AI) 컴퓨팅 센터 구축 사업의 공모 요건 조정안을 마련하고 있다. 지난 5월과 6월 두 차례 진행한 공모에서 지원한 사업자가 단 한 곳도 없었던 탓이다. 과기정통부 고위 관계자는 “최대한 빠르게 재공고를 내기 위해 관계 기관 등과 속도감 있게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216b15c1d4e061c03a7e80b0e2cdbec4807bcec334f335a2a7d0a7894619efe5" dmcf-pid="G2NbguOJy8" dmcf-ptype="general">국가 AI 컴퓨팅센터 구축 사업은 민관 합작으로 첨단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집적한 AI 데이터센터를 짓고, 이를 통해 국내 기업·기관의 AI 개발과 활용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지원 규모는 총 2조5000억원으로, 2027년까지 비수도권에 1엑사플롭스(EF·1초에 100경 번의 소수점을 포함한 복잡한 연산 처리 가능) 능력을 갖춘 AI 컴퓨팅 센터를 짓는 게 목표다. </p> <p contents-hash="dd661b671f4239978de5451df04afb4b8af927140dea8bfad796d113f1651eea" dmcf-pid="HFQ56Yg2W4" dmcf-ptype="general">정부는 기존 공모안에서 유찰 원인으로 지목되는 세 가지 조항의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 우선 사업을 추진하는 민관합동 특수목적법인(SPC)의 지분 구조를 민간이 더 많이 갖도록 수정할 방침이다. 기존안은 공공이 51%, 민간이 49%의 비율로 총 4000억원을 출자하는 것으로 돼 있었다. 사업 참여를 검토했던 기업들 사이에서는 2000억원이나 출자해야 하는데도, 정부가 SPC 지분의 과반을 가져가 사업의 자율성을 방해받을 것이란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p> <p contents-hash="16fe5e465b091a26eef96caf9350402495209ed2c1a9054420b792382b4571cf" dmcf-pid="X3x1PGaVTf" dmcf-ptype="general">정부가 원할 때 공공 지분을 민간 사업자가 다시 사들여야 하는 매수 청구권(바이백) 조항도 조정 대상이다. 공모 참여를 검토했던 ICT 업계 한 관계자는 “대규모 AI 인프라를 구축하고도 수요처를 확보하지 못할 리스크가 큰 프로젝트인데다 사업이 부진하면 리스크까지 떠안아야 해 기존 공모 요건에선 사업성이 매우 부족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939624fd22816ff76daa4ffd5f2c0b24a56e513397d7e81e124fb83a2e5ae8d1" dmcf-pid="Z0MtQHNfyV" dmcf-ptype="general">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를 2030년까지 컴퓨팅 센터 구성 반도체의 최대 50%로 확충해야 하는 의무도 삭제하거나 완화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별도 예산을 편성해 국산 AI 반도체를 구입하거나 컴퓨팅 센터 사업자가 국산 신경망처리장치(NPU) 이용 목표를 달성할 경우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한 IT서비스 업체 관계자는 “비현실적인 사업 구조가 바뀌면 참여 유인이 생길 것”이라며 “다만 사업성을 더 높이려면 수요처 확보와 사업비 지원 등 정책 지원을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p> <p contents-hash="435fa24da5cc6923717da2d2b7186a54da2bf94c2a5bd618eec056a84286e2cf" dmcf-pid="5pRFxXj4l2" dmcf-ptype="general">강광우·어환희 기자 kang.kwangwoo@joongang.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중앙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TF프리즘] 코르티스·아이딧·'보플2'…더 강력한 '신인 남돌 러시' 08-12 다음 [TVis] ‘신혼’ 정은혜♥조영남. 2세 고민 “혹시 장애로 태어날까봐…” (동상이몽2) 08-1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