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막검사가 저절로” 신기하네…KAIST, 세계 최초 ‘OLED 무선 콘택트렌즈’ 개발 작성일 08-12 2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 KAIST-서울대분당병원-POSTECH-(주)PHI바이오메드-ETRI <br>- 머리카락보다 6~8배 얇은 OLED 탑재 무선 콘택트렌즈 개발</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SibGsQ01e">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6c409e8619b0be964b4ce3c4d4dcc2d81d44ca76d057ac45919fed814a70c7b" dmcf-pid="1vnKHOxp5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OLED 컨택트렌즈를 개발한 유승협(왼쪽) KAIST 교수와 심지훈 박사.[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2/ned/20250812082419591npxw.png" data-org-width="906" dmcf-mid="HgibGsQ0Gi"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2/ned/20250812082419591npxw.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OLED 컨택트렌즈를 개발한 유승협(왼쪽) KAIST 교수와 심지훈 박사.[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afa7a53cfe19201003f79ea742d906ad022b11e1732ac5b68f772a0601ee9451" dmcf-pid="tTL9XIMUHM"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어두운 공간에 고정형 장비를 이용했던 기존 망막 진단 방식을 대체할 ‘초박막 OLED’를 탑재한 무선으로 구동되는 차세대 안과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p> <p contents-hash="68580ebb4e0292dece49475ec521c3b2b450f87b3bb0cdb01c3440d7f5e5387f" dmcf-pid="Fyo2ZCRuGx" dmcf-ptype="general">KAIST는 전기및 전자공학부 유승협 교수 연구팀이 서울대분당병원 우세준 교수, POSTECH 한세광 교수, ㈜PHI 바이오메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활용한 세계 최초 무선 콘택트렌즈 기반 웨어러블 망막 진단 플랫폼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p> <p contents-hash="cfb840dccbac9550ce9111f3ede1c293de730612718ed6368557938995ac15ad" dmcf-pid="3WgV5he7ZQ" dmcf-ptype="general">이 기술은 큰 특수 광원 설치 없이 렌즈 착용만으로도 망막전위검사를 수행할 수 있어, 기존 복잡한 안과 진단 환경을 획기적으로 간소화할 수 있다.</p> <p contents-hash="c937e60101367a5120f2ddfcd508a790e948863368dc5411e3b5bae5cd132b2b" dmcf-pid="0Yaf1ldz5P" dmcf-ptype="general">기존 ERG는 고정형 Ganzfeld(대형 망막전위도(ERG) 검사기) 장비를 이용해 어두운 방 안에서 환자가 눈을 뜨고 정지한 상태로 검사를 받아야만 했다. 이는 공간적 제약뿐 아니라 환자 피로도와 협조도의 문제를 수반했다.</p> <p contents-hash="957a60b1794317a4328e9184b90757df016a08f78c1fa49e5d3cfd5bea2000dc" dmcf-pid="pGN4tSJq56" dmcf-ptype="general">공동 연구팀은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머리카락보다 6~8배 얇은 초박막 유연 OLED(두께 약 12.5 μm)를 ERG용 콘택트렌즈 전극에 집적하고, 무선 전력 수신 안테나와 제어 칩을 함께 탑재해 독립 구동이 가능한 시스템을 완성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d1a6392ede2a28dabd2c71775c8cddca621a53aa731f18e2259a9a04bf706a5" dmcf-pid="U8XwRKvaY8"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OLED 컨택트렌즈 샘플.[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2/ned/20250812082419834rdzr.jpg" data-org-width="1280" dmcf-mid="XyplgPZwXJ"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2/ned/20250812082419834rdz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OLED 컨택트렌즈 샘플.[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bda05cb7f5d0dc8b06961a5713db165c0c7d07980923666cd945c4ea86d12f7" dmcf-pid="u6Zre9TN14" dmcf-ptype="general">기존 빛을 눈에 쏘이도록 개발되고 있는 스마트 콘택트렌즈형 광원은 대부분 무기 LED를 활용했으나, 딱딱한 형태의‘무기 LED’는 점광원(한 점에서 너무 강하게 빛이 나옴) 특성으로 인해 열 집적 문제에 취약하므로, 사용 가능한 광량에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p> <p contents-hash="d2e30a55a6b1f673aea24b09bb9e1c93f314b416cd498a8e6e25f9b04e656cc0" dmcf-pid="7P5md2yj5f" dmcf-ptype="general">이에 반해 OLED는 면광원으로, 넓고 균일한 조사가 가능하며, 저휘도 조건에서도 충분한 망막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실제 이번 연구에서는 비교적 낮은 밝기의 126니트(nit)의 휘도 조건에서도 안정적인 ERG 신호를 유도, 기존 상용 광원과 동등한 수준의 진단 신호를 확보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f344703c9e7400185fba1610c3c2a96a493f4ac0442af76a85314e543fdc145" dmcf-pid="zQ1sJVWAt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OLED 컨택트렌즈의 무선구동 모습.[KAIST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2/ned/20250812082420068vyib.jpg" data-org-width="1200" dmcf-mid="Zt4tOaBWH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2/ned/20250812082420068vyib.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OLED 컨택트렌즈의 무선구동 모습.[KAIST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684c84926da4112e8cf80833a853bedb3dc7a574ea3e93edcf6121b9082f24b" dmcf-pid="qxtOifYcH2" dmcf-ptype="general">동물실험 결과, OLED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토끼의 눈에서 표면 온도가 27°C 이하로 유지돼 눈을 덮고 있는 각막에 열로 인한 손상을 주지 않았고,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도 빛을 내는 성능이 유지됨으로써 실제 임상 환경에서도 유효하고 안정적인 ERG 검사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p> <p contents-hash="55879f37b0c920998c75f4f7485b81cdc756232cad523a42ea0938698651bf62" dmcf-pid="BMFIn4GkY9" dmcf-ptype="general">유승협 교수는 “초박막 OLED의 유연성과 확산광 특성을 콘택트렌즈에 접목한 것은 세계 최초의 시도이며, 이번 연구는 기존 스마트 콘택트렌즈 기술을, 빛을 이용한 접안형 광 진단·치료 플랫폼으로 확장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며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확대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밝혔다.</p> <p contents-hash="d82177a76094a7a0534c9aed6804ec93123d2e7151f30624ecd542166f4f6886" dmcf-pid="bR3CL8HEGK" dmcf-ptype="general">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에이시에스 나노(ACS Nano)’에 게재됐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트럼프가 만든 AI, 트럼트 정책엔 “이해상충” 최고 대통령엔 “오바마” 08-12 다음 원티드랩, 외국인 채용 지원 본격 나선다 08-12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