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산단 이주민 지원해달라”···이상일 시장, 경제부총리에 서한문 전달 작성일 08-13 11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이동·남사 국가산단 10월 보상<br>원할한 이주와 보상 위해선<br>이주민 실질적 지원 필요<br>‘저금리 정책자금 지원책’,<br>‘소득세법 시행령’ 개정 제안</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tuH2KRFOW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6a4bb17861d2a3ba2c3efd4ffdb6ef8594a5b4d426268c9d9061907e45c9746" dmcf-pid="F7XV9e3IT0"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이상일 용인시장. <사진=용인시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mk/20250813151509674snhk.jpg" data-org-width="700" dmcf-mid="1Xt64nuSy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mk/20250813151509674snhk.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이상일 용인시장. <사진=용인시 제공>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d92d81f5cefcd7f561100149178db9bc4b6e0b0bfd8d47745eaec0c148b697e3" dmcf-pid="3zZf2d0CC3" dmcf-ptype="general"> 이상일 용인특례시장이 13일 구윤철 경제부총리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 조성 과정에서 이주하는 주민과 기업인을 위한 정책지원을 요청하는 내용의 서한문을 보냈다. </div> <p contents-hash="f0a3f2ed924be64f701d39d8de7e5f86d3bbc797f1d884f7a6315d96bd06ee32" dmcf-pid="0q54VJphhF" dmcf-ptype="general">이 시장은 서한문에서 “용인특례시는 처인구 이동·남사읍 일원에 진행 중인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의 성공적 조성을 위해서는 토지와 주택, 공장이 수용될 지역 주민·기업의 협조가 필수적”이라며 “하지만 국가산업단지에 토지를 수용당하는 농민들은 지가 상승으로 주변 지역에 대체농지를 구할 수 없어 농사를 포기하거나 먼 곳으로 이주해야 하는 현실에 처해 있고, 기업들도 공사비 증가와 인허가 절차 등으로 경영상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강조했다.</p> <p contents-hash="4089e9588c0acf571a897e5aa82841c8874edabe09e165a07d221f29c412e265" dmcf-pid="pB18fiUlSt" dmcf-ptype="general">이 시장은 “손실보상금만으로는 이주단지 분양대금과 이주자금을 충당하기 어렵고, 고령의 농업인과 영세상공인의 경우 보유한 자금도 여유롭지 않아 이들의 원활한 이주정착을 위해서는 실질적인 자금 지원책이 뒷받침돼야 한다”며 “이주민과 이주기업에 대한 ‘저금리 정책자금 지원’이 절실하다”고 주장했다.</p> <p contents-hash="8fdeadd744404313b24dd1d2f5012f8cffbc9197d92e4231e80f4572edc43a2f" dmcf-pid="Ubt64nuSW1" dmcf-ptype="general">이 시장은 주택 부수토지 비과세 적용기준도 변경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현재 1세대 1주택의 경우 토지보상에 따라 주택에 포함된 부수토지는 용도지역에 따라 건물 바닥면적의 일정 배율에 대해 비과세 적용을 받고 있다.</p> <p contents-hash="c3ded616af675209d7657f47341f8e0384341ded695f647f1dc61c195731adf4" dmcf-pid="uKFP8L7vl5" dmcf-ptype="general">그러나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에 수용될 토지는 산업단지계획 승인에 따른 용도지역 변경으로 양도소득세 비과세 적용 부수토지 범위가 축소되는 문제가 있다.</p> <p contents-hash="ea0cde1628a6dcacea653cbb7431e9674a2ace3251338fc54e30f968cc7d1fca" dmcf-pid="793Q6ozThZ" dmcf-ptype="general">이에 따라 토지보상가는 변경 전 용도지역으로 평가하는 반면 비과세 부수토지 면적은 용도 변경 후 축소된 기준이 적용되는 만큼 토지수용 대상자들은 양도소득세 증가에 따른 소득세 비과세 기준의 불합리성과 세 부담 증가를 우려하고 있다.</p> <p contents-hash="c7b3d0d41daa55f2abff6b39597d1a2888ba889673efbf8823d260dc043113ab" dmcf-pid="zfURxNbYlX" dmcf-ptype="general">이 시장은 비자발적인 토지수용으로 고향을 떠나야 하는 이주민이 과세부담까지 떠안는 문제를 해결하려면 기존 용도지역 기준을 적용해 부수토지 면적을 산정할 수 있도록 ‘소득세법 시행령’을 개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p> <p contents-hash="a6d93250431be36b6dc5d5e85562d8a5e87483e4ca4ba909bf28986feb443bf7" dmcf-pid="q4ueMjKGTH" dmcf-ptype="general">이 시장은 ‘저금리 정책자금 지원’과 ‘소득세법 시행령’ 개정은 이주민의 생계안정에 도움을 주고, 이주기업의 재정착에도 보탬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올해 10월부터 보상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는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의 보상 과정에서 지역주민과 이주기업의 협조를 얻을 수 있는 중요한 제도적 기반이 될 것이라고 이 시장은 덧붙였다.</p> <p contents-hash="f3e4b0dc5fc06bd7864a9c14c40c3c28da36ccda421ed419915f12fd9e724d22" dmcf-pid="B87dRA9HSG" dmcf-ptype="general">이 시장은 “미국과 중국, 유럽, 일본, 대만 등의 국가와 반도체 패권 경쟁을 하는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의 초격차 기술력을 유지하려면 ‘용인 첨단시스템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업단지’ 조성에 속도를 내야 한다”면서 “반도체 산업에서는 시간이 곧 보조금이므로 국가산단의 신속한 조성을 위해 이주민의 생계안정과 기업의 조속한 재정착에 현실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정책지원과 법 개정이 이뤄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b1237c58afae10f7ed7df005ea5a69a1b8caac5d227a61601f19872a9593ef1c" dmcf-pid="b6zJec2XWY" dmcf-ptype="general">이동·남사읍 778만㎡(약 235만 평)에 삼성전자가 360조원을 투자해 조성하는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는 현재 보상 공고 단계에 들어가 있으며, 부지 착공은 내년을 목표로 한다. 이를 포함해 용인특례시에는 세곳에서 반도체 메가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SK하이닉스가 원삼면 415만㎡(126만 평)에 122조원을 투자하는 반도체 클러스터, 삼성전자가 기흥캠퍼스에 20조를 투입해 미래 연구단지로 탈바꿈시키는 사업이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되고 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아태 지역 게이밍 침해사고 위협↑…"한국도 영향권" 08-13 다음 ETRI, 2030년까지 과학 논문 매일쓰는 소버린 AI모델 개발 08-1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