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호 100대 사건]〈79〉평창동계올림픽 개최 작성일 08-13 14 목록 <span class="end_photo_org"><img src="https://imgnews.pstatic.net/image/030/2025/08/13/0003340670_001_20250813160115058.jpg" alt="" /><em class="img_desc">KT가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세계 최초로 5세대(G) 통신 서비스를 시범 실시했다. 강원도 평창동계올림픽 경기장에서 KT 직원이 5G 통신시스템을 점검하는 모습.</em></span><br>2018년 2월 9일, 성화 최종주자 '피겨 여왕' 김연아가 성화대에 불꽃을 옮기며 '2018 평창올림픽'의 막이 올랐다. '새로운 지평(New Horizons)'이라는 비전을 담고 강원도 평창 평화 올림픽 스타디움에서 개회식과 함께 17일간 대장정이 시작됐다.<br><br>평창은 2번의 실패를 딛고 3번째 도전 끝에 동계올림픽 유치에 성공했다. 1999년 첫 도전에는 캐나다 밴쿠버에 밀렸고, 두 번째 도전에서는 러시아 소치에 역전패하며 유치권 획득에 실패했다. 12년간 2번의 실패와 3번의 도전 끝의 유치에 성공한 평창을 두고 외신들은 “끈질긴 도전이 꿈을 이뤘다”고 평가했다. 정부의 뒷받침과 삼성을 비롯한 한화, 대한항공 등 기업의 적극적인 유치활동, 탄탄히 준비한 경기시설과 인프라가 유치 성공 요인으로 꼽혔다.<br><br>한국은 당시 대회에서 금메달 5개를 포함해 메달 17개로 역대 동계올림픽 최다 메달을 수확하며 종합순위 7위에 올랐다. 선수들 활약에 컬링과 봅슬레이 등 비인기종목까지 주목받으며 전 국민이 올림픽 열풍에 동참했다.<br><br>평창올림픽은 문화·환경·경제·ICT·평화 올림픽을 5대 목표로 내세웠다. 올림픽 준비 기간 동안 경기장 13곳 중 6곳은 신축, 7곳은 개보수됐고, 원주~강릉 고속철도, 제2영동고속도로 등 대규모 교통 인프라가 완공돼 접근성을 높였다. 세계 최초 지상파 초고화질(UHD) 중계방송을 구현했고, KT는 올림픽기간 세계 최초로 5세대(5G) 이동통신 시범서비스를 선보이며 국내 인프라와 기술력을 전 세계에 알렸다.<br><br> 관련자료 이전 국기원, 독립운동가 일대기 담은 태권도공연 '광복' 제작 08-13 다음 '극장판 체인소 맨:레제편' 日 이어 9월 韓 개봉…메인포스터 공개 08-1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