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찮아서 못 한다” 꿉꿉한 빨래, 주말까지 방치했는데…뜻밖의 ‘장점’ 드러났다 [지구, 뭐래?-Pick] 작성일 08-13 35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5WHAzMtsZ0"> <div contents-hash="1e34ff3831c61c4e21ad3335824f5d6ed67dd2ed755f671ce7703b3646ecc1ac" dmcf-pid="1YXcqRFOX3" dmcf-ptype="general">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지구의 선택 <픽(Pick)> <br> <br>기후변화에 맞선다는 것. 때로는 막연하게 느껴집니다. 하지만 환경을 위한 작은 노력. 티끌같은 실천들이 모여 태산같은 변화를 이끌어냅니다. 정말 소소한 일상 속, 내 선택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비교해 드립니다. 궁금한 탄소배출량이 있다면, 언제든 문의해주세요! </div>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d6bc2ae847affda2dbf7646dc159358345e356a840ff2191d81d74eaedda8fd3" dmcf-pid="tGZkBe3IYF"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세탁 바구니에 쌓인 빨래 더미.[독자 제공]"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7634ivwd.jpg" data-org-width="1280" dmcf-mid="QeUI8aBWX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7634ivwd.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세탁 바구니에 쌓인 빨래 더미.[독자 제공]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55530e5d4a230d621793a66cd01ae3bfcb5fdb18684f892cffde5dfba027e29" dmcf-pid="FH5Ebd0C1t"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김광우 기자]<strong> “귀찮아서 묵혀둔 빨래, 오히려 좋다?”</strong></p> <p contents-hash="a3b99f2f0aa2ff2bf0a799b1351640b437ee22dc8e39cd51bfd013274bce26d4" dmcf-pid="3X1DKJpht1" dmcf-ptype="general">폭염과 폭우가 반복되는 극한의 날씨. 순식간에 쌓이는 빨래더미는 대표적인 여름철 골칫거리다. 매일같이 세탁기와 건조기가 돌아가는 풍경도 흔한 일.</p> <p contents-hash="172d0604d0e0e3b872018accc27db321b6c067452e7fe00ea0bd07f4141e8c48" dmcf-pid="0DmxGqhLY5" dmcf-ptype="general">하지만 <span>부지런한 세탁 습관에는 ‘불편한 진실’이 숨어 있다.</span> 매번 에너지를 소모해, 어마어마한 양의 탄소배출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p> <p contents-hash="363d59f2c9078f8b9287309daa98929e3472b7b55dc3271e73a29782998e3896" dmcf-pid="pwsMHBloXZ" dmcf-ptype="general"><span>특히 ‘건조기’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은 압도적인 수준.</span> 경우에 따라서는 1회 사용에 플라스틱 컵을 100개 넘게 쓰고 버리는 것과 같은 악효과를 초래한다.</p> <p contents-hash="b4f7c10ebe044c48866bcba8a12a3a0fd1c43564b0e5c4285b9ecb13037cf70a" dmcf-pid="UrORXbSgHX" dmcf-ptype="general">심지어 잦은 기기 이용이 미세플라스틱 유발의 원인으로까지 지적되는 상황. 가능한 선에서 빨래 주기를 늘리고, 자연건조를 추구하는 습관을 형성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d5c1874ada8764ac87022d223f250867afc6e19d3a6067fedcfd17260e3e95d" dmcf-pid="umIeZKvaZ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집 안 빨랫줄에 걸려 있는 옷.[123rf]"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7994owhr.jpg" data-org-width="1280" dmcf-mid="x8YNuQ5rZ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7994owhr.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집 안 빨랫줄에 걸려 있는 옷.[123rf]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b3673512f35d9b287d00d677e79fb032b99c0c23b5612a34d39f0f5f81899f35" dmcf-pid="7sCd59TNYG" dmcf-ptype="general">헤럴드경제가 기후테크 기업 오후두시랩에 의뢰해 빨래 습관 및 기기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추산한 결과, 세탁·건조기 사용 습관에 따른 탄소배출량 차이가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건조기 사용 유무에 따른 탄소배출량 차이가 눈에 띄게 벌어졌다.</p> <p contents-hash="8dd0b84427bcd17f8ffbcba28cdf3464306eb11682646816b3fd73a9e6573acd" dmcf-pid="zOhJ12yj5Y" dmcf-ptype="general">예컨대 4인 가구 기준, 흔히 사용하는 21㎏ 용량의 최신 건조기를 1시간 사용했을 때 배출되는 탄소배출량은 1.089㎏인 것으로 집계됐다. 3㎏ 용량의 빨래를 세탁기에 돌렸을 때 배출되는 탄소량이 0.619㎏인 것을 고려하면 76%가량 높은 셈이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3dabd4e0bd04003cf6c99b26ad24d8402877ba4be4df332a98aecc5aee25bc14" dmcf-pid="qIlitVWAGW"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세탁기와 건조기.[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8286oklq.jpg" data-org-width="1280" dmcf-mid="yuXcqRFO1B"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8286oklq.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세탁기와 건조기.[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71e3146485f7c43c2d5dc40c5638dd0e287b51ff3da1159443072d3f2bc6724" dmcf-pid="BCSnFfYc1y" dmcf-ptype="general">세탁기와 건조기 1회 사용에 따른 탄소배출량을 합치면 총 1.708㎏. 일회용 플라스틱 컵을 사용하고 버리는 데 배출되는 탄소배출량(66g)으로 환산하면 26개 분량에 달한다. <span>한 번 세탁하고 건조하는 것만으로 26개의 일회용 플라스틱 컵을 소비하고 있는 셈.</span></p> <p contents-hash="82eb991893b1f231c490138af86d33654eed42943bb60e091df7a6edfa1b68bd" dmcf-pid="b7BvMkVZGT" dmcf-ptype="general">일주일에 세탁·건조를 총 4번 진행한다고 가정하면, 탄소배출량은 6.832㎏. 일회용 플라스틱 컵 104개 분량에 달한다. 하지만 4번 분량의 빨래를 모아 한 번에 세탁·건조할 경우 탄소배출량은 총 2.455g. 일회용 플라스틱 컵 37개에 불과하다. <span>빨래를 모아서 하는 습관만으로 3분의 1 수준으로 환경오염을 줄이는 셈.</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7ecce430dd2d5a1978e5b7eedd671ca11ae2a43580acd6af711c5424c287540" dmcf-pid="KzbTREf5Yv"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세탁 바구니에 가득 쌓여 있는 옷들.[게티이미지뱅크]"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8561pcmj.jpg" data-org-width="1280" dmcf-mid="WalitVWAZq"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8561pcmj.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세탁 바구니에 가득 쌓여 있는 옷들.[게티이미지뱅크]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f2284d127e9483c85298320cb3eb40d25814a267fc1e8da6f0f23c53819ac99" dmcf-pid="9qKyeD415S" dmcf-ptype="general">여름철(6~8월) 전체 기간을 고려해, 세탁 습관에 따른 탄소배출량 추이를 계산해 보면 그 차이는 56.9㎏으로 벌어진다. 쉽게 말해 일주일에 4회 세탁·건조기를 돌리는 가정의 경우, 일주일간 빨래를 모아 세탁·건조기를 돌리는 가정에 비해 3448개의 플라스틱 컵을 더 소비하고 있다는 얘기다.</p> <p contents-hash="331904de3687aef8ada8e56205b6326114616dfe49e02a93e8c0b78a5a08e27e" dmcf-pid="2B9Wdw8tYl" dmcf-ptype="general">이같은 차이를 부르는 것은 건조기의 영향이 크다. 빨래의 경우 용량에 따라 전력 사용량이 높아져, 더 많은 탄소배출을 초래한다. 하지만 건조기의 경우 용량에 따른 탄소배출량 차이가 크지 않다.<span> 자주 건조기를 사용하는 습관을 개선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친환경적 생활습관을 조성할 수 있다는 것.</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9f82ac869b6ad3376596e2c6bc94f06dc38a1300c5b3978496ca20b3c74f2cea" dmcf-pid="Vb2YJr6FZh"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 코인 세탁소에 설치된 건조기. 김광우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8893vtan.jpg" data-org-width="1280" dmcf-mid="YzKyeD41Hz"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8893vtan.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 코인 세탁소에 설치된 건조기. 김광우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6533385c7ee2a52a82166a522694de99071aef5a67172587bc1192d9c61a7b5a" dmcf-pid="fKVGimP3tC" dmcf-ptype="general">그렇다고 해서 일주일에 한 번 ‘세탁방’을 이용하는 게 친환경적 습관은 아니다. 건조기 용량이 커질수록, 탄소배출량이 급격히 늘어나기 때문. <span>무인 세탁소에서 흔히 사용하는 30㎏ 대용량 건조기의 경우 1시간 사용에도 불과하고 7㎏이 넘는 탄소가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span> 가정용 건조기의 7배 수준인 셈.</p> <p contents-hash="0f19f73af9f7b8454fd957d0343aeb17f7c48333d57dd204b4b1b64cb77a5ec1" dmcf-pid="49fHnsQ0XI" dmcf-ptype="general">이수연 오후두시랩 연구원은 “전기로 뜨거운 열을 발생시켜야 하는 건조기의 특성상, 제품을 막론하고 탄소배출량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며 “날씨가 좋을 때 건조기 대신 자연 건조를 활용하는 것만으로도 탄소배출량을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ef066fb47aa8d62e2492f28d533d31cbb9578c4dbfe198fef67ea69c8ed10ab0" dmcf-pid="824XLOxptO"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건조기.[123rf]"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9172xoxi.jpg" data-org-width="1280" dmcf-mid="GRj2hFDxH7"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9172xox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건조기.[123rf]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e2866c149f1d409e9630de8406beddbf56db0ff194bae8222268f930a2e59471" dmcf-pid="6V8ZoIMUHs" dmcf-ptype="general">실제 올해 미국 미시간대 환경 및 지속가능성 대학(SEAS) 연구팀 조사에 따르면 <span>건조기는 세탁기에 비해 6배가량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span> 아울러 건조기가 전체 가정용 에너지의 3%를 차지하는 등 소비량이 적지 않은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p> <p contents-hash="a2cf2c5c7bd44b7906bead3edb51a5ab273c9992214882e6074a119def4da80d" dmcf-pid="Pp7hPjKGXm" dmcf-ptype="general">애초 우리나라의 경우 건조기 보급률이 높지 않았다. 하지만 건조기의 편의성이 알려지며 보급률은 급격히 상승하고 있다. 한국갤럽 설문조사에 따르면 지난 2020년까지만 해도 12%에 머물렀던 건조기 보급률은 2023년 기준 35%까지 늘어났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e32203b5887028c6ee2ca49e43118ee71f7d51cd9dca83876f560fca181f75d" dmcf-pid="QUzlQA9HYr"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한 코인 세탁소에 설치된 세탁기. 김광우 기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9453mtov.jpg" data-org-width="1280" dmcf-mid="HQhJ12yjY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4.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9453mto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한 코인 세탁소에 설치된 세탁기. 김광우 기자.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65d410ac28e0577ca8bc0363e7df55c1621f429ad2cb0bc7c62c0774d346848" dmcf-pid="xuqSxc2XGw" dmcf-ptype="general">관련 업계에서는 미세먼지, 황사 등 환경 요인과 함께, 빨래 과정에서 번거로움을 줄이려는 생활 습관의 변화가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가전업체들 또한 가정용 건조기 제품을 꾸준히 개발 및 출시하며, 보급률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p> <p contents-hash="8550ea7dacf5ec1acfeb4b9c29e8cc89e83d039f5da1015110048b24cdbb2ff9" dmcf-pid="ycD6yuOJGD" dmcf-ptype="general">하지만 건조기 사용에 따른 ‘환경오염’ 우려는 점차 커지고 있다. 이는 비단 과도한 에너지 사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span>건조기는 미세플라스틱 배출 요인으로도 꼽힌다.</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54e18f148c32695a8a6cd9b080e0ced35adb45b5374d5e78df723a85359c5e79" dmcf-pid="WkwPW7IiZE"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세탁기에 옷을 넣고 있다.[123rf]"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9736txko.jpg" data-org-width="1280" dmcf-mid="XSM3AviBXU"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29736txko.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세탁기에 옷을 넣고 있다.[123rf]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022515637b435f1708a4e58e36250de2f9440c2154a586d7e6ccf9f3d148a4af" dmcf-pid="YErQYzCnHk" dmcf-ptype="general">홍콩시립대 연구팀에 따르면 <span>회전식 건조기는 1대당 연간 최대 120만개의 미세플라스틱(미세섬유)을 배출하고 있다.</span> 건조 과정에서 옷감의 섬유가 마찰을 받으며 떨어져 나간 결과다. 이 과정에서 대기 중으로 미세섬유가 배출되며, 건강과 환경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게 이들의 분석이다.</p> <p contents-hash="52dd19fe63e6e4f14df957fc7814ad68e773980f6ed2d3a1b5c86bcdb1986a64" dmcf-pid="GDmxGqhL1c" dmcf-ptype="general">이 연구원은 “미세먼지를 피해 건조기를 사용하고 있지만, 오히려 더 직접적으로 오염물질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셈”이라며 “세탁·건조 과정 자체가 탄소배출과 연관돼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1341f7f51647170d63ab91b0f7a87938acd881af17adebf4130dc3c226a1c3bc" dmcf-pid="HwsMHBloXA" dmcf-ptype="general">한편 오후두시랩은 기업, 제품, 도시, 개인의 탄소 배출량을 측정하고 관리하는 통합 플랫폼 그린플로(Greenflow)를 운영하고 있다. 이를 이용해 제품 생산·유통 등 경제활동 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량을 측정할 수 있다. 해당 분석 결과 또한 그린플로를 통해 산출됐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66c2368c34a3a36e813eb679c2e082e10545a0b314a7b1c12943ea56fd9b2761" dmcf-pid="XyGj7x1mHj"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30006abgp.jpg" data-org-width="1280" dmcf-mid="ZB5Ebd0Ctp"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3/ned/20250813184230006abgp.jpg" width="658"></p> </figure>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한여름에도 에어컨 없이 실험...과기인재들 오겠나” 08-13 다음 컬링연맹, 신동호 여자대표팀 감독 불승인…외국인 코치 체제로 08-13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