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여행 늘자 호흡기 감염병도 확산…“여름철 코로나·RSV·홍역 조심” 작성일 08-14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코로나19 환자 5주째 증가, 홍역도 작년 1.4배<br>작년도 코로나·RSV·독감 동시 유행, 백신 접종 필요</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twuzsTnbgw">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89f6e71919b1f073faa8e0deb2e58f872ffe15334d9a9f422a5ac26520d3d907" dmcf-pid="Fr7qOyLKND"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면세점이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다. /뉴스1"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chosunbiz/20250814122125026pnhv.jpg" data-org-width="3612" dmcf-mid="ZQvWiA9Hks"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chosunbiz/20250814122125026pnhv.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면세점이 관광객들로 붐비고 있다. /뉴스1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cc8c1fe163a62601c50e395bb41973104b4ddb1355278c3f2a3086bbb8a77fa4" dmcf-pid="3mzBIWo9gE" dmcf-ptype="general">여름 휴가철 인구 이동과 접촉이 늘고 무더위로 에어컨을 가동하는 실내에 다중이 몰리면서 호흡기로 전파되는 바이러스 감염병들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p> <p contents-hash="67808b41c607ec69a9397163725b0eb5eafaaee9c050bcd43d077e30428a47d5" dmcf-pid="0sqbCYg2Ak" dmcf-ptype="general">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홍역 등 주요 호흡기 감염병이 대표적이다. 지난해 여름에도 여러 호흡기 감염질환이 동시에 유행하면서 두가지 바이러스에 동시 감염되는 사례도 잇따랐다.</p> <p contents-hash="bd7a7e4b0dfecaff5968e9bb2f85c40abf301171f05fdf01c9f1aa2f2158ad78" dmcf-pid="pOBKhGaVNc" dmcf-ptype="general">14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코로나19 입원환자 표본 감시 결과, 병원급 의료기관(221곳)의 코로나19 입원환자는 최근 5주 연속 증가세를 보였다. 6월 말 63명이던 환자 수는 8월 초 220명으로 한 달여 만에 두 배 이상 늘었다.</p> <p contents-hash="34668e4db38daa93bb3aa88feed20511dd5c6bc4f7b76709305a757d20a02eb5" dmcf-pid="U1di3BlokA" dmcf-ptype="general">올 7월 기준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는 NB.1.8.1이 87.1%로 우세했으며, XFG·JN.1 등은 낮은 점유율을 보였다. 질병관리청은 10월에 기존 JN.1 백신보다 유행 변이에 대한 중화항체가 높은 LP.8.1 백신으로 2025~2026년 절기 예방접종을 시행할 계획이다.</p> <p contents-hash="0dda346f0ace6159af073d5a22fd4d23e0557a46a144beef4a648797441ace9c" dmcf-pid="utJn0bSgoj" dmcf-ptype="general">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코로나19가 한 해에 한두 차례 유행하며 상시 감염병화 되는 과정에 있지만 고령층이나 면역저하자 등 고위험군은 여전히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0fc342cb7264720b51b26b865800c190013a199db4f524c44e9fdeb656635a2b" dmcf-pid="7FiLpKvaa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인체 호흡기에 감염된 코로나 바이러스(주황색)의 전자현미경 사진. 코로나바이러스가 휴면 상태의 암세포까지 깨우는 것으로 밝혀졌다./NIAID"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chosunbiz/20250814122125393rcki.jpg" data-org-width="1600" dmcf-mid="5gb9lHNfNm"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chosunbiz/20250814122125393rck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인체 호흡기에 감염된 코로나 바이러스(주황색)의 전자현미경 사진. 코로나바이러스가 휴면 상태의 암세포까지 깨우는 것으로 밝혀졌다./NIAID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93e3c5c6cd68f8c4da1ef34c727ef6346b7e25a6e89d07583f4ca9cd25b40998" dmcf-pid="z3noU9TNca" dmcf-ptype="general">RSV 유행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RSV는 감염자의 호흡기 분비물이나 오염된 물건을 통해 전파되며, 유행기에는 환자 1명이 평균 3명을 감염시킬 정도로 전염력이 높다.</p> <p contents-hash="69bfa60452431657b5e3e4b1c298db1a8137082d824e28261767ae048aecd104" dmcf-pid="q0Lgu2yjcg" dmcf-ptype="general">신유섭 아주대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는 “RSV 감염증은 발열, 두통, 콧물, 인후통 등 감기와 유사해 구별이 쉽지 않다”며 “대부분 1~2주 안에 호전되지만, 고위험군에서는 폐렴 등 중증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고, 입원이나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e607777ea50dd6e73421e4aade7167f84ca1d2190241a340369e84126e9b8c71" dmcf-pid="Bpoa7VWAko" dmcf-ptype="general">RSV는 흔히 2세 미만 소아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성인도 60세부터 다시 환자가 증가하는 추세다. 합병증도 많아 환자 부담이 크다. 신 교수는 “가장 흔한 합병증은 폐렴(24%), 만성 호흡기 질환(23.6%), 저산소증 또는 호흡곤란(22%)이며, 폐·심장 등 기저질환을 동반하면 RSV 감염으로 인한 위험성이 더 높다”고 했다.</p> <p contents-hash="075a8588e9da6f13a9f48bef2cc44f1283a0f5969b66e9f5fd2c61f0039669a7" dmcf-pid="bUgNzfYccL" dmcf-ptype="general">국내에서는 6월 초부터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영국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의 백신 아렉스비 예방접종이 진행되고 있다.임상시험에서 아렉스비는 60세 이상에서 RSV 하기도감염 예방 효과가 82.6%에 달했으며, 동반질환자에서는 94.6%로 더 높았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f0db2d8e9d6977a74af88bffd8a7dfda8e7beb4e0661e3e85aacf745e488da7e" dmcf-pid="Kuajq4GkNn"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백신 주사 이미지. /조선DB"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chosunbiz/20250814122126827xlpm.jpg" data-org-width="1920" dmcf-mid="1wEwVMtsor"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3.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chosunbiz/20250814122126827xlpm.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백신 주사 이미지. /조선DB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d53b08ff594a36849efa715b98b216edac950a75e888c0720b9bbd792851083d" dmcf-pid="97NAB8HEgi" dmcf-ptype="general">최근 홍역 환자도 늘고 있다. 올해 들어 지난 9일까지 국내 홍역 환자는 총 68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47명)보다 1.4배로 증가했다. 이 중 49명(72.1%)은 해외 유입, 19명(27.9%)은 해외 유입 관련 사례였다.</p> <p contents-hash="ba40176f914ef4ab03bd0fb0b2154528a4d1e5b6223880047822384d21715ec9" dmcf-pid="2vf8WtEQjJ" dmcf-ptype="general">홍역은 공기로 전파되는 바이러스 호흡기 감염병이다. 주 증상은 발열, 발진, 기침, 콧물, 결막염 등으로, 잠복기는 7∼21일이다. 홍염으로 중이염과 폐렴, 설사·구토로 인한 탈수 등 합병증이 있는 경우 입원 치료를 받아야 한다.</p> <p contents-hash="cdd7005f7529048be38ad963765d7e7a995f60bed4f88f639ea8f74e16f80734" dmcf-pid="VT46YFDxjd" dmcf-ptype="general">홍역은 면역이 없는 사람이 환자와 접촉할 때 90% 이상 감염되지만, 백신 접종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홍역 예방접종 미접종자나 접종 여부가 불확실한 경우엔 출국 전 예방접종을 완료해야 한다”며 “홍역 의심 증상이 발생하면 속히 의료기관을 찾아가 해외 방문 이력을 알리고 진료받기를 바란다”고 했다.</p> <p contents-hash="0f672d48e820183361313dc5968029d7e968e0609ca10c39f2d1e70c652b8557" dmcf-pid="fy8PG3wMke" dmcf-ptype="general">-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동국대 캠퍼스타운 2025] 퍼슬리 “공인 자료로 신뢰 높인 환자 맞춤형 AI 건강비서” 08-14 다음 태권도진흥재단 인공지능(AI) 사업 추진단 발족 08-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