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성위 두고 이진숙 vs 안정상 정면충돌…‘노조 권한 강화’인가, ‘방송 독립 장치’인가 작성일 08-14 30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이진숙 방통위원장 “편성위, 노조의 공동경영화”<br>안정상 교수 “왜곡된 프레임…필요한 견제장치”<br>같은 목표, 다른 해석..편성위 실제 운영 성과에 따라 좌우될듯</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yq2LCiUlEa"> <p contents-hash="afa9056aaa27de61e1e2b37ddbd4d0e28ec86abc4d625880f9466e34506b28ee" dmcf-pid="WBVohnuSIg" dmcf-ptype="general">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지난 5일 국회를 통과한 개정 방송법이 방송가의 최대 이슈로 부상했다. 핵심 쟁점은 편성위원회 제도다. </p> <p contents-hash="99ec90b627aa7bfb0d4e0450a7313bec614fc882929db3f02a30717d1cc2c81e" dmcf-pid="YbfglL7vmo" dmcf-ptype="general">방송사 편성책임자 선임 과정에 ‘노사 동수’ 원칙을 적용하는 이 제도를 두고,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과 안정상 중앙대 겸임교수(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정보통신·방송미디어 수석전문위원)가 정면으로 맞섰다.</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7896cd6cf3d97032938f26b138591fe11ae63d057db40d21ef3cd30502148909" dmcf-pid="GK4aSozTEL"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왼쪽부터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과 안정상 중앙대 겸임교수(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정보통신·방송미디어 수석전문위원)"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4/Edaily/20250814145841084fazi.jpg" data-org-width="670" dmcf-mid="xaXKnBlowN"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4/Edaily/20250814145841084fazi.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왼쪽부터 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과 안정상 중앙대 겸임교수(전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원회 정보통신·방송미디어 수석전문위원)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d3172fcd2744fb934684df4580f7110737311576f03541fee6bbe8a923ef0131" dmcf-pid="H98Nvgqyrn" dmcf-ptype="general"> <strong>이진숙 방통위원장 “편성위, 노조의 공동경영화”</strong> </div> <p contents-hash="00d19b2baf61580ffb27418ef43b65c13c8db3f1e7491275e07d46ef557f0f7e" dmcf-pid="X26jTaBWOi" dmcf-ptype="general">이진숙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은 지난 13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편성위원회를 “노사의 공동경영진”에 비유하며, 법제화로 인해 노조가 단숨에 경영권에 편입될 것이라고 주장했다.</p> <p contents-hash="d8d1f7c05c5d5cf6e9357c0fee657ea788808c9542e14c05c931f0a946748771" dmcf-pid="ZVPAyNbYsJ" dmcf-ptype="general">그는 편성책임자가 사장 다음으로 막강한 권한을 가진 자리라는 점을 강조했다. “어떤 프로그램을 어느 시간대에 배치하느냐, 폐지하느냐를 결정하는 것은 방송사의 운명을 쥔 일”이라며, 개정법 시행 후에는 노사 동수 편성위원회가 제청권을 쥐게 돼 사장이 원하는 인사를 임명하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df1626ad7fec2721461c7697d44912ab00f9f695461be6d00cb8da4638e492e2" dmcf-pid="5Z38jfYcwd" dmcf-ptype="general">이 위원장은 또, 위원회 구성·운영이 형사처벌과 재허가 심사 등 강력한 의무조항과 연계돼 “민영방송까지 노조와 경영권을 공유하게 될 것”이라며, “노동 권력 역시 정치·자본 권력처럼 언론 독립을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p> <p contents-hash="fddb382ba8920e76633cf96d76f9f20aea8cfb4ef441f2bccea1acf79335fc89" dmcf-pid="1506A4Gkme" dmcf-ptype="general"><strong>안정상 교수 “왜곡된 프레임…필요한 견제장치”</strong></p> <p contents-hash="5441b8b4c5af8e36cbfdc2ec2551e2a8a94454dd2e56a1a0eca511427851a7ce" dmcf-pid="t1pPc8HEDR" dmcf-ptype="general">이에 대해 안정상 중앙대 겸임교수(전 더불어민주당 전문위원)는 14일 “정략적 호도”라고 반박했다. 그는 “그동안 편성책임자는 정권이나 오너 입맛에 맞춰 독단적으로 임명돼 왔고, 그 결과 공영·민영방송 모두 낙하산 인사와 친권력 편성이 반복됐다”며, 편성위원회 사전 제청 제도는 이런 폐단을 막기 위한 불가피한 장치라고 주장했다.</p> <p contents-hash="3cf18838ac1055c2581e6feeb2d548cf36b4534660fd9c30b064aff4c6c40bc8" dmcf-pid="FtUQk6XDrM" dmcf-ptype="general">안 교수는 개정법이 노조 개입을 명시한 적이 없다고 강조했다. 실제 구성은 방송사 구성원 대표 5명과 취재·보도·제작·편성 부문 종사자 대표 5명으로 꾸려지며, 노조가 자동적으로 위원회를 장악한다는 주장은 “과장된 프레임”이라고 지적했다.</p> <p contents-hash="8fb0e789a609325f42ff943c11121ef4dd8f091cfb80bdae93d52c12a6543b0a" dmcf-pid="3FuxEPZwEx" dmcf-ptype="general">그는 “이미 KBS·MBC 등 다수 방송사 내부 규약에도 사측·근로자 동수 편성위원회 규정이 있다”며, 이번 개정은 정권 교체 때마다 규약을 무력화시키는 관행을 법으로 막는 것이라고 설명했다.</p> <p contents-hash="e948d9fbbadb21b119a0461e8cb44436062af9640699945435d7ae808b8b8dad" dmcf-pid="037MDQ5rIQ" dmcf-ptype="general"><strong>같은 목표, 다른 해석</strong></p> <p contents-hash="a2f9934423369911a49ee35d500cd4d4a9213b0453132037d3c83e1beca2b4ff" dmcf-pid="p0zRwx1mrP" dmcf-ptype="general">두 사람 모두 ‘방송의 독립’을 목표로 내세우지만, 편성위원회가 그 목표를 달성하는 도구인지, 아니면 새로운 권력 집중의 위험인지에 대한 해석은 정반대다.</p> <p contents-hash="d5440d8266f9699e331cab6540d788ada445e031a5818780f97f80c38bea85a4" dmcf-pid="UpqerMtsr6" dmcf-ptype="general">이진숙 위원장은 “노조 권한이 과도하게 확대돼 경영권 침해와 방송 자율성 훼손이 우려된다”는 입장인 반면, 안정상 교수는 “사장의 독단을 견제하고 방송의 공정성과 독립성을 확보하는 필수 제도”라는 입장이다.</p> <p contents-hash="4ca82350e34e076b5d42fa35bdb93e4e29816a76c69ecf873e03af072685c690" dmcf-pid="uUBdmRFOw8" dmcf-ptype="general">편성위원회가 실제로 어떻게 구성·운영되느냐에 따라, 이번 개정법이 방송 독립의 마중물이 될지, 새로운 권력 충돌의 불씨가 될지가 판가름날 전망이다. 방송사들이 이 사안을 어떻게 풀어낼지가 향후 한국 방송 환경의 향방을 좌우할 것으로 보인다.</p> <p contents-hash="61d2a9fe07276590f8b24916d525eecf9b078307c5b7b79c79385d37ca688574" dmcf-pid="7ubJse3Iw4" dmcf-ptype="general">김현아 (chaos@edaily.co.kr) </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우리 정체성? 몰라!" 영파씨, 성장통 고스란히 담아낸 컴백(종합) 08-14 다음 [기술영업人] 운영기술(OT) 분야 디지털 전환의 정석, '한국지멘스' 08-14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