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레이즈 "AI는 선택적 투자나 유행 아닌 마케팅 기본값" 작성일 08-15 32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샤히드 니자미 브레이즈 APAC 부사장 "AI 활용 고도화가 브랜드 경쟁력 좌우"</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uTICsQ5rNb"> <p contents-hash="693b113bd8966a7faf89c5a9dd82d7cf73fef67cb321427bb9da072205b6cfab" dmcf-pid="7yChOx1mkB" dmcf-ptype="general">(지디넷코리아=안희정 기자)"AI는 더 이상 선택적 투자나 유행이 아니다. 마케팅의 기본값이다. 한국은 모바일 보급률과 디지털 생태계 경쟁력에서 세계적 수준으로 평가받지만, 정작 AI를 고객 경험과 마케팅에 결합하는 사례는 적다. AI 활용 고도화가 브랜드 경쟁력을 좌우하게 될 것이다."</p> <p contents-hash="4e1b9706c20ba8403560b55c1fd646f3bb81866cb6190913394ae4d95d6db055" dmcf-pid="zWhlIMtsgq" dmcf-ptype="general">20년 넘게 마테크 업계에 몸담아온 샤히드 니자미 브레이즈 APAC 부사장은 구글, 오라클, 허브스팟 등 글로벌 기업을 거쳐 2023년 12월부터 브레이즈에 합류했다. <span>APAC에 수많은 지사가 있지만, 한국은 그에게도, 브레이즈에게도 특별한 시장이다.</span><span> K컬처가 전세계적으로 주목받으면서 한국 브랜드의 매력도가 훨씬 높아졌고, 디지털 경제 시장에서도 꾸준히 성장하는 나라이기 때문이다.</span></p> <p contents-hash="99e8ae78969b6d88aed138ec1f5e0bf611066f1385d59b50d28586d07bb2fe4a" dmcf-pid="qYlSCRFOkz" dmcf-ptype="general"><span>지난 5일 샤히드 니자미 부사장을 에이비일팔공 MGS2025 컨퍼런스에서 만났다. AI와 데이터 중심의 고객 인게이지먼트 전략을 추진해온 그는 한국 시장에 대해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평가했다. 챗GPT 등 LLM 활용도는 높지만, AI 기술을 마케팅과 고객 경험에 결합하는 사례가 아직 부족하다고 판단하면서다. </span></p> <p contents-hash="fd9bc5a4ea1e5f596058c1155201c8ba7afc80382f8bb4656dda99d84fd36fcf" dmcf-pid="BGSvhe3Io7" dmcf-ptype="general">니자미 부사장은 퍼스트파티 데이터 기반 구축과 옴니 채널 확장, AI 전략 고도화가 앞으로 한국 브랜드의 경쟁력을 가를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고객 인게이지먼트(참여) 관점에서 '듣는 것' 과 '덜어내기'가 중요하다고 말하며, 브랜드는 소비자에게 부담 보다는 신뢰를 줘야한다고도 역설했다. </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c6ac580b132e132954727fb0a4c95d960177dc5ae4e72028f5ee590adc1937a5" dmcf-pid="bHvTld0Cou"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샤히드 니자미 브레이즈 APAC 부사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ZDNetKorea/20250815081113587cely.jpg" data-org-width="639" dmcf-mid="qpV31kVZaD"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ZDNetKorea/20250815081113587cely.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샤히드 니자미 브레이즈 APAC 부사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ff00c221e607f0ac48e1ab3bc7d43af3decd2846816a5b9206402a22141bb858" dmcf-pid="K7F31kVZcU" dmcf-ptype="general"><strong>“창의력만으론 부족…기술 융합이 마케팅 성패 좌우”</strong></p> <p contents-hash="0d1ad013503496e5894c57a6c321c7ddf3aa99f4c0c184f3c83941a91b2a2fd0" dmcf-pid="9z30tEf5op" dmcf-ptype="general">니자미 부사장은 처음 마케팅 업계에 들어섰을 당시를 회상하며 마케팅을 'ROI(투자수익률)를 측정할 수 없는 돈 나가는 구멍’에 비유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상황이 완전히 달라졌다. 단순 창의력 보다는 기술을 얼마나 잘 융합해 창의력을 발휘하느냐가 중요해졌다"고 설명했다. </p> <p contents-hash="d733c06ad1cc2140aae49cfdcef95fee2e92b1211ec1d63477554d4ad899f200" dmcf-pid="2q0pFD41c0" dmcf-ptype="general">그는 "<span>디지털 환경 확산은 마케팅 패러다임을 근본적으로 변화시켰다"며 "과거 오프라인 중심의 ‘대량 노출’ 전략은 정밀 타겟팅과 성과 측정이 가능한 디지털 마케팅으로 대체됐다. 마케터에게 기술 완성도는 기본이다. 여기에</span><span> 다른 솔루션과 물 흐르듯 연결되는 통합성이 있어야 진정한 경쟁력이 된다. 브레이즈도 이 지점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고 말했다. </span></p> <p contents-hash="cae5c31a73b09f99b2f4ab61d260eb6294d63cef7eeb41f9efbedf847d2f4b4c" dmcf-pid="VBpU3w8tA3" dmcf-ptype="general"><span>니자미 부사장은 최근 1년간 한국에서 눈에 띄는 변화로 퍼스트파티 데이터에 대한 관심 확대를 꼽았다. </span></p> <p contents-hash="03a366efbb2425d21320e7955b731363a5a69186a031a679b451f866e4ba334d" dmcf-pid="fbUu0r6FcF" dmcf-ptype="general">그는 "<span>배달 앱을 통해 주문을 받아도, 플랫폼 데이터가 기업에 귀속되지 않으면 퍼스트파티 데이터는 쌓이지 않는다"며 "결국 브랜드가 직접 고객 접점을 만들고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채널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span></p> <p contents-hash="31d76a6d8ce20c432c95587130ada61abea1b1260cba937d13ba53ae2cf2791d" dmcf-pid="4Ku7pmP3jt" dmcf-ptype="general"><span>또 니자미 부사장은 </span><span>한국 브랜드들의 AI 기술 도입 속도가 낮다고 말했다.</span><span> 모바일 퍼스트, 디지털 성숙도, 인프라는 세계적으로 우수하고, LLM 사용은 대중화됐지만, AI를 마케팅과 고객 경험에 결합하는 데는 보수적이라는 평가다. </span></p> <p contents-hash="7b9d4c02752f873b0d818345a60f490320b74bcc4fea42effbe37e2f9b13a024" dmcf-pid="897zUsQ0c1" dmcf-ptype="general"><span>그는 "새로운 기술을 받아들이는 개방적인 태도가 중요하다"며 "</span><span>한국 브랜드는 대체로 한두 개 채널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한데, </span><span>최소 3개 이상의 고객 접점 채널을 운영해야 전환율 등 주요 성과가 눈에 띄게 개선된다. 단일 채널 의존도를 낮추는 전략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span></p> <p contents-hash="24511ac01f927878001f74deb1a888106b7e0baca03d47f65da3c0b2dd10f7f5" dmcf-pid="62zquOxpk5" dmcf-ptype="general">브레이즈는 AI를 단순 기능이 아닌 핵심 경쟁력으로 보고 지속적으로 투자해왔다. 최근에는 강화 학습 기반의 AI 의사결정 기술을 확보하기 위해 약 3억2천500만 달러(약 4천500억원) 규모로 '오퍼핏'을 인수하며 에이전틱 AI 역량을 강화했다. 올해 연구개발(R&D) 투자도 전년 대비 43% 이상 늘려, AI 중심의 기술 혁신과 글로벌 시장 선점을 추진 중이다. 이처럼 브레이즈는 AI를 고객 인게이지먼트의 기본 인프라로 자리매김시키고 있다.</p> <p contents-hash="c0885e37d44b744fd476df5632299c8450749579d4c96b1ca413fb2c591ab040" dmcf-pid="PVqB7IMUAZ" dmcf-ptype="general"><span>니자미 부사장은 "</span><span>미국의 한 대형 은행은 신용카드 가입률을 올리기 위해 오퍼핏 도입 후 고객 1명당 3만5천개 버전의 맞춤형 메시지를 발송했고, 전환율이 92% 상승했으며 연 매출이 16억 달러(약 2조2천억원) 증가했다"며 </span><span>"</span><span>과거처럼 대략 광고가 통할 시간이라고 생각하는 ‘화요일 오후 2시에 모두 발송’하는 방식이 아니라, 고객 개별 행동 패턴과 선호에 맞춘 시점·빈도·채널·콘텐츠 조합으로 최적화한 결과"라고 평가했다. </span></p>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b65f7724c6d9ab4b16f0556bf15763ad147945f5397ce12b21758d446948f4e4" dmcf-pid="QfBbzCRuNX"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샤히드 니자미 브레이즈 APAC 부사장"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ZDNetKorea/20250815081114822hmhf.jpg" data-org-width="640" dmcf-mid="BW4pFD41gE"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2.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ZDNetKorea/20250815081114822hmhf.jp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샤히드 니자미 브레이즈 APAC 부사장 </figcaption> </figure> <p contents-hash="1c0e4475232fb748275cf183c5fa9d31c301b5171d4e04f956e1c457bf01ac73" dmcf-pid="x4bKqhe7jH" dmcf-ptype="general"><strong>과잉 마케팅 시대, '덜어내기'와 '맞춤형'이 해답</strong></p> <p contents-hash="748e762f66334e06a7fc46e86dd556cfb526fbfc841b2f76b7bbaa7843a4d183" dmcf-pid="yhrmD4GkNG" dmcf-ptype="general">니자미 부사장은 과도한 마케팅 메시지 발송 문제를 지적하며 “브랜드가 고객으로부터 받은 권한의 무게를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p> <p contents-hash="982135547d48aa8f1bd640ca7fc5c0161cb802a1bb4cf0200faa7674dada99ea" dmcf-pid="Wlmsw8HEAY" dmcf-ptype="general">이어 "앱 푸시 알림 허용은 24시간 연락해도 좋다는 고객의 허락이다. 이를 존중해야 한다"며 "맥락·유관성·맞춤형·부담 최소화 네 가지 원칙을 지켜야 하며, 일주일에 두 건 이상은 보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p> <p contents-hash="f2b73a29a340db468abb1d0fef79250c3ea03f92c7441bcf2c41858ab90eff23" dmcf-pid="YSsOr6XDgW" dmcf-ptype="general"><span>실제로 브레이즈는 빈도 제한(Frequency Capping) 기능을 통해 발송량을 관리하고, AI로 ‘보낼 두 건’을 선별한다.</span></p> <p contents-hash="894d22d19ec0e3ec96ed0e9c2933401a71e8cd3ae166a9423b3aea4296c07bee" dmcf-pid="GIDwkVWAjy" dmcf-ptype="general">니자미 부사장은 이를 '스파게티를 벽에 던져서 익었는지 확인하는 방식'에 비유하며, 무차별 발송은 앱 삭제·알림 차단으로 이어진다고 경고했다. 고객의 맥락에 맞는 메시지가 장기적 신뢰를 만든다고 강조하면서다. </p> <p contents-hash="8faea1b1fe1f35d61faa67f41c8684edc0c64e5b8b26bd8aa5ac42a6782490f9" dmcf-pid="HCwrEfYcoT" dmcf-ptype="general"><span>그러면서 "데이터를 수집할 때는 수집 목적과 사용 목적, 사용자 입장에서 어떤 이득이 있고 어떻게 취급을 할 것이며, 폐기를 할 때는 어떻게 하는지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span></p> <p contents-hash="f11a2a690bb051abe512e0ae7a0e45686cb68813bcf783f7b405d9465754f3e0" dmcf-pid="XhrmD4Gkav" dmcf-ptype="general">또한 경청하는 자세가 중요하다고도 강조했다. 그는 "브레이즈의 원칙 중에 하나가 '경청하는 소프트웨어가 되자'라는 것"이라며 "예를 들어 이용자에게 뭘 좋아하는지 묻지 않아도 이용자가 뭘 검색하는지, 어떤 정보를 찾는지 행동만 보고 있어도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브레이즈에서는 고객사에게 '<span>에스크(ask)가 아니라 리슨(listen)을 해라. 그리고 관찰하라'고 말한다"고 언급했다. </span></p> <p contents-hash="682fa101327fed4585c697eca9b0d97390dd6168dc85c2497ad406bec846488b" dmcf-pid="Zlmsw8HENS" dmcf-ptype="general"><span>브레이즈는 현재 네이버 쇼핑, 쓱닷컴, 배달의민족, 무신사 등 100개 이상의 국내 기업과 협력하고 있다. </span></p> <p contents-hash="b011162314e8a3d938538fc6b40c7c83ea8727847127dc39482c96caec770cd3" dmcf-pid="5SsOr6XDgl" dmcf-ptype="general"><span>그는 한국이 중요한 시장인 이유 중 하나로 </span><span>한류의 글로벌 영향력을 꼽았다. 특히 글로벌 진출을 노리는 한국 뷰티 브랜드의 옴니채널 역량을 높이 평가하며, 브레이즈가 이를 지원할 계획임을 </span><span>밝혔다.</span></p> <p contents-hash="f020ef41f6ff6870ba2b4d2bd4fd43cb86b1882236f9045d55ffb74ea4a7355f" dmcf-pid="1vOImPZwAh" dmcf-ptype="general">니자미 부사장은 “한국은 기술과 문화적 매력을 모두 갖춘 시장"이라며 "AI·데이터·고객 경험을 결합해 글로벌 성공 사례를 더 많이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다.</p> <p contents-hash="fdb64315f123c1138901a23046308c84a3266baa88daef1a5613f1ec342e2909" dmcf-pid="tTICsQ5rgC" dmcf-ptype="general">안희정 기자(hjan@zdnet.co.kr)</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전현무, 촬영중 비혼 선언 “5년 내 결혼 못하면 깔끔 포기”(전현무계획) 08-15 다음 "손흥민, 오타니와 견줄 레벨 아냐" 日, LA 다저스 마운드 방문, 시구자 초청 소식에 '비교 거부' 반응..."아시아 최고 인정, 세계적 수준은 달라" 08-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