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 전에 눌렀다가 또 밤 샜다”…끊을 수 없는숏폼, 평균 사용시간은? 작성일 08-15 24 목록 <div id="layerTranslateNotice" style="display:none;"></div> <strong class="summary_view" data-translation="true">컨슈머인사이트, 숏폼 콘텐츠 소비 트렌드 조사<br>4명 중 3명은 ‘유튜브 쇼츠’로 숏폼 시청</strong> <div class="article_view" data-translation-body="true" data-tiara-layer="article_body" data-tiara-action-name="본문이미지확대_클릭"> <section dmcf-sid="VOTMfYg2Cc"> <figure class="figure_frm origin_fig" contents-hash="a2dd44236e0ea5b584bb7f4b8be32de23645111f40c5f1445332f3434ddcd873" dmcf-pid="fIyR4GaVhA" dmcf-ptype="figure"> <p class="link_figure"><img alt="숏폼 플랫폼 이용 행태와 영상 유형별 선호도 관련 설문 결과. 컨슈머인사이트" class="thumb_g_article" data-org-src="https://t1.daumcdn.net/news/202508/15/mk/20250815091505910zwtk.png" data-org-width="650" dmcf-mid="2NMGld0Clk" dmcf-mtype="image" height="auto" src="https://img1.daumcdn.net/thumb/R658x0.q70/?fname=https://t1.daumcdn.net/news/202508/15/mk/20250815091505910zwtk.png" width="658"></p> <figcaption class="txt_caption default_figure"> 숏폼 플랫폼 이용 행태와 영상 유형별 선호도 관련 설문 결과. 컨슈머인사이트 </figcaption> </figure> <div contents-hash="e4c6d0d5fab3ce3741f0553c85fd797f825eeb39ac1db177933c4e7092069bc0" dmcf-pid="4CWe8HNfyj" dmcf-ptype="general"> 국내 스마트폰 이용자들이 숏폼 콘텐츠(짧은 영상)를 보기 시작하면 한번에 평균 21분을 시청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숏폼 콘텐츠를 소비하게 위해 활용하는 주요 플랫폼은 ‘유튜브 쇼츠’로 국민 4명 중 3명이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div> <p contents-hash="300b6671af17f0fd984ea806db066dd642dcba20cdd3a9fed0a94a1132197759" dmcf-pid="8hYd6Xj4CN" dmcf-ptype="general">시장조사기관 컨슈머인사이트에 따르면 숏폼 연속 시청 시간은 ‘10~20분 미만’ 응답률(24%)이 가장 많았다. 10대의 경우 ‘1시간 이상’ 비율이 26%로 제일 높았던 반면 60대 이상은 ‘5분 미만’이 27%로 나타났다.</p> <p contents-hash="3ee6a75e0bac06b331575c60afd5222dd0e2659af9d78122c3357ed3b996ae9b" dmcf-pid="6lGJPZA8ya" dmcf-ptype="general">플랫폼별 이용률(최대 3순위·복수응답)에서는 유튜브 쇼츠가 75%로 1위를 차지했다. 인스타그램 릴스(43%), 틱톡(20%), 네이버 클립(17%)이 그 뒤를 이었다.</p> <p contents-hash="83fd82ef6c6eae31a07b16c0e0520bc4fd734cf33ba63ffc9eb07ea581d669ae" dmcf-pid="PUKOkVWASg" dmcf-ptype="general">연령별로 분석하면 릴스가 10대(71%)부터 30대(53%)까지 모두 과반수 이용률을 보였다. 틱톡은 10대 이용률(40%)이 평균 2배 수준으로 높았다.</p> <p contents-hash="60d2e65d1bbb1690e9d5b96627ac985c96d756bcb21bcd35f53d9b98c8abe024" dmcf-pid="Qu9IEfYcCo" dmcf-ptype="general">선호 주제는 유머·밈·웃긴 영상이 55%로 1위를 차지했다. 뉴스·시사·정보(35%), 여행·브이로그(34%)가 뒤를 이었다. 성별로 남성은 게임·e스포츠를, 여성은 먹방·요리, 반려동물, 뷰티·패션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했다</p> <p contents-hash="c0cd7611b31ef786394ced22e1df60f8eb818e45a4c7ed35f48a2cf49909e84f" dmcf-pid="x72CD4GkyL" dmcf-ptype="general">영상 소비 패턴 조사 결과에 따르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을 이용한 영상 시청 시간은 하루 평균 97분으로 나타났다. 1시간~2시간 미만 시청이 26%로 가장 많았고, 2시간~3시간 미만이 18%, 3시간 이상도 17%에 달했다. 전체 60%가 하루 1시간 이상 영상을 시청하는 셈이다. 10·20대는 1시간 이상 시청 비율이 74%로 제일 높았고 3시간 이상 시청자도 28%를 기록했다.</p> <p contents-hash="1a5640203047e2826ce7e436275b280ad6e696802ec16115a0ef0a1e2bc3bb3f" dmcf-pid="ykOfqhe7yn" dmcf-ptype="general">편당 선호하는 영상 길이에서도 연령별로 차이가 드러났다. 전체적으로는 ‘30분~1시간 미만’이 35%로 모든 연령에서 가장 높았지만 10~30대는 ‘10분~30분 미만’, 40~60대 이상은 ‘1시간~2시간 미만’을 상대적으로 더 선호한 것으로 조사됐다.</p> <p contents-hash="a58b8164b1e2669333ef726d6d5c4fcd979cebf4196720ea46e282213eabea2b" dmcf-pid="WEI4Bldzyi" dmcf-ptype="general">컨슈머인사이트는 “풀버전이 지루한 10대~30대에서는 숏폼이 이미 주력 콘텐츠 장르로 자리 잡았다”라며 “동영상 플랫폼 시장 트렌드와 광고·콘텐츠 제작 방향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고 분석했다.</p> </section> </div> <p class="" data-translation="true">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p> 관련자료 이전 윤종훈, 女 귀신과 동거 중이었다 “20년 전 내 몸에 들어와” 최초고백(심야괴담회) 08-15 다음 레드벨벳 조이, 컴백 D-3... 신곡 ‘러브 스플래시!’ MV 티저 공개 08-15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로그인한 회원만 댓글 등록이 가능합니다.